목차
1. 일반적인 분석
2. 서사구조 분석
3. 수용담론 분석
(1) 알뜰구매 충동: 절약의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 이데올로기
(2) 과시소비 충동: 상상된 지위(imaged status)의 이데올로기
(3) 타자지향적 자아(other-directed self)와 쾌락(pleasure): 상상된 공동체(imaged community)의 이데올로기
2. 서사구조 분석
3. 수용담론 분석
(1) 알뜰구매 충동: 절약의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 이데올로기
(2) 과시소비 충동: 상상된 지위(imaged status)의 이데올로기
(3) 타자지향적 자아(other-directed self)와 쾌락(pleasure): 상상된 공동체(imaged community)의 이데올로기
본문내용
지 않아 편안한 마음이지요, 나만의 시간을 가지면서 남편한테 물어보는 일 없이 아이들한테 에서도 해방되어 사고 싶은 것들을 마음대로 구매하곤 하지요.'(주부 4)
'혼자 있는 오후 시간에 제약 없이 시청하면서 구매도 하니 잠시라도 가사 일에서 해방된 느낌이예요.'(주부 8)
'가사의 반복과 가정에서의 소외된 일상의 권태나 진부함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충동과 욕구에서 구매를 하곤 하지요.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말이예요, 그래서 몇 개 사고 나면 시원하고 답답함이 없어져요.'(주부 2)
홈쇼핑 소비자들은 평상시 가정에서 느끼지 못한 미적인 감각을 판매하는 옷을 구입함으로써 느껴보는 만족감과 명품을 치장함으로써 느껴지는 상상된 우아한 분위기, 신체에 자신 없는 의식을 다이어트 식품을 복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대감 등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지 못한 욕구와 열망을 단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또는 상품구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홈쇼핑 프로그램은 주부들의 담론을 끌어내어 서로 상상된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웃 사람들이 사니까, 친구가 사니까 등 일상생활 속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하는 또는 경쟁심을 불러일으키는 담론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여성에 의한 소비조장을 스스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웃 엄마가 사서 자랑하면 꼭 나도 그것을 보고 사고 싶은 충동을 느끼지요.'(주부 3)..
'옆집 엄마가 놀러 와서 좋다고 또는 비싸다고 자랑하면 나도 은근히 다음에 사겠다고 마음을 먹지요.'(주부 6)
'하루는 동료 직원이 홈쇼핑 채널에서 산 것을 하고 나오면 예쁘게 보이기도 하고 나도 뒤질세라 다음에 그것을 사요.'(직장여성 6)
'아줌마들이 모여서 다들 홈쇼핑 채널에서 산 것들을 이야기 할 때 나도 그 대열에 끼고 싶어 구매를 한 적이 있어요, 그렇지 않으면 마치 뒤떨어지는 것 같아 속상할 때가 있어요.'(주부 10)
소비자는 이처럼 어떤 화장품이 자신을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프로그램을 통해 재현되었을 때, 그 상품을 구매하게 되고, 건강을 유지하는 식품이 있다고 믿으면 그 상품을 통해 그러기를 바라는 나머지 구매를 하게 되며, 또한 그 옷을 입으면 나도 예뻐 보일 것 같은 생각 등을 타자를 통하여 자아를 형성하고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자신도 그 공동체의 한사람으로 느끼게 된다. 이것이 곧 소비를 조장하는 홈쇼핑 프로그램의 전략이기도 하다.
'혼자 있는 오후 시간에 제약 없이 시청하면서 구매도 하니 잠시라도 가사 일에서 해방된 느낌이예요.'(주부 8)
'가사의 반복과 가정에서의 소외된 일상의 권태나 진부함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은 충동과 욕구에서 구매를 하곤 하지요. 스트레스 해소법으로 말이예요, 그래서 몇 개 사고 나면 시원하고 답답함이 없어져요.'(주부 2)
홈쇼핑 소비자들은 평상시 가정에서 느끼지 못한 미적인 감각을 판매하는 옷을 구입함으로써 느껴보는 만족감과 명품을 치장함으로써 느껴지는 상상된 우아한 분위기, 신체에 자신 없는 의식을 다이어트 식품을 복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기대감 등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지 못한 욕구와 열망을 단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또는 상품구매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홈쇼핑 프로그램은 주부들의 담론을 끌어내어 서로 상상된 공동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웃 사람들이 사니까, 친구가 사니까 등 일상생활 속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하는 또는 경쟁심을 불러일으키는 담론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여성에 의한 소비조장을 스스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웃 엄마가 사서 자랑하면 꼭 나도 그것을 보고 사고 싶은 충동을 느끼지요.'(주부 3)..
'옆집 엄마가 놀러 와서 좋다고 또는 비싸다고 자랑하면 나도 은근히 다음에 사겠다고 마음을 먹지요.'(주부 6)
'하루는 동료 직원이 홈쇼핑 채널에서 산 것을 하고 나오면 예쁘게 보이기도 하고 나도 뒤질세라 다음에 그것을 사요.'(직장여성 6)
'아줌마들이 모여서 다들 홈쇼핑 채널에서 산 것들을 이야기 할 때 나도 그 대열에 끼고 싶어 구매를 한 적이 있어요, 그렇지 않으면 마치 뒤떨어지는 것 같아 속상할 때가 있어요.'(주부 10)
소비자는 이처럼 어떤 화장품이 자신을 아름답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프로그램을 통해 재현되었을 때, 그 상품을 구매하게 되고, 건강을 유지하는 식품이 있다고 믿으면 그 상품을 통해 그러기를 바라는 나머지 구매를 하게 되며, 또한 그 옷을 입으면 나도 예뻐 보일 것 같은 생각 등을 타자를 통하여 자아를 형성하고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자신도 그 공동체의 한사람으로 느끼게 된다. 이것이 곧 소비를 조장하는 홈쇼핑 프로그램의 전략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