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마조프의 형제들과 매트릭스(Make us your slaves, but feed u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From the story
2. By the story
3. Whether a matrix is a necesity in a human society?
4. Whether a matrix could be good for people?
5. Between bread and freedom, which one you people really choose?
6. What would you yourself decide to choose?
7. Conclusion

본문내용

하버마스를 인용하여 말을 하자면 이것은 정치가들이 자신들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자신들의 야망을 더욱더 높이기 위해 '인간의 도구적 합리화'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간을 도구로서 사용하는 것을 합리화시키고 그 안에서 인간이 활동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은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행해진 것입니다. 푸꼬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동의를 하고 있습니다.
두 대학자들의 말은 거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거울을 통해 저 자신이 매트릭스에 살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저 자신이 이미 매트릭스에 굴레를 벗어날 수 없는 체인이 허리에 두르고 있기 때문에 벗어나지 못합니다. 이반이 심판관을 통해 말하였듯이 저 자신도 여느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저 자신을 천상의 빵에 내 맡기지 못할 것입니다. 더욱이 그리스도께서 주신 자유가 저에게는 빵을 구하기 위한 하나의 거래 수단일 것입니다.
그러나 제 자신이 가진 자유를 마음껏 만끽하고 살지 못하고, 매트릭스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삶을 살게 된다 하더라도 저 자신이 가진 자유의 의미는 잊지 않고 살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그것은 제가 가진 유일한 무기이고, 제가 가진 유일한 존재가치이기 때문입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