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문화예술은 콘텐츠다
3. 공연의 질
4. 기업의 문화지원, 참여 유도
5. 관객지향주의 (관람객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
6. 이벤트
7. 무대와 관객
8. 주부들을 위한 공연 시간
9. 광고와 홍보 (여러가지 매체의 활용)
10. 인적자원의 관리와 활용
11. 마치며
2. 문화예술은 콘텐츠다
3. 공연의 질
4. 기업의 문화지원, 참여 유도
5. 관객지향주의 (관람객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
6. 이벤트
7. 무대와 관객
8. 주부들을 위한 공연 시간
9. 광고와 홍보 (여러가지 매체의 활용)
10. 인적자원의 관리와 활용
11. 마치며
본문내용
작품 정보제공 및 관객의 반응 접수
공연관람 후
각종 캐릭터 상품의 연계된 제품 PR
매니아 활성화(홈페이지 제작 소스제공 및 작품에 관련된 동호회 활성화 지원)
엽서 등을 통해 계속적 관객 관리
5)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
2005년 10월 14일 윤도현의 러브레터 (KBS2 밤 12시15분)에 두드락이 초대되어 공중파에서 소개 된 적이 있다. 나 역시 그 공연을 보게 되면서 자연히 두드락을 알게됐고 방송에서 열정적인 단원들의 무대에 주저없이 공연장까지 가게 된 동기가 되었다.
10. 인적자원의 관리와 활용
배우 : 공연이 끝나고 무대에서 배우들이 손을 흔들며 막이 내리자 배우들과는 그것으로 작별을 고해야 했다. 따로 찾아가 만나는 것이 아니라면 배우들을 다시 보기란 쉽지 않았다. 만약 배우들이 공연 후에 편하게 대면의 시간을 갖는다거나 사인회 혹은 사진을 같이 찍는 시간을 갖는다면 공연장을 찾은 사람들에게 두드락에 대한 좋은 추억과 배우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
직원 : 안내 데스크에 2명의 직원이 티켓을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을 보았다. 모든 표를 한 창구에서 해결하려 하지 말고 각 티켓의 성격에 따라 구분된 처리 분담을 통해 관람객에게 표를 끊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하며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11. 마치며
예술 마케팅은 목적은 개인이나 조직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환을 창조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으로, 단순한 이윤추구가 아니라 공연을 보는 관객들에게 심미적 기쁨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벌여 예술의 보급과 관객의 증대를 꾀하며 그것에서 비롯된 경제적인 수익을 얻는 것이다. 두드락이 사물놀이와 현대 악기를 이용해 신명나게 두들긴다는 것에서 마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나 세계 어디에 다른 공연팀들과 비교했을 때 차별되고 독특한 공연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예술 상품으로 서울의 브로드웨이가서울 팝콘홀이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인터넷 광고의 효과 과정]최환진/커뮤티케이션 북스
[세계의 공연예술기행 1] 최정호/ 시그마프레스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조서환,추성엽/위즈덤하우스
[세계를 난타한 남자 문화CEO 송승환] 송승환/북키앙
[공연제작(무대예술전문인자격검정표준교재)]양정현/교보문고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 마케팅] 최용호/인간사랑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김민주외 공저/미래의 창
[옥외 광고론] 서범석/나남출판
공연관람 후
각종 캐릭터 상품의 연계된 제품 PR
매니아 활성화(홈페이지 제작 소스제공 및 작품에 관련된 동호회 활성화 지원)
엽서 등을 통해 계속적 관객 관리
5)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
2005년 10월 14일 윤도현의 러브레터 (KBS2 밤 12시15분)에 두드락이 초대되어 공중파에서 소개 된 적이 있다. 나 역시 그 공연을 보게 되면서 자연히 두드락을 알게됐고 방송에서 열정적인 단원들의 무대에 주저없이 공연장까지 가게 된 동기가 되었다.
10. 인적자원의 관리와 활용
배우 : 공연이 끝나고 무대에서 배우들이 손을 흔들며 막이 내리자 배우들과는 그것으로 작별을 고해야 했다. 따로 찾아가 만나는 것이 아니라면 배우들을 다시 보기란 쉽지 않았다. 만약 배우들이 공연 후에 편하게 대면의 시간을 갖는다거나 사인회 혹은 사진을 같이 찍는 시간을 갖는다면 공연장을 찾은 사람들에게 두드락에 대한 좋은 추억과 배우와의 거리를 좁힐 수 있을 것이다.
직원 : 안내 데스크에 2명의 직원이 티켓을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을 보았다. 모든 표를 한 창구에서 해결하려 하지 말고 각 티켓의 성격에 따라 구분된 처리 분담을 통해 관람객에게 표를 끊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절약하며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11. 마치며
예술 마케팅은 목적은 개인이나 조직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환을 창조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으로, 단순한 이윤추구가 아니라 공연을 보는 관객들에게 심미적 기쁨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벌여 예술의 보급과 관객의 증대를 꾀하며 그것에서 비롯된 경제적인 수익을 얻는 것이다. 두드락이 사물놀이와 현대 악기를 이용해 신명나게 두들긴다는 것에서 마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나 세계 어디에 다른 공연팀들과 비교했을 때 차별되고 독특한 공연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예술 상품으로 서울의 브로드웨이가서울 팝콘홀이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인터넷 광고의 효과 과정]최환진/커뮤티케이션 북스
[세계의 공연예술기행 1] 최정호/ 시그마프레스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전략] 조서환,추성엽/위즈덤하우스
[세계를 난타한 남자 문화CEO 송승환] 송승환/북키앙
[공연제작(무대예술전문인자격검정표준교재)]양정현/교보문고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 마케팅] 최용호/인간사랑
[컬덕 시대의 문화마케팅] 김민주외 공저/미래의 창
[옥외 광고론] 서범석/나남출판
추천자료
문화마케팅으로 본 동아시아의 한류열풍
쌍용자동차의 문화마케팅
태평양의 문화마케팅 사례,사회공헌활동
문화마케팅 남이섬 사례
문화마케팅
문화예술기관의마케팅
문화마케팅과 간호
홍보도구로서의 문화마케팅이 기업 및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문화마케팅(Cultural Maketing)- 신한은행의 e-sports
[A+평가 레포트]문화마케팅의 개념, 구성요소, 기대효과
문화마케팅-장례문화
[Storytelling_Marketing]문화마케팅,하이마트의 시리즈 광고
[문화예술마케팅] 서울시교향악단(서울시향) {서울시향의 한계와 방향, 벤치마킹사례, 4P, SW...
[기업경영]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의 필요성, 윤리문화,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