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頭風 미릉골광통 한문 및 한글번역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잡병제강 내상 頭風 미릉골광통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導痰湯이오.
미릉골이 통하야 연목 불가개하며 주정야극 신중자면 도담탕이오.
미릉골이 아파서 눈까지 연결하여 뜨지 못하고 주간에 안정하고 야간에 극심하고 몸이 무거우면 도담탕이다.
濕痰으로 眉骨이 痛하며, 體重者면, 芎辛湯 合導痰湯에, 加川烏, 白朮이오.
습담으로 미광골이 통하며 체중자면 궁신탕 합도담탕에 가천오 백출이오.
습담으로 눈썹과 눈주위 뼈가 아프며 몸이 무거우면 궁신탕에 도담탕을 합방하고 천오 백출을 가미한다.
寒濕이면, 芎辛湯에 加川烏, 附子, 姜[薑], 桂, 南星이니라.
한습이면 궁신탕에 가천오 부자 강 계 남성이니라.
한습이면 궁신탕에 천오 부자 건강 계지 남성을 가미한다.
○風熱로 眉稜骨이 痛甚者면, 古防風湯에 加酒黃芩이오,
풍열로 미릉골이 통심자면 고방풍탕에 가주황금이오.
풍열로 미릉골이 통증이 극심하면 고방풍탕에 술로 담근 황금을 가미한다.
風虛면 加川烏, 草烏, 細辛이나, 或金棗丹이니라.
풍허면 가천오 초오 세신이나 혹금조단이니라.
풍허증이면 천오 초오 세신을 가미하거나 혹은 금조단이다.
血虛에 挾風하야, 羞明, 眉이 痛甚者면, 生熟地黃丸, 或四物湯에 加 羌, 防이오,
혈허에 협풍하야 수명 미광이 통심자면 생숙지황환 혹사물탕에 가 강 방이오.
혈허증에 풍사를 끼고 밝음을 싫어하고 눈썹과 눈자위가 통증이 극심하면 생숙지황환 혹 사물탕에 강활 방풍을 가미한다.
氣虛에 挾風이면, 安神湯이니라.
기허에 협풍이면 안신탕이니라.
기허증에 풍사를 끼면 안신탕이다.
○通用엔 謝傳點眼丹, 鼻藥이니라.
통용엔 사전점안단 축비약이니라.
미릉광통의 통치에는 사전점안단 축비약을 사용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17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