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두통의 개념
Ⅱ. 두통의 기작
1. 구조적인 병변
2. 원발성 두통
Ⅲ. 두통의 분류
(1) [ 국제 두통학회 두통 분류 ](1988)
(2) [ 국제 두통학회 두통 분류 제 2 판(Neurology 2004;63:427-435)]
(3) [ 미국 신경학회 두통 분류](Arch Neur1962;l6:173-174)
Ⅳ. 임상증상
(1) 일차성 두통
(2) 이차성 두통
Ⅴ. 참고문헌
Ⅱ. 두통의 기작
1. 구조적인 병변
2. 원발성 두통
Ⅲ. 두통의 분류
(1) [ 국제 두통학회 두통 분류 ](1988)
(2) [ 국제 두통학회 두통 분류 제 2 판(Neurology 2004;63:427-435)]
(3) [ 미국 신경학회 두통 분류](Arch Neur1962;l6:173-174)
Ⅳ. 임상증상
(1) 일차성 두통
(2) 이차성 두통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IV. 두부신경염
X V. 두부 신경통
Ⅳ. 두통의 임상증상
1. 일차성 두통
발병(징후)
빈도/기간
양 상
전구증상,동반되는 증상
치료
긴장성 두통
ㆍ청소년기에 발생
ㆍ긴장이나 불안과 관련 가족력은 없음
ㆍ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변화
ㆍ두통의 정도는 약하거나 강하며, 지속시간은 몇 분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음
ㆍ둔하게 지속되며, 악화되는 통증-머리나 목주변의 압박이나 조임
ㆍ통증강도의 변화
: 보통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경부와 어깨부위로 방사된다.
ㆍ통증부위 불명확
ㆍ전구증상: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ㆍ동반되는 증상: 머리와 경부 근육의 수축상태가 계속된다. 활동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지 않음.
ㆍ마약성 진통제
ㆍ이완요법
ㆍAmitriptyline (Elavil)
편두통
ㆍ모든 연령층 발생
ㆍ유전성이 강해 가족력이 있음
ㆍ남<여
ㆍ삽화성 : 삶의 위기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
ㆍ오후 늦은 시간에 발생
ㆍ주기적 박동이 나타남.
ㆍ통증이 서서히 발생하여 점점 더 심해짐
ㆍ어느 한쪽의 통증이 특히 심각.(왼쪽, 오른쪽이 번갈아가면서 일측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신경학적문제, 특히 혈관 이상을 의미함.)
ㆍ초기 편두통 증상: 시각장애(채시, 시환각, 동측성 반맹, 양측두 반맹, 말초 시야의 상실과 시야의 결손 증상, 암점)ㆍ전구증상 : 시야결손, 혼동, 감각이상
ㆍ동반되는 증상 : 오심, 구토, 오한, 피로, 흥분, 발한, 부종
ㆍErgotamine tartrate
(주석산매각)
ㆍpropranolol
ㆍ비마약성진통제
ㆍ이완요법
집락성 두통
ㆍ청장년층의 남자에게서 이환
ㆍ알코올과 질산사용으로 두통 발작이 촉진됨
ㆍ통증의 삽화들은 수주 동안 매일 일어나다가 자연적 완화가 일어난다. 다음번 발작이 일어나기 전 수주, 혹은 수개월은 잘 지냄
ㆍ빠르게 연속적으로 나타남.
ㆍ수면중에 일어나기도 함.
ㆍ강하고 떨리는 편측 심부의 통증: 안와하부에서 시작하여 머리와 경부로 방사
ㆍ안와부와 측두부에서 강렬하고 일측성인 통증(30~90분 간 지속)
ㆍ전구증상: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ㆍ동반되는 증상 : 홍조, 유루, 비충혈, 비루, 코막힘, 발한, 측두혈관의 부종
ㆍ두통발작이 심할 대는 마약성 진통제를 근육주사
2. 이차성 두통
종류
특징
측두동맥염
♠ 증상 : 국소적으로 심한 두통과 식욕부진, 발열, 시야결손, 갑작스런 실명이 올수
있음.
♠ 진단 : 임상증상과 동맥촉진, 적혈구 침강속도의 증가, 백혈구 증가를 확인하고
측두동맥 생검을 실시
고혈압
♠ 증상 : 박동성이며, 창백, 오심, 구토, 빈맥이 동반
-아침에 일어날 때 발생
-구토를 동반할 경우 두개강내 병소로 인한 두통과 유사함.
-부신수질종양(pheochromocytoma)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함.
안구통증
♠ 증상 : 원인에 따라 다양
-후두부에 방사되는 안구통증(눈을 오래 사용할 시 심함, 휴식을 취하면 완화)
-계속적인 눈의 피로는 증상 악화
두개내압증가
♠ 환자가 잠에서 막 깨어났을 때 가장 심함.
→ 경막동이나 뇌혈관의 자극, 압박과 관련.
♠ 환자의 머리를 올리지 않고 편평한 침대에서 자게되면 중력에 의한 중심정맥의 배액이 저하되어 두통이 더욱 심해짐.
종양
♠ 종양의 위치나 형태, 성장속도에 따라 심하거나 경하고, 부분적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난다.
♠ 헐적으로 나타나며, 구토, 유두부종과 시각장애를 동반.
Ⅴ. 참고문헌
1. 최일생.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 정담. 2002; 293~303.
2. 현대가정의학. 현대건강연구회.1992; 105~137.
3. 전시자 외, (2001), 제3판 성인간호학 하 (2), 현문사
X V. 두부 신경통
Ⅳ. 두통의 임상증상
1. 일차성 두통
발병(징후)
빈도/기간
양 상
전구증상,동반되는 증상
치료
긴장성 두통
ㆍ청소년기에 발생
ㆍ긴장이나 불안과 관련 가족력은 없음
ㆍ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변화
ㆍ두통의 정도는 약하거나 강하며, 지속시간은 몇 분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이 걸릴 수도 있음
ㆍ둔하게 지속되며, 악화되는 통증-머리나 목주변의 압박이나 조임
ㆍ통증강도의 변화
: 보통 양측성으로 발생하며 경부와 어깨부위로 방사된다.
ㆍ통증부위 불명확
ㆍ전구증상: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ㆍ동반되는 증상: 머리와 경부 근육의 수축상태가 계속된다. 활동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지 않음.
ㆍ마약성 진통제
ㆍ이완요법
ㆍAmitriptyline (Elavil)
편두통
ㆍ모든 연령층 발생
ㆍ유전성이 강해 가족력이 있음
ㆍ남<여
ㆍ삽화성 : 삶의 위기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경향이 있음.
ㆍ오후 늦은 시간에 발생
ㆍ주기적 박동이 나타남.
ㆍ통증이 서서히 발생하여 점점 더 심해짐
ㆍ어느 한쪽의 통증이 특히 심각.(왼쪽, 오른쪽이 번갈아가면서 일측성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신경학적문제, 특히 혈관 이상을 의미함.)
ㆍ초기 편두통 증상: 시각장애(채시, 시환각, 동측성 반맹, 양측두 반맹, 말초 시야의 상실과 시야의 결손 증상, 암점)ㆍ전구증상 : 시야결손, 혼동, 감각이상
ㆍ동반되는 증상 : 오심, 구토, 오한, 피로, 흥분, 발한, 부종
ㆍErgotamine tartrate
(주석산매각)
ㆍpropranolol
ㆍ비마약성진통제
ㆍ이완요법
집락성 두통
ㆍ청장년층의 남자에게서 이환
ㆍ알코올과 질산사용으로 두통 발작이 촉진됨
ㆍ통증의 삽화들은 수주 동안 매일 일어나다가 자연적 완화가 일어난다. 다음번 발작이 일어나기 전 수주, 혹은 수개월은 잘 지냄
ㆍ빠르게 연속적으로 나타남.
ㆍ수면중에 일어나기도 함.
ㆍ강하고 떨리는 편측 심부의 통증: 안와하부에서 시작하여 머리와 경부로 방사
ㆍ안와부와 측두부에서 강렬하고 일측성인 통증(30~90분 간 지속)
ㆍ전구증상: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ㆍ동반되는 증상 : 홍조, 유루, 비충혈, 비루, 코막힘, 발한, 측두혈관의 부종
ㆍ두통발작이 심할 대는 마약성 진통제를 근육주사
2. 이차성 두통
종류
특징
측두동맥염
♠ 증상 : 국소적으로 심한 두통과 식욕부진, 발열, 시야결손, 갑작스런 실명이 올수
있음.
♠ 진단 : 임상증상과 동맥촉진, 적혈구 침강속도의 증가, 백혈구 증가를 확인하고
측두동맥 생검을 실시
고혈압
♠ 증상 : 박동성이며, 창백, 오심, 구토, 빈맥이 동반
-아침에 일어날 때 발생
-구토를 동반할 경우 두개강내 병소로 인한 두통과 유사함.
-부신수질종양(pheochromocytoma)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함.
안구통증
♠ 증상 : 원인에 따라 다양
-후두부에 방사되는 안구통증(눈을 오래 사용할 시 심함, 휴식을 취하면 완화)
-계속적인 눈의 피로는 증상 악화
두개내압증가
♠ 환자가 잠에서 막 깨어났을 때 가장 심함.
→ 경막동이나 뇌혈관의 자극, 압박과 관련.
♠ 환자의 머리를 올리지 않고 편평한 침대에서 자게되면 중력에 의한 중심정맥의 배액이 저하되어 두통이 더욱 심해짐.
종양
♠ 종양의 위치나 형태, 성장속도에 따라 심하거나 경하고, 부분적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난다.
♠ 헐적으로 나타나며, 구토, 유두부종과 시각장애를 동반.
Ⅴ. 참고문헌
1. 최일생.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 정담. 2002; 293~303.
2. 현대가정의학. 현대건강연구회.1992; 105~137.
3. 전시자 외, (2001), 제3판 성인간호학 하 (2),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