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근동지역의 역사와 민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 근동지역의 역사와 민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대 근동의 역사

2.고대 근동의 지역별 역사
1)메소포타미아의 역사
2)이집트 역사

3.팔레스틴과 레반트의 역사

4. 고대 근동의 민족
1) 메소포타미아 계곡
2) 나일 계곡
3). 소아시아와 레반트

본문내용

레스틴에 살았지만 그들 권력의 중심은 아나톨리아(Anatolia, Turkey)에 있었다.
헷인은 남부 러시아로부터 온 듯하고 아나톨리아로 이동한 첫 번째 사람도 유럽피안들이었다. 이들은 거기서 카티(Khatti)라고 불리우는 민족과 혼합했고, 그후 주전 1400-1200동안 13명의 왕들에 의해 강력한 제국을 건설하였고, 애굽을 누르고 바벨론인과 후리인을 정복하였으나 도리아인(the Doric)의 침입으로 자기의 영토에서 쫓겨난 그리스인에 의해 패망했다.
헷인은 히브리인과 같이 과부가 고인의 형제와 결혼하는 관습을 가졌고 역시 히브리 왕들이 사용한 창을 낸 벽돌을 세우는 등 이들의 계약은 구약에 서술된 것들과 매우 유사했다.
다. 하비루인 (the Habiru)
히브리인(the Hebrews)과 아카드인이 하비루인/하피루인 이라고 불렀고애굽인이 아피루인/아페루인 이라고 부른 민족과의 관련성은 학자들이 풀기에 어려운 수수께끼였다. 그러나 음성학적으로 그 이름은 히브리란 말에 상당한다.
성경 이외의 문헌에서 하비루인은 주전 2000년전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모든 고대의 근동 지역에 나타난다. 올브라이트는 그들을 “당나귀 대상(隊商)들”이라고 부르는데, 적어도 이들은 유목민이었고 산적들, 노예들, 장인(匠人)들, 악사들과 같은 역할을 했다.
텔 엘-아마르나(Tell 디-Amarna)에 이들은 여호수아 영도하의 히브리인이 그랬던 것처럼 동부에서 팔레스틴을 공격한 것으로 기술되고 있다.
라. 블레셋인 (the Philistines)
서남 팔레스틴의 한 작은 집단이 창세기 26:1~33에 블레셋인이라고 불리우고, 창세기 10:13~14에서 그들은 애굽과 관련되어 있는 이들은 에게해 지역에서 왔으며, 일부는 헷 제국을 파괴하고 아나톨리아로부터 레반트로 이동했다.
이들은 다섯 도시들, 즉 가사(Gaza), 가드(Guth), 아스글론(Ashkelon), 아스돗(Asdod), 에글론(Ekron)에 정착했다. 블레셋인은 헷인에게서 철을 담금질하는 새로운 방법을 배웠고 수백년 동안 금속에 독점권을 가지게 되었고, 이 특권은 이스라엘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우위를 점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강한 구심적 지도력의 결핍으로 다윗왕은 이들을 그의 왕국의 노예로 만들 수 있었다.
그리스인은 이들의 이름을 가나안 모든 땅에 적용했기 때문에, 그 땅이 지금까지 우리에게 팔레스틴으로 전해졌다.
마. 가나안인 (the Canaanites)
가나안인은 그들이 팔레스틴의 오랜 기간의 거주자들이었기 때문에 히브리인과 매우 지속적인 관계를 가진 민족이다. 이 민족과 그들의 땅은 다른 어떤 민족이나 땅보다 모세오경에 자주 언급되고 있다.
창세기의 여러 언급들은 그들을 애굽과 밀접하게 관련시키고 있고(창 10:6) 동시에 많은 하위 집단들을 그들의 이름 아래 포함시킨다.
애굽인이 주전 3000년대와 2000년대의 대부분의 기간에 가나안 땅을 지배했기 때문에 거주자들은 그들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았다. 애굽인들은 가나안인들로 하여금 요새를 세우고, 봉건적 제도 내에서 도시국가를 건설하도록 허락했다. 이 셈족은 그들의 종교를 통하여 애굽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는데, 바알종교의 많은 부분이 애굽인에 의해 수용되었다.
바. 아람인 (the Arameans)
모세오경은 아람인의 조상이 아람(Aram)인 한 민족을 언급하고 있고(창 10:22-23, 22:21) 발람이 그 민족의 땅에서 왔다고 말한다(민 23:7)
아브라함의 친족은 수리아인(Syurians)이라고 불리우는데 이는 종종 아람인이란 호칭의 영어적 표현이다. 그리고 아브라함은 자신도 신명기 26: 5에서 그렇게 불리운다. 이들은 티그리스강과 유브라데강 사이의 지역에서 살았고 후에 다메섹에 수도를 세웠다.
아람인은 기본적으로 셈족이었고 아마도 아모리인이란 보다 일반적인 용어에 포함된 듯하다 이들은 후기 앗수르 제국과 바벨론 제국에 광범위한 영향을 준 이들 자신의 문화를 발전시켰고, 이스라엘의 왕국 시대 동안 수리아라 불리우는 독립된 국가를 가졌다.
참고 문헌
구약성서 배경학, 엄원식 저, 침례신학대학출판부, 1995. 6.
모세 오경의 문학적 배경, G.리빙트던 저, 김의원 역,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90. 3.
성서의 풍토와 역사, 강석오 저, 종로서적, 1990. 7.
이스라엘과 유다의 역사, 프랑스와 가스뗄 저, 허성균 역,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92. 2.
역사로서의 성경, 베르너 켈러 저, 권명달 역, 보이스사, 1978. 2.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04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