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시작하는 글
- 로만손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 로만손의 포지셔닝 전략
- 로만손의 글로벌 제품전략
- 로만손의 글로벌 광고전략
- 로만손의 시장다변화 전략
- 로만손의 사업다변화 전략
- 마치는 글 – 우리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려면..
- 로만손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 로만손의 포지셔닝 전략
- 로만손의 글로벌 제품전략
- 로만손의 글로벌 광고전략
- 로만손의 시장다변화 전략
- 로만손의 사업다변화 전략
- 마치는 글 – 우리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려면..
본문내용
, 캐주얼, 틴에이지 라인, 아동복 등 한 건물 안에서 ‘H&M’의 모든 것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매우 공격적인 유통망 전략을 펴고 있다. 2000년에는 미국과 스페인에, 지난해 봄에는 폴란드, 체코, 포르투갈에 진출하는 등 2002년에만 85개의 매장을 추가 오픈 했고 작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10개의 매장을 추가 오픈 하고 적어도 2년에 1개 국씩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2000년 들어 매장 수가 매해 전년대비 10~15%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H&M’은 현재 전 세계 18개국에 901개의 의류와 화장품 매장을 열고 있다. 그 중 독일, 프랑스, 스페인, 영국, 미국을 메인 마켓으로 보고 집중 공략, 미국의 경우 현재 57개인 매장을 올 연말까지 550여 개로 늘린다는 전략이다.
마치는 글 우리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려면..
로만손은 시계 분야에서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그밖에도 글로벌 브랜드를 지향하려는 움직임이 우리 나라의 여러 기업에서 가시화되어 왔다. 삼성, LG, 현대 등은 이미 전자, 자동차 분야에서 오랫동안 세계시장에서의 노하우를 축적하여 글로벌 경쟁의 대열 속에서 선진 브랜드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 브랜드조차도 북미나 유럽 등 소위 선진시장에서는 품질이나 신뢰도보다는 가격 대비 품질 측면으로 알려져 있고 디자인, 기술, 서비스 등 고품질의 브랜드 이미지 차원으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로만손 역시 7000달러짜리 최고급 시계를 개발하여 세계의 명품들과 정면 승부를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은 중고가 브랜드의 이미지가 강하다. 많은 한국기업들은 전략적으로 중앙아시아, 남미, 독립국가연합(CIS) 등 성장시장에서의 수출확장에 역점을 두어 왔다. 이는 마케팅 비용의 한계와 값에 비해 무난한 가치를 지닌 한국브랜드에 이들 시장이 적합해 보였기 때문이다.
LG, 삼성 등 중추적인 한국 기업들은 쇠퇴해 가는 이들 시장에서 벗어나서 유럽, 북미 등 선진국에서 활로 개척에 나서고 있으나 모기업 인지도 및 이미지의 열세로 고충이 큰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삼성이나 LG 정보통신의 북미시장 내 약진이 다소 호재로 작용하면서 이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미 현대 자동차 등은 브랜드의 자산가치가 상향조정 되는 등 종전의 가격 브랜드 이미지에서 환골탈태하려는 모습이다. 고객의 품질기대가 낮고 제조 국 이미지가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광고 등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한국의 브랜드가 프리미엄 급 품질수준이라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일이 급선무이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조직의 경영안목 개선과 결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글로벌 브랜드에는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CEO와 브랜드 마인드 셋(mindset)을 갖춘 구성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이를 위한 브랜드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H&M’과 같이 과감한 아웃소싱을 통한 선진 전략 시스템 구축과 구성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충분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투자와 효율적인 관리에 있다. 북미 등 선진시장의 경우 필립스, 소니 등이 2~3년간 5억 달러 이상의 마케팅 비용을 투자하고 ‘H&M’이 매출액의 4%를 투자하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수천만 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우리 기업들은 마케팅 활동이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최근 북미 진출을 전격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국내 굴지의 기업들조차 이 같은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해 저 비용으로 효율을 올리는 구조를 찾아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무한한 시장이고 자국에서 검증 받은 브랜드 간의 격전지이다. 브랜드 관리에 있어 우연이란 없으며 필연적이고 객관적인 노력만이 핵심이다. 발 디딜 무대는 글로벌이지만 목표시장은 개별 국가이다. 글로벌 기획능력,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조직과 자원의 투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목표시장의 공통된 욕구와 차별화된 욕구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거시적 운영이 필요하다.
참고
한국기업의 글로벌경영 사례집 2(2004). 박영사. 장세진 지음. 76~107쪽.
한국기업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광고정보센터. 이철.
기업 성장의 지름길, 글로벌 브랜드. 광고정보센터. 김유경.
글로벌 브랜드 스웨덴 ‘H&M’. 어패럴뉴스.
그 외 신문기사들.
마치는 글 우리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로 거듭나려면..
로만손은 시계 분야에서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그밖에도 글로벌 브랜드를 지향하려는 움직임이 우리 나라의 여러 기업에서 가시화되어 왔다. 삼성, LG, 현대 등은 이미 전자, 자동차 분야에서 오랫동안 세계시장에서의 노하우를 축적하여 글로벌 경쟁의 대열 속에서 선진 브랜드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 브랜드조차도 북미나 유럽 등 소위 선진시장에서는 품질이나 신뢰도보다는 가격 대비 품질 측면으로 알려져 있고 디자인, 기술, 서비스 등 고품질의 브랜드 이미지 차원으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로만손 역시 7000달러짜리 최고급 시계를 개발하여 세계의 명품들과 정면 승부를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은 중고가 브랜드의 이미지가 강하다. 많은 한국기업들은 전략적으로 중앙아시아, 남미, 독립국가연합(CIS) 등 성장시장에서의 수출확장에 역점을 두어 왔다. 이는 마케팅 비용의 한계와 값에 비해 무난한 가치를 지닌 한국브랜드에 이들 시장이 적합해 보였기 때문이다.
LG, 삼성 등 중추적인 한국 기업들은 쇠퇴해 가는 이들 시장에서 벗어나서 유럽, 북미 등 선진국에서 활로 개척에 나서고 있으나 모기업 인지도 및 이미지의 열세로 고충이 큰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삼성이나 LG 정보통신의 북미시장 내 약진이 다소 호재로 작용하면서 이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미 현대 자동차 등은 브랜드의 자산가치가 상향조정 되는 등 종전의 가격 브랜드 이미지에서 환골탈태하려는 모습이다. 고객의 품질기대가 낮고 제조 국 이미지가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광고 등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한국의 브랜드가 프리미엄 급 품질수준이라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일이 급선무이다.
국내 기업이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조직의 경영안목 개선과 결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글로벌 브랜드에는 글로벌 마인드를 갖춘 CEO와 브랜드 마인드 셋(mindset)을 갖춘 구성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이를 위한 브랜드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H&M’과 같이 과감한 아웃소싱을 통한 선진 전략 시스템 구축과 구성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글로벌 브랜드의 성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충분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투자와 효율적인 관리에 있다. 북미 등 선진시장의 경우 필립스, 소니 등이 2~3년간 5억 달러 이상의 마케팅 비용을 투자하고 ‘H&M’이 매출액의 4%를 투자하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수천만 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우리 기업들은 마케팅 활동이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최근 북미 진출을 전격적으로 모색하고 있는 국내 굴지의 기업들조차 이 같은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해 저 비용으로 효율을 올리는 구조를 찾아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글로벌 시장은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무한한 시장이고 자국에서 검증 받은 브랜드 간의 격전지이다. 브랜드 관리에 있어 우연이란 없으며 필연적이고 객관적인 노력만이 핵심이다. 발 디딜 무대는 글로벌이지만 목표시장은 개별 국가이다. 글로벌 기획능력,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조직과 자원의 투자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목표시장의 공통된 욕구와 차별화된 욕구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거시적 운영이 필요하다.
참고
한국기업의 글로벌경영 사례집 2(2004). 박영사. 장세진 지음. 76~107쪽.
한국기업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광고정보센터. 이철.
기업 성장의 지름길, 글로벌 브랜드. 광고정보센터. 김유경.
글로벌 브랜드 스웨덴 ‘H&M’. 어패럴뉴스.
그 외 신문기사들.
추천자료
[크리스피 크림 분석]던킨 도넛 분석,크리스피 크림 기업분석,크리스피 크림 마케팅전략사례,...
REDBULL 레드불 한국시장 마케팅전략사례분석과 레드불 향후전략제안.PPT자료m
[CGV 마케팅,경영전략 business strategy케이스연구]CGV 기업분석과 SWOT분석,마케팅전략,경...
나이키 NIKE 기업분석과 글로벌 경영,마케팅전략 분석및 나이키 한국시장 진출전략사례와 문...
대한항공 기업분석과 SWOT분석/ 대한항공 마케팅전략,경영전략사례/ 대한항공 성공요인과 새...
롯데리아 기업분석과 SWOT분석/ 롯데리아 마케팅전략과 경영전략사례분석/ 롯데리아 향후발전...
유니클로 UNIQLO 전략사례연구 ( 유니클로 SWOT분석*마케팅전략*경영전략분석및 유니클로 문...
[A+] 제주항공 기업현황분석과 성공요인/ 제주항공 마케팅전략사례와 기업전략연구/ 제주항공...
[ 페덱스 경영,마케팅사례 PPT ] FedEx 페덱스 기업현황과 SWOT분석및 페덱스 마케팅전략과 ...
SONY 소니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SONY 소니 마케팅전략과 글로벌 경영전략사례분석및 SONY ...
아모레퍼시픽 성공비결과 SWOT분석및 아모레퍼시픽 마케팅,경영전략,글로벌전략사례및 아모레...
GS25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GS25 4P분석과 마케팅전략사례분석및 GS25 미래전략제언
[올리브영 마케팅기획안] 올리브영 성공요인과 마케팅,경영전략사례및 올리브영 남성고객유치...
이베이 ebay 성공전략과 SWOT분석및 이베이 경영전략마케팅사례분석과 이베이 미래전망연구 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