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입문 내상잡병 冒風 중한 서 중서 모서 서풍 서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내상잡병 冒風 중한 서 중서 모서 서풍 서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冒風

중한

서 중서 모서 서풍 서궐

본문내용

조화롭게 하고 습을 이뇨하고 소멸 인도케 하면 그 잡다한 증상이 저절로 제거된다.
夏月에 人多飮水하며 食冷, 故로 宜利濕에 兼以消導하대, 汗多者면 忌이니라.
하월에 인다음수하며 식랭 고로 의리습에 겸이소도하되 한다자면 기삼이니라.
여름에 사람이 물을 많이 마시며 찬 것을 먹으므로 습을 이수하며 겸하여 소도하되 땀이 많은 사람은 삼설을 금기한다.
○祛暑에는, 香茹散 黃連解毒湯 淸肺生脈散 白虎湯에 加蔘 柴요,
거서에는 향여산 황련해독탕 청폐생맥산 백호탕에 가삼 시요.
서사를 제거함에는 향여산 황련해독탕 청폐생맥산 백호탕에 인삼 시호를 가미한다.
寒熱不定에는, 小柴胡湯이니라.
한열부정에는 소시호탕이니라.
한열이 일정치 않음에는 소시호탕이다.
○和中에는, 大 小調中湯, 茹湯, 枇杷葉散, 胃湯, 桂甘露飮, 六和湯이니라.
화중에는 대 소조중탕 여령탕 비파엽산 위령탕 계령감로음 육화탕이니라.
중초 조화에는 대조중탕 소조중탕 여령탕 비파엽산 위령탕 계령감로음 육화탕이다.
寒鬱이 甚者면 須反治요,
한울이 심자면 수반치요.
한성 울결이 극심하면 반드시 반치법을 쓴다.
伏陰이 在內之時에, 避暑貪凉하고, 外又襲 陰冷之氣하야, 鬱 周身陽氣면, 宜辛溫으로 解散이니, 茹藿湯之類요.
복음이 재내지시에 피서탐량하고 외우습 음랭지기하야 울알 주신양기면 의신온으로 해산이니 여곽탕지류요.
잠복한 음이 안에 있을 때 더위를 피하고 찬 것을 탐하고 밖으로 또한 음랭의 기를 습격하여 주신의 양기가 울결하여 막히면 의당 신온미로 풀어 발산하니 여곽탕의 종류이다.
若外旣受寒하고, 內復傷冷이면, 加乾姜[薑] 砂仁 神麴이라.
약외기수한하고 내복상랭이면 가건강 사인 신국이라.
만약 외부로 이미 한사를 받고 안으로 다시 냉기에 손상하면 건강 사인 신국을 더한다.
若外觸暑氣하고, 內傷冷食하야, 以致 外熱內寒이면, 宜淸暑益氣湯이오.
약외촉서기하고 내상랭식하야 이치 외열내한이면 의청서익기탕이오.
만약 외부로 서기에 감촉하고 안으로 찬 음식에 손상하여 밖이 뜨겁고 안이 차면 청서익기탕이 의당하다.
若外不受寒하고, 止是 內傷生冷하야, 腹痛 嘔瀉면, 宜理中湯에 加麥芽 砂仁이라,
약외불수한하고 지시 내상생랭하야 복통 구사면 의이중탕에 가맥아 사인이라.
만약 외부로 한기를 받지 않고 다만 안으로 생랭음식물을 손상하여 복통 구토 설사하면 이중탕에 맥아와 사인을 더함이 마땅하다.
或大順散, 或二氣丹을, 冷水로 下丸이니라.
혹대순산 혹이기단을 냉수로 하삽환이니라.
혹은 대순산 혹은 이기단을 찬물로 30환을 연하한다.
皆治因暑傷冷이오, 非溫散으로 治暑之謂也니라.
개치인서상랭이오 비온산으로 치서지위야니라.
모두 서사로 원인하여 냉기에 손상함을 치료하지 온난 발산으로 서병을 치료함을 말함이 아니다.
誤服이면 發黃 發斑 蓄血하야 悶亂而死라.
오복이면 발황 발반 축혈하야 민란이사라.
잘못 복용하면 황달발생 반점발생 혈이 정축하여 답답하고 혼란하여 죽게 된다.
內傷에 滋補 免淸라,
내상에 자보 면청구라.
내상병에 자양하고 보하면 청수하고 마름을 면할 수 있다.
內傷勞役이나, 或素氣血이 虛弱하야 病暑者면, 一以滋補로 爲主하라,
내상노역이나 혹소기혈이 허약하야 병서자면 일이자보로 위주하라.
내상노역이나 혹은 평소 기혈이 허약하여 서병이 되면 한결같이 자보로 위주를 삼는다.
愼用大熱 大凉之劑니. 暑重하야 尿赤者면, 淸暑益氣湯이오,
신용대열 대량지제니 서중하야 뇨적자면 청서익기탕이오.
크게 뜨겁고 크게 찬 약제 사용을 삼가 사용하니, 서병이 위중하여 소변이 붉으면 청서익기탕이다.
暑輕하여 力倦者면, 補中益氣湯이로대 或爲丸이니라.
서경하여 역권자면 보중익기탕이로되 혹위환이니라.
서병이 경미하여 힘이 권태로우면 보중익기탕이나 혹은 환약으로 만든다.
中이면 暫加香茹 豆요.
중갈이면 잠가향여 편두요.
더위에 적중되면 잠시 보중익기탕에 향여와 편두를 더한다.
陰虛者면, 滋陰降火湯, 腎氣丸이니라.
음허자면 자음강화탕 신기환이니라.
음허증이면 자음강화탕과 신기환이다.
三伏이 炎蒸을 尤可畏니라,
삼복이 염증을 우가외니라.
삼복더위가 불타고 찜을 더욱 두려워할만 하다.
大熱은 傷氣하니, 養生家는 謂此時에 縱酒 恣色이면, 令人으로 內腎이 腐爛하야, 至秋 方凝하며, 甚則化水而死라 하니라.
대열은 상기하니 양생가는 위차시에 종주 자색이면 령인으로 내신이 부란하야 지추방응하며 심즉화수이사라 하니라.
큰 열은 기를 손상하니 양생하는 사람은 이 때에 방종하게 술마시고 마음대로 성행위를 하면 사람으로 하여금 내신이 썩고 문드러져서 가을에 바로 얼며 심하면 수로 변화하여 죽는다고 하였다.
預防이 不獨 羨香茹라.
예방이 부독 선향여라.
서병 예방이 홀로 향여만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時常 禦暑에, 體實者면, 香茹散 益元散이오, 虛者면 忌用이니라.
시상 어서에 체실자면 향여산 익원산이오 허자면 기용이니라.
때로 항상 서병을 막음에 체격이 충실한 사람은 향여산 익원산 허약자는 복용을 금기한다.
蓋脾虛者는, 不必因暑勞役과, 及乘凉致病이오,
개비허자는 불필인서노역과 급승량치병이오.
비가 허약하면 반드시 서병으로 노역하고 냉기로 병에 이를 필요가 없다.
每遇 春末夏初면, 頭疼 脚軟, 食少 體熱하니, 名은 注夏病이라,
매우 춘말하초면 두동 각연 식소 체열하니 명은 주하병이라.
매번 봄 끝과 여름 초에 두통과 다리 연약과 음식이 적고 체열이 있으면 이름을 주하병이라고 한다.
宜補中益氣湯에 去升 柴加黃柏 芍藥 五味子 麥門冬하대, 有痰이면 加半夏 姜[薑]汁이니, 實三伏 暑之聖藥也라.
의 보중익기탕에 거승 시가황백 작약 오미자 맥문동 하되 유담이면 가반하 강즙이니 실삼복 각서지성약야라.
의당 보중익기탕에서 승마 시호를 제거하고 황백 작약 오미자 맥문동을 더하되 담이 있으면 반하와 생강즙을 더하니, 실로 삼복더위때 더위를 물리치는 성스러운 약이다.
如氣衰하야 精神不足, 煩渴 懶食者면, 生脈散 誘行丸이오.
여기쇠하야 정신부족 번갈 라식자면 생맥산 유행환이오.
만약 기가 쇠약하여 정과 신이 부족하고 번갈하고 음식먹길 게을리 하면 생맥산과 유행환이요.
通用에 謝傳 萬病無憂散이니라.
통용에 사전 만병무우산이니라.
서병 통치에는 사씨가 전한 만병무우산을 사용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2.10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