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생애와 사상적 배경
1. 도산의 생애
2. 사상적 배경

Ⅱ. 철학 사상

III. 교육 사상
1. 교육 목적
1) 건전한 인격 함양
2) 무실역행 정신의 함양
3) 주인정신의 함양
2. 교육 내용
1) 건전한 인격의 훈련
2) 단결의 훈련
3) 민주 공민의 훈련
3. 교육방법
1) 동맹수련의 방법
2) 점진적 학습 방법
3) 대화의 방법
4) 솔선수범의 방법
4. 교육활동
1) 학교교육활동
2) 사회교육활동

Ⅳ. 도산 교육사상의 시사점
1) 민족주체성 교육
2) 교육입국사상(敎育立國思想)
3) 개방적 교육
4) 전인교육
5) 교육평등
6) 자율적 학습, 협동 학습
7) 모범을 보이는 교사
8) 점진(漸進)하는 학생
9) 대화를 통한 교육

본문내용

이런 모습은 솔선수범(率先垂範)하는 교사의 전형이다. 백 마디의 말 보다 한 번의 행동이 더 큰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도산은 알고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고 다른 사람이 따르지 않음을 한탄한다. 그리고 그들을 비난하기도 하고, 심지어 몰아세우기도 한다. 이는 자신이 변해야 세상이 변한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자신이 먼저 행하고, 그 행동이 올바르다면 자신의 주변부터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학교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교사가 자신의 생각 또는 기성세대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고 그것을 지키기를 강요하는 태도는, 도산의 입장에서 볼 때는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바가 있을 때, 자신이 먼저 원하는 바를 몸소 실천해서 학생들에게 보여준다면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지시나 강요에 의한 교육효과는 일시적인 데 반해, 교사의 실천적 모범에 의한 교육은 효과 또한 오래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8) 점진(漸進)하는 학생
점진(漸進)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점점(천천히) 나아간다.’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점진의 참 뜻은, 일의 크고 작음을 가리지 않고 성실하게 차근차근 깨달아 나가는 것에 있다. 일에는 순서가 있고 그 순서에 따라 성실히 행해야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그 기초가 튼튼하지 않거나 꾸준히 행하지 않는다면 큰 일을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점진은 교육방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사 모든 일에 적용될 수 있다. 공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서, 그리고 사람들 간에 일어날 수 있는 수많은 관계 속에도 점진의 원리는 적용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감각적, 즉흥적인 것에 너무 길들여져 있다. 문자의 시대에서 음성의 시대로 음성의 시대에서 영상의 시대로 변화함에 따라 우리는 더이상 생각할 필요가 없어졌다. 모든 것을 다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것을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까? 우리는 어쩌면 상상이 허용되지 않는 불행한 시대에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자신이 원하는 바를 직접 보고 느끼고 경험하지 못하면 불안감까지 느끼는 이런 시대에, 차근차근 그리고 요령 피우지 않는 성실함을 말하는 것은 시대를 거스르는 생각일까?
9) 대화를 통한 교육
도산은 고대 철학자 소크라테스와 같이 교육에 있어서의 “대화”를 중시한다. 교수자는 단순히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달해주는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인 대화를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진리를 깨우치도록 돕는 조력자이다. 도산에게 있어 교사는 학생 위에 군림하는 권위자가 아니고, 학생과 평등한 관계에서 그들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 주는 개방적인 존재인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 교육현장에서는 이런 대화를 통한 교육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교사는 정해진 지식을 전달하는데 급급하고, 학생들은 이런 지식들을 받아들이느라 정신이 없다. 사제지간의 대화는 한 학기에 한 번 정도 밖에 없는 상담시간이 고작이고, 날마다 진행되는 수업시간조차도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로 끝을 맺을 뿐이다.
도산 안창호의 “대화를 통한 교육사상”은 갈수록 삭막해져가는 교육환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교사의 일방적인 교수과정에서 묵살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을 대화를 통해 들어보고, 교사는 학생들의 생각을 더욱 성숙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도와준다면 이는 주입식 교육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교사는 ‘이렇게 해라, 이것이 옳다’라는 식의 권위적인 태도를 버리고, 대화를 통해 학생을 이해하고 이 과정에서 학생 스스로가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대화의 교육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 교사와 학생 사이의 대화가 단절되면 이는 곧 죽은 교육이 된다는 점을 오늘과 미래의 교사들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책 >
김선양, 『현대 한국교육사상사』, 한국학술정보, 2004.
손인수, 『한국교육사상가평전Ⅱ』,서울 문음사, 1990, p. 354
안병욱 외, 『안창호 평전』, 도서출판 청포도, 2004.
윤병석윤경로 엮음,『안창호 일대기』, 역민사, 1995.
이광수,『도산 안창호』하서출판사, 2000.
흥사단 출판부, 『도산 안창호』1983.
興士團 出版部, 『興士團 運動 七十年史』, 1986.
< 학술지, 논문 >
장을병, 「도산의 민주주의」,『도산사상연구 제2집 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연구사, 1993.
한기언, 「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도산사상연구 제2집 변혁기의 개혁운동과 도산사상』, 연구사, 1993.
徐英勳, 『永遠한 겨레의 스승 島山 安昌浩』, 「스승의 길」, 서울시교육위원회, 1984.
黃義東,「島山 思想에 關한 考察」, 學生生活硏究, Vol.11 No, 청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9.
崔昌範,「島山 安昌浩의 敎育思想과 現代的 意味 考察」, 제주대학교 석사논문, 2003.
최관경,「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 釜山敎育大學, 論文集 Vol.27 No.1, 1991.
具奉洙,「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의 교육사상」, 淸州敎育大學校, 論文集 Vol.20, 1983.
주봉노,「島山 安昌浩의 歷史意識과 社會敎育思想」, 長安專門大學 社會科學硏究所, 社會科學硏究, Vol.10 No.1, 2001.
길창근,「島山 安昌浩의 生涯와 敎育思想에 대한 考察」, 長安專門大學 社會科學硏究所, 社會科學硏究, Vol.6 No.1, 1997.
김승동, 「도산의 교육이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7.
안두진,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4.
문병준, 「도산 안창호의 민적개조론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3.
연승흠,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5.
박영주, 「안창호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4.
< 기타 >
흥사단 홈페이지(www.yka.or.kr)
도산 안창호 온라인 기념관 - www.ahnchangho.or.kr
박의수 교수님 홈페이지(http://impes.pe.kr)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3.03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