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소프- 란소프라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소화성궤양
▪ 정의
▪ 원인
▪ 발병기전
▪ 십이지장궤양과 위궤양은 어떻게 다를까?

2. 소화성 궤양 치료제
▪ H2 수용체 길항제 ( H2 receptor blocker )
▪ Proton pump inhibitor (PPI)
▪ 제산제
▪ 방어 인자 증강약

3. 란소프(Lansoprazole)

4. 작용 기전

5. 약물 동태
▪ 흡수
▪ 분포/ 대사
▪ 배설

6. 적응증

7. 안전성

8. 약물 상호 작용

9. 용법·용량

10. 란소프라졸에 관한 임상자료
▪ 역류성 식도염의 임상 평가
▪ 위·십이지장 궤양에 대한 Lansoprazole의 임상적 유용성의 검토
▪ 위 / 십이지장 궤양에서의 임상적 유용성의 검토
▪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에서의 임상적 유용성의 검토
▪ 십이지장 궤양에서의 임상적 유용성의 검토
▪ H.pylori에 대한 항균력
▪ 난치성 궤양에 대한 검토
▪ 난치성 궤양( H2 receptor antagonist 저항성 궤양)에서의 임상적 유용성 검토
▪ 문합부 궤양에서의 유용성 검토
▪ Zollinger Ellison Syndrom (임상과 새로운 Protom Pump Inhibitor의 치료효과)
▪ lansoprazole 투여가 유효한 Zollinger Ellison Syndrom 1예
▪ Lansoprazole 투여에서 장기 경과 관찰한Zollinger Ellison Syndrom 1예
▪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의 검토

11. Superiority of LANSOP over Omeprazole

12. Statement

13.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른다 . 수업시간에 배워서 란소프라졸 역시 PPI 인것은 알고 있었지만 오메프라졸과 어떤 다른점이 있는지 장단점은 무엇인지 궁금했다. 오메프라졸 성분이 들어간 넥시움이 교재에 소개되고 있어서 막연히 란소프라졸보다는 오메프라졸이 더 좋을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레포트를 쓰면서 오메프라졸이 가장 먼저 발매된 PPI 제제이고 란소프라졸은 그 뒤를 이은 약인것을 알았다. 또한 오메프라졸은 대체적으로 란조프라졸과 약리작용, 효과, 부작용 등은 비슷하나 산에 불안정하며 란조프라졸에 비해 위산 분비 억제 능력이 약하다는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란조프라졸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 ? 란소프라졸은 생체 이용율이 매우 높고 지방친화도가 높아 위벽 세포를 빠르게 통과하여 신속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H'/K' ATPase pump와 비가역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다시 효소가 합성될 때까지 위산 분비가 억제되므로 효과가 24시간 이상 지속된다. 최종단계에서 억제하기 때문에 위산 분비를 부분적으로 차단해주는 다른 약제와는 달리 , 자극원에 관계없이 위산분비를 직접 차단한다. 마지막으로 H.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하여 이로 인한 위궤양의 1차 선택제이다. 하지만 모든 약이 그렇듯 항상 장점만 있는것은 아니다 .위에서 보여주었듯이 아나필락시스 반응 ,번혈구감소 무과립구증 , 황달 , 중독성 표피괴사 반응등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최근 기사에서 심질환 기왕고령자가 란소프라졸 병용시 뇌증발현한다는 것을 보았다. 심혈관질환 기왕력을 보인 고령환자에서 프로톤펌프인히비터억제제(PPI)를 투여하자 미오쿨로누스(근경련)와 추체외로증후군을 동반하여 뇌증이 급속하게 발현했다면 이 약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 .
지금까지는 오메프라졸과 란소프라졸의 비교를 해보았다 . 좀더 크게 나아가 두 약물을 빗대어 신약개발의 접근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오메프라졸은 초점을 새로운 목표에 기반을 둔 PPI 계열의 첫 번째 제품의 연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단지 생산성의 차이를 메워줄 뿐이며, 이미 정립된 시장에 기반을 둔 것보다 느리고 시장성이 적은 것을 보여준다. 오히려 연구, 개발의 위험성은 높아진다. 이러한 경향은 2003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매출이 많은 10개 품목 중 단 한 품목만이 계열의 첫 번째 제품이었고, 나머지는 후발 제품이었던 것으로도 명확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개발은 실패 위험성도 높고, 또한 시장으로 진입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실제로 개발 단계에서 이미 안정된 시장 목표에서 신제품 출시 성공율은 새로운 목표시장에서의 신제품 출시 성공률 보다 훨씬 높았으며, 전 임상단계로의 진입도 약 17% 대 3%로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게다가 신제품 출시까지의 시간을 고려해보면 새로운 목표 시장에서의 신제품 출시는 이미 안정된 목표시장에서 신제품을 출시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 노력은 일조일석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기존 개발된 신약의 퍼스트 제네릭이나 두 번째 또는 세번째 클레스의 약을 개발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뿐만 아니라 수익성 제고 면에서도 분명히 유리한 측면이 있다.
실제로 위궤양 치료제 중 첫 번째 PPI인 오메프라졸과 두 번째PPI 클래스인 란소프라졸 등이 함께 시장을 선도해나가는 모습을 보면 이러한 신약 개발의 접근성이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시판중인 PPI 시장은 오메프라졸과 란소프라졸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작년 매출액은 24조원에 달하는 등 단일 약물로는 세계최대 규모다.
우리나라 역시 신약의 개발보다는 복제 의약품 ,즉 제네릭 약이 많다. 하지만 한미 FTA 의약품 협정에서 특허 보호가 강화됨에 따라 복제 의약품을 주로 생산하는 국내 중소 제약사의 피해가 예상된다. 덧붙여 한미 FTA 의약품 협정에 의해 오리지널 약품과 주요 성분은 같지만 부속 성분이나 제조방법을 다르게 하는 대형 제약사의 개량신약 개발도 차질을 빚을 것이다. 한미 FTA의 주요 쟁점 중 제약업계가 민감하게 여기고 있는 것은 의약품 특허 등 지식재산권 보호 분야이다. 정부는 자료 독점권, 의약품 허가와 특허 연계 등 미국 측이 요구한 핵심사항을 들어 줬다. 이에 따라 미국은 특허기간이 5년 정도 늘어나는 혜택을 보게 됐고 국내 제약사들이 제너릭 의약품(복제약)과 개량신약을 개발할 수 있는 통로를 가로막아 신약 개발국으로 도약할 기회를 상실할 위기에 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하지만 기존 항궤양 약물은 거의 특허가 만료되거나 만료 예정에 있는데다 현재 개발중인 PPI약물이 없다는 점 부작용이 적다는 점으로 보아 세계적 국산 신약탄생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고 밝게 전망하고 있다 .
이번 레포트로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됐음은 물론이고 오리지널약과 제네릭 약의 시장으로의 접근성 , 그리고 주로 제네릭 의약품을 사용하는 우리나라와 FTA 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단순히 약에 대한 레포트가 아닌 나의 지식과 경제적인 관점까지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11.참고문헌
http://www.kunwha.com/developer/document/근화란소프라졸캡슐.hwp
http://www.kdpharma.co.kr/products/product_view.htm?ProCode=143
http://www.samjinpharm.co.kr/ASP/_board/view.asp?id=product&key=product&link=num&num=158&gubun=
CJ뉴트라 http://www.cjnutra.com/
다음 미디어 다음 기사
약사 신문 http://www.pharmnews.co.kr/
과학기술정보 포털 사이트 http://www.yeskisti.net/yesKISTI/index.jsp
http://www.angelpharm.co.kr/disease/pepticulcer.htm
생물학 연구 정보 센터 http://bric.postech.ac.kr/
전문레포트 PPT :Proton Pump Inhibitor Prescribing Patterns In A District General Hospital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