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 체코 개관
* 주요연표
* 체코정치
* 경제지표
* 주요 경제 지표
* 경제전반
* 인플레이션
* 대외무역
* 투자관련 주요정책
* 해외투자유치 현황
* 경제체제전환
* 경제체제 전환의 기본정책
* 체제전환기의 경제지표
* 경제체제변환의 성과
* 현재 경제 정책
* 해외투자유치 인센티브 제도
* 투자 이점
* 체코의 주요산업
* 주요산업(운송장비)
* 자동차 산업 생산 추이
* 주요산업(관광업)
* 주요산업(제약,의료)
* 한ᆞ체코 관계
* 한국의 對 체코 수출입현황
* 한국 대 체코 주요 품목별 수출추이
* 한국의 대 체코투자현황
* 한국의 진출 방향
* 수출 유망 품목
* 한국기업의 투자이점
* 시사점
* 주요연표
* 체코정치
* 경제지표
* 주요 경제 지표
* 경제전반
* 인플레이션
* 대외무역
* 투자관련 주요정책
* 해외투자유치 현황
* 경제체제전환
* 경제체제 전환의 기본정책
* 체제전환기의 경제지표
* 경제체제변환의 성과
* 현재 경제 정책
* 해외투자유치 인센티브 제도
* 투자 이점
* 체코의 주요산업
* 주요산업(운송장비)
* 자동차 산업 생산 추이
* 주요산업(관광업)
* 주요산업(제약,의료)
* 한ᆞ체코 관계
* 한국의 對 체코 수출입현황
* 한국 대 체코 주요 품목별 수출추이
* 한국의 대 체코투자현황
* 한국의 진출 방향
* 수출 유망 품목
* 한국기업의 투자이점
* 시사점
본문내용
* 주요연표
1918년 habsburg 제국붕괴 체코슬로바키아 건립
1939년 나치 독일 체코스로바키아 점령
1945년 해방
1948년 체코공산당의 무혈 쿠데타 성공
1968년 프라하의 봄 및 소련의 진압
1970년 vaclav havel 반체제그룹
1989년 벨벳혁명으로 공산정권 붕괴
1991년 민영화부, 민영화대상 기업목록 발표
1992년 제 1차 민영화
1993년 슬로바키아 분리
1994년 제 2차 민영화
1996년 vaclav klaus 총리체제전환 종료 선언
1997년 통화위기
1998년 eu 가입협상 시작
1999년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2004년 유럽연합 가입
체코정치
<정치정세>
1989.11 벨벳혁명(Velvet Revolution)을 통해 자유진영으로 편입된 이래, 의회 민주주의 시행중
자유정부 출범이래 그간 4차에 걸쳐 실시된 총선(92.6, 96.6, 98.6, 02.6)에서 시민민주당 주도하의 우파 연정(92.6 및 96.6)과 사민당 주도하의 중도좌파 연정(98.6) 출현
06.6월 실시된 제5차 총선에서 종전 집권당이었던 사회민주당이 제2당으로 전락하고, 시민민주당이 제1당으로 부상
제1당인 시민민주당측은 당초 기독민주연합 및 녹색당과의 중도우파 연정을 추진했으나, 과반수 의석확보에 미달하고 제2당인 사회민주당의 반대로 인해 이를 포기하였으며, 현재는 시민민주당 소수당 정부 구성을 사민당과의 협의하에 추진 중
Klaus 대통령은 8.14 시민민주당 당수인 Topolanek을 총리로 지명하고 내각구성을 위임한 상태인 바, 정식 내각 출범을 위해서는 하원의 신임투표를 통과해야함.
체코는 의원내각제로서 하원의원 임기는 4년, 상원의원 임기는 6년
상원의원은 매 2년마다 1/3(24명)의 의원이 선거를 통해 교체
상원은 하원통과 법률안 심의 등 제한된 기능만 수행
경제지표
체코 경제는 97년 금융위기 직후 97~99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바있으나 구조개혁 및 투자인센티브법 도입(98.4)을 통한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 등을 통해 2000년부터 경제회복으로 반전
특히 2004.5월 eu 가입에 따른 수출 호조및 투자증가의 영향으로 2004년 4.2%의 경제성장에 이어 2005년에는 최초의 무역흑자 및 6%의 경제성장을 달성함
2010년 유로화 채택 및 2008년 ERM II 가입을 예정하고 있으나, 재정적자(2004년 GDP의 3.9%, 2005년 3.6%)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이의 시정노력의 일환으로 부가세율 조정, 공공부문 임금 및 정부예산 삭감, 복지혜택 축소 등을 추진중
2000년대 들어 경제성장의 지속과 기업환경과 노동시장의 효율성 개선 등에 따라 경기침체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
1918년 habsburg 제국붕괴 체코슬로바키아 건립
1939년 나치 독일 체코스로바키아 점령
1945년 해방
1948년 체코공산당의 무혈 쿠데타 성공
1968년 프라하의 봄 및 소련의 진압
1970년 vaclav havel 반체제그룹
1989년 벨벳혁명으로 공산정권 붕괴
1991년 민영화부, 민영화대상 기업목록 발표
1992년 제 1차 민영화
1993년 슬로바키아 분리
1994년 제 2차 민영화
1996년 vaclav klaus 총리체제전환 종료 선언
1997년 통화위기
1998년 eu 가입협상 시작
1999년 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2004년 유럽연합 가입
체코정치
<정치정세>
1989.11 벨벳혁명(Velvet Revolution)을 통해 자유진영으로 편입된 이래, 의회 민주주의 시행중
자유정부 출범이래 그간 4차에 걸쳐 실시된 총선(92.6, 96.6, 98.6, 02.6)에서 시민민주당 주도하의 우파 연정(92.6 및 96.6)과 사민당 주도하의 중도좌파 연정(98.6) 출현
06.6월 실시된 제5차 총선에서 종전 집권당이었던 사회민주당이 제2당으로 전락하고, 시민민주당이 제1당으로 부상
제1당인 시민민주당측은 당초 기독민주연합 및 녹색당과의 중도우파 연정을 추진했으나, 과반수 의석확보에 미달하고 제2당인 사회민주당의 반대로 인해 이를 포기하였으며, 현재는 시민민주당 소수당 정부 구성을 사민당과의 협의하에 추진 중
Klaus 대통령은 8.14 시민민주당 당수인 Topolanek을 총리로 지명하고 내각구성을 위임한 상태인 바, 정식 내각 출범을 위해서는 하원의 신임투표를 통과해야함.
체코는 의원내각제로서 하원의원 임기는 4년, 상원의원 임기는 6년
상원의원은 매 2년마다 1/3(24명)의 의원이 선거를 통해 교체
상원은 하원통과 법률안 심의 등 제한된 기능만 수행
경제지표
체코 경제는 97년 금융위기 직후 97~99년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바있으나 구조개혁 및 투자인센티브법 도입(98.4)을 통한 외국인 투자유치 정책 등을 통해 2000년부터 경제회복으로 반전
특히 2004.5월 eu 가입에 따른 수출 호조및 투자증가의 영향으로 2004년 4.2%의 경제성장에 이어 2005년에는 최초의 무역흑자 및 6%의 경제성장을 달성함
2010년 유로화 채택 및 2008년 ERM II 가입을 예정하고 있으나, 재정적자(2004년 GDP의 3.9%, 2005년 3.6%)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이의 시정노력의 일환으로 부가세율 조정, 공공부문 임금 및 정부예산 삭감, 복지혜택 축소 등을 추진중
2000년대 들어 경제성장의 지속과 기업환경과 노동시장의 효율성 개선 등에 따라 경기침체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