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선옥 작품 연구 - '멋진 한세상'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어미의 모성

2. 가난

3. 어미로서의 여성, 여성으로서의 욕구

◇마치며

본문내용

유는 없다」는 어미로서의 여성에서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지만 여성으로서의 욕구에는 또 여전히 그만큼의 거리를 두고 있는 듯 하다. 자신의 욕구에 충실해지기 위한 여행이라기보다는 계속해서 과거의 일들과 관련된 인물들만을 만나보려 하고, 여행의 목적에 대해서도 확실히 인식하지 못한다. 또 부양해야할 가족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는 없겠지만 ‘나’의 여행이 그저 짧은 가출에 그친다는 점은 이 작품의 아쉬움인 동시에 공선옥의 여성성이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를 주시해야할 이유가 되기도 한다.
◇마치며
공선옥 소설은 동시대 여성 작가들에 비해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있음이 틀림없다. 어미와 모성에 대한 천착, 가난과 가난한 자를 바라보는 깊이 있는 시선이 그것이다. 등단 이래 꾸준히 자신의 화두를 밀어붙이는 점은 분명 긍정적인 부분이며, 모성과 가난을 논의거리로 풀어나가는 것 역시 우리 문학사를 풍성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공선옥의 장점들이 한계점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은 지나칠 수 없는 사실이다. 모성과 가난에 대한 리얼리티가 작가의 체험에서 상당 부분 비롯되었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으나 몇몇 작품에서는 그것이 지나쳐 자서전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그리고 남편 없이 아이를 둘 셋 데리고 혼자 사는 어머니의 각박한 세상살이라는 설정은 공선옥의 많은 소설에서 되풀이되고 있고 그것이 점점 “어미”의 이미지로 굳어지고 있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어머니들의 모습을 다양하게 그려낸다면 공선옥이 앞으로 그려갈 모성의 세계에 더 동감할 수 있는 요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2.19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