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스키 장비 설명
Ⅱ. 스키 착용 및 해제
Ⅲ. 넘어 지는 법과 일어서는 법
Ⅳ. 방향 바꾸기
Ⅴ. 등행
Ⅵ. 보행
Ⅶ. 리프트 타기와 내리기
Ⅷ. 기본 자세 와 중경자세
Ⅸ. 플루크(프르그)
X. 슈템턴
Ⅱ. 스키 착용 및 해제
Ⅲ. 넘어 지는 법과 일어서는 법
Ⅳ. 방향 바꾸기
Ⅴ. 등행
Ⅵ. 보행
Ⅶ. 리프트 타기와 내리기
Ⅷ. 기본 자세 와 중경자세
Ⅸ. 플루크(프르그)
X. 슈템턴
본문내용
가할 경우 스키의 중심에 있을 수 있다.
초보자는 스피드에 두려움과 무서움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한 번 넘어지지 뭐'라는 무서움을 이겨 나가도록 한다면 스키 실력이 발전할 수 있다.
초보에 있어서 프르그는 중, 상급 기술을 얼마나 잘 구사할 수 있는지와 연관되어 있다.
<프르그 보겐 자세>
[유의점]
① 인체중심이 가운데(중앙)에 정렬되어 있어야 하며 스키 앞부분(탑)이 겹치지 않아야 한다.
② 몸이 뒤로 빠지면 감속이 되지 않고 오히려 더 가속이 된다.
③ 허리만 숙이고 엉덩이를 빼는 자세는 몸이 경직된(힘이 많이 들어간)이에게 많이 나타나므로 편안히 탈 수 있게 유도 한다.
④ 턴할 시 스키 앞부분(탑)이 벌어지지 않게 유의 한다.
⑤ 처음 출발부분에서 스키의 모양을 프르그 모양으로 정확히 만들어야 한다. 처음부터 정확하지 않은 자세로 출발할 경우 출발부터 약간 비스듬히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⑥ 체중을 실어줄 때 무릎이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무릎이 붙을 경우 에지의 각도가 많이 세워져 스키의 미끄러짐을 이용한 턴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⑦ 한쪽 스키에 체중을 실어줄 때 스키의 앞 부분이 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키의 앞부분이 열리게 되면 스키의 회전력을 약화시키므로 스키를 배우는 초보자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기에 주의해 야 한다.⑧ 스키의 모양인 프르그의 모양은 처음 시작과 정지할 때까지 모양의 변화가 있으면 않된다.
X. 슈템턴
"슈템 턴" 북 아메리카에선 "너비스 턴"(Novice Turn)이라 칭하기도 한다.
슈템턴이란 보겐(A자 스키)에서 패러렐로 넘어가기 위한훈련 법이라고 할 수 있다.
A자 스키로 슬로프에 대한 공포감과 턴을 하기 위한 체중이동에 감을 익히 셨을 경우 배우는 동작인데 일단 턴을 시작할때 A자로 턴을 들어 간다. 익숙한 체중이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턴이 시작되고, 이때 턴을 주도하는 바깥쪽 다리에 체중이동이 완벽하게 된 경우 안쪽발을 들어서 바깥쪽 다리에 붙여 플레이트를 11자로 만든다. 이로서 제동이 되고 턴이 완료 된다. 다음턴이 시작 되기 전까지 쭉 패러렐 형태를 유지 하다가 턴을 준비하면서 산쪽(슬로프 위쪽)에 위치한 다리를 벌리면서 A자를 만들어 턴을 시작한다. 이런 형태를 반복하면 슈템턴을 구사할 수 있는 것이다.
<슈템턴 산쪽 그림>
A. 패러렐 턴 (다리모으고 타기)라고 하는 기술을 구사하기전의 연습 종목이라고 할 수 있는 이 턴은 항상 아래 쪽 스키 (계곡 쪽 스키)에 하중을 딛고 위쪽 스키 (산쪽 스키)의 테일을 넓혔다가 모으는 기술이다. B. 전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 전에 스키 테일을 모은 다음 턴을 하는 기술이다. A자형으로 진행하기가 a지점 전, 업 동작시 위쪽 스키 (산쪽스키)에 체중을 옮긴 후 가한 다음 아래쪽 스키 (계곡스키)를 a지점에서 끌어 당겨 모아서 회전한다. C. 중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에서 스키를 모아 턴을 하는 기술이다. 11자형으로 진행하다가 최대경사선 전에 위쪽 스키(산쪽스키) 테일을 넓히면서 업동작시 체중이동을 한 다음 하중을 가한 다음 최대 경사선에서 스키를 모아 호전한다. D. 후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 을 지나 스키를 모아서 턴을 만드는 기술 이다. 11자형으로 진행하다가 최대경사선 에서 업동작하면서 위쪽 스키 (산쪽스키)를 넓히며 체중이동을 한 후 최대경사선을 지나 스키를 모아서 턴을 11자로 다시 만든다. 여기 중급 기술에서도 초급기술과 마찬가지로 업 동작시 동작을 크게 하고 후경되지 않도록 부츠 정강이에 대고 업동작을 하며 시선도 앞을 본다. 중급기술의 하중도 초급기술과 같이 한 번의 힘을 가하지 않고 서서히 점점 강하게 가하여 매끈한 턴을 만들도록 한다. 후반부 -> 중반부 -> 전반부 슈템턴으로 연습하여 자연스런 체중이동이 되도록 충분한 연습으로 기술을 익혀 턴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부 록
스키 준비운동
1. 먼저 부츠만 신고 시작 한다
손목·발목 돌리기▶무릎돌리기▶짧게눌러주기▶허리돌리기▶앞으로굽히기▶뒤로젖히기
▶어깨운동▶목운동
2. 스키를 신고 시작한다.
폴 집고 스키 앞뒤로 움직이기▶한쪽스키 직각으로 들었다 놓기▶폴뒤로 찍고 허리틀기▶
▶테일 찍고 다리 스트레칭▶폴 찍고 점프하기
스키 안전수칙
1. 폴을 가지고 절대 허리 높이이상 들지 않는다.(폴로 장난을 하다 자칫 잘못 하면 큰 사고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꼭!!! 아이들에게 주의를 주어야 한다.)
2. 스키를 들고 이동시에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좌우를 살피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3. 스키를 타다 넘어졌을 경우 또 다른 사고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사면을 살피고 일어 날 수 있도록 한다.
4. 정지시나 휴식시에는 슬로프 가장자리를 이용 하도록 한다.
5. 충돌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 될 때에는 소리쳐서 경고한 후 미리 넘어져야 한다.
6. 힘이 들어 스키를 못타는 경우(피로시 부상우려가 몇배는 올라간다고 함)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무리한 스키는 하면 안된다.
간단한 스키 용어
산쪽, 계곡쪽 : 사면에서 있을 때 위쪽을 산쪽이라 하고 아래쪽을 계곡쪽이라 한다.
슬로프(slope) : 스키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눈을 다져 놓은 곳.
업 다운(up-down) : 활주하는 동안 인체중심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
엣지(edge) : 스키의 바닥면 가장 자리를 따라 둘러져 있는 예리한 특수합금 모서리 바닥면과 같은 면에 측면벽을 보강한다. 스키 활주면의 양쪽 모서리.
엣징(edging) : 스키 엣지로 눈위를 저항을 주는 동작. 스키 활주면의 양쪽 가장자리의 금속부분을 엣지라고 하며 설 면에 스키를 비스듬히 세워 접촉시키는 것을 엣징이라 한다.
스키딩: 특히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에징을 조절하여 스키를 옆 방향으로 미끄러뜨리는 턴의 총칭.
전경자세 : 몸의 중심체가 앞으로 많이 쏠려 있는 상태에서 스킹을 하는 자세
중경자세 : 상체는 전경, 상체와 힙의 가운데 즉 몸의 중심체는 중경, 힙은 후경 >>good
후경자세 : 몸의 중심체가 뒤로 빠져 있는 상태에서 스킹을 하는 자세
초보자는 스피드에 두려움과 무서움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한 번 넘어지지 뭐'라는 무서움을 이겨 나가도록 한다면 스키 실력이 발전할 수 있다.
초보에 있어서 프르그는 중, 상급 기술을 얼마나 잘 구사할 수 있는지와 연관되어 있다.
<프르그 보겐 자세>
[유의점]
① 인체중심이 가운데(중앙)에 정렬되어 있어야 하며 스키 앞부분(탑)이 겹치지 않아야 한다.
② 몸이 뒤로 빠지면 감속이 되지 않고 오히려 더 가속이 된다.
③ 허리만 숙이고 엉덩이를 빼는 자세는 몸이 경직된(힘이 많이 들어간)이에게 많이 나타나므로 편안히 탈 수 있게 유도 한다.
④ 턴할 시 스키 앞부분(탑)이 벌어지지 않게 유의 한다.
⑤ 처음 출발부분에서 스키의 모양을 프르그 모양으로 정확히 만들어야 한다. 처음부터 정확하지 않은 자세로 출발할 경우 출발부터 약간 비스듬히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⑥ 체중을 실어줄 때 무릎이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무릎이 붙을 경우 에지의 각도가 많이 세워져 스키의 미끄러짐을 이용한 턴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⑦ 한쪽 스키에 체중을 실어줄 때 스키의 앞 부분이 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키의 앞부분이 열리게 되면 스키의 회전력을 약화시키므로 스키를 배우는 초보자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기에 주의해 야 한다.⑧ 스키의 모양인 프르그의 모양은 처음 시작과 정지할 때까지 모양의 변화가 있으면 않된다.
X. 슈템턴
"슈템 턴" 북 아메리카에선 "너비스 턴"(Novice Turn)이라 칭하기도 한다.
슈템턴이란 보겐(A자 스키)에서 패러렐로 넘어가기 위한훈련 법이라고 할 수 있다.
A자 스키로 슬로프에 대한 공포감과 턴을 하기 위한 체중이동에 감을 익히 셨을 경우 배우는 동작인데 일단 턴을 시작할때 A자로 턴을 들어 간다. 익숙한 체중이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턴이 시작되고, 이때 턴을 주도하는 바깥쪽 다리에 체중이동이 완벽하게 된 경우 안쪽발을 들어서 바깥쪽 다리에 붙여 플레이트를 11자로 만든다. 이로서 제동이 되고 턴이 완료 된다. 다음턴이 시작 되기 전까지 쭉 패러렐 형태를 유지 하다가 턴을 준비하면서 산쪽(슬로프 위쪽)에 위치한 다리를 벌리면서 A자를 만들어 턴을 시작한다. 이런 형태를 반복하면 슈템턴을 구사할 수 있는 것이다.
<슈템턴 산쪽 그림>
A. 패러렐 턴 (다리모으고 타기)라고 하는 기술을 구사하기전의 연습 종목이라고 할 수 있는 이 턴은 항상 아래 쪽 스키 (계곡 쪽 스키)에 하중을 딛고 위쪽 스키 (산쪽 스키)의 테일을 넓혔다가 모으는 기술이다. B. 전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 전에 스키 테일을 모은 다음 턴을 하는 기술이다. A자형으로 진행하기가 a지점 전, 업 동작시 위쪽 스키 (산쪽스키)에 체중을 옮긴 후 가한 다음 아래쪽 스키 (계곡스키)를 a지점에서 끌어 당겨 모아서 회전한다. C. 중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에서 스키를 모아 턴을 하는 기술이다. 11자형으로 진행하다가 최대경사선 전에 위쪽 스키(산쪽스키) 테일을 넓히면서 업동작시 체중이동을 한 다음 하중을 가한 다음 최대 경사선에서 스키를 모아 호전한다. D. 후반부 슈템턴 : 최대 경사선 (fall line) 을 지나 스키를 모아서 턴을 만드는 기술 이다. 11자형으로 진행하다가 최대경사선 에서 업동작하면서 위쪽 스키 (산쪽스키)를 넓히며 체중이동을 한 후 최대경사선을 지나 스키를 모아서 턴을 11자로 다시 만든다. 여기 중급 기술에서도 초급기술과 마찬가지로 업 동작시 동작을 크게 하고 후경되지 않도록 부츠 정강이에 대고 업동작을 하며 시선도 앞을 본다. 중급기술의 하중도 초급기술과 같이 한 번의 힘을 가하지 않고 서서히 점점 강하게 가하여 매끈한 턴을 만들도록 한다. 후반부 -> 중반부 -> 전반부 슈템턴으로 연습하여 자연스런 체중이동이 되도록 충분한 연습으로 기술을 익혀 턴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부 록
스키 준비운동
1. 먼저 부츠만 신고 시작 한다
손목·발목 돌리기▶무릎돌리기▶짧게눌러주기▶허리돌리기▶앞으로굽히기▶뒤로젖히기
▶어깨운동▶목운동
2. 스키를 신고 시작한다.
폴 집고 스키 앞뒤로 움직이기▶한쪽스키 직각으로 들었다 놓기▶폴뒤로 찍고 허리틀기▶
▶테일 찍고 다리 스트레칭▶폴 찍고 점프하기
스키 안전수칙
1. 폴을 가지고 절대 허리 높이이상 들지 않는다.(폴로 장난을 하다 자칫 잘못 하면 큰 사고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꼭!!! 아이들에게 주의를 주어야 한다.)
2. 스키를 들고 이동시에도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좌우를 살피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3. 스키를 타다 넘어졌을 경우 또 다른 사고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사면을 살피고 일어 날 수 있도록 한다.
4. 정지시나 휴식시에는 슬로프 가장자리를 이용 하도록 한다.
5. 충돌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 될 때에는 소리쳐서 경고한 후 미리 넘어져야 한다.
6. 힘이 들어 스키를 못타는 경우(피로시 부상우려가 몇배는 올라간다고 함)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무리한 스키는 하면 안된다.
간단한 스키 용어
산쪽, 계곡쪽 : 사면에서 있을 때 위쪽을 산쪽이라 하고 아래쪽을 계곡쪽이라 한다.
슬로프(slope) : 스키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눈을 다져 놓은 곳.
업 다운(up-down) : 활주하는 동안 인체중심을 위, 아래로 움직이는 동작.
엣지(edge) : 스키의 바닥면 가장 자리를 따라 둘러져 있는 예리한 특수합금 모서리 바닥면과 같은 면에 측면벽을 보강한다. 스키 활주면의 양쪽 모서리.
엣징(edging) : 스키 엣지로 눈위를 저항을 주는 동작. 스키 활주면의 양쪽 가장자리의 금속부분을 엣지라고 하며 설 면에 스키를 비스듬히 세워 접촉시키는 것을 엣징이라 한다.
스키딩: 특히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에징을 조절하여 스키를 옆 방향으로 미끄러뜨리는 턴의 총칭.
전경자세 : 몸의 중심체가 앞으로 많이 쏠려 있는 상태에서 스킹을 하는 자세
중경자세 : 상체는 전경, 상체와 힙의 가운데 즉 몸의 중심체는 중경, 힙은 후경 >>good
후경자세 : 몸의 중심체가 뒤로 빠져 있는 상태에서 스킹을 하는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