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가렛 대처(Mrgaret Tatcher)
2. 코라손 아키노 (Corazon Aquino)
3.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Gloria Macapagal Arroyo)
4.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Megawati Sukarnoputri)
5. 타야르 할로넨 (Tarja Kaarina Halonen)
6. 메리 로빈슨 (Mary Robinson)
7. 에디트 크레송 (Edith Cresson)
8. 그로할렘 브룬트란드
Ⅲ. 결론
<참고사이트>
Ⅱ. 본론
1. 마가렛 대처(Mrgaret Tatcher)
2. 코라손 아키노 (Corazon Aquino)
3.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Gloria Macapagal Arroyo)
4.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Megawati Sukarnoputri)
5. 타야르 할로넨 (Tarja Kaarina Halonen)
6. 메리 로빈슨 (Mary Robinson)
7. 에디트 크레송 (Edith Cresson)
8. 그로할렘 브룬트란드
Ⅲ. 결론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여성은 임명직에 임명하고 흔든 뒤에 해임하는 관행의 대표적인 예가 되기도 하였다.
8. 그로할렘 브룬트란드
(1) 출생 및 성장
브룬트란드 노르웨이 수상은 장관을 역임한 G.할렘의 딸로 1939년 오슬로에서 태어났고, 오슬로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이어 미국의 하바드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편, 그는 A.O. 브룬트란드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2) 활동 및 경력
1966년에 보건청에서 외무관으로 공무원 생활을 시작으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아 그는 승승장구 정부의 요직을 거쳐 수직으로 정상에 오르게 된다. 대학생 시절에 노동당에서 청년활동을 바탕으로 정치감각을 익혀, 35세에 환경부 장관 직위에 오른다 (1974-79). 37세인 1975년에 노동당의 부총재가 되고, 1981년에 총재가 되어 국회의장이 된다(1981-86, 1989-90). 그 동안 재정, 외무, 법제위원회 등 골고루 거치며 경력을 쌓게 된다.
특히 브룬트란드 수상은 여권운동에 역점을 두고 여성이 정치에 적극 참여하도록 많은 정책을 수행하였다. 1986년 그녀의 내각 18명 중에 8명이 여성이었고, 1990년에는 19명 장관 중에 9명이 여성이어서 세계에서 여성장관이 가장 분포가 많은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정치풍토를 조성한 배경에는 무엇보다 정치지도자들이 남녀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협의적인 국회나 정부가 이루어졌고, 당리보다는 국민위주의 사안을 중요시한데 있다고 한다. 여성문제도 다른 나라에서처럼 경제적 측면보다는 정치참여를 더욱 강조하였다. 유권자교육과 여성이 여성을 대표하도록 1960년대에 의식화 했고, 70년대 중반에 이미 정당에서 할당제를 도입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40%의 여성이 활동하고, 세계에서 오늘날 핀랜드와 스웨덴만이 노르웨이를 능가하고 있다.
국제적 차원에서도 유엔사무총장의 요청에 따라 1983년에 그녀로 하여금 세계환경대회를 개최하여 의장으로서 집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자문과 청문회를 거쳐 1987년에 급기야 우리 모두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명제로 1992년에 그 유명한 브라질에서의 역사적인 리오환경대회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브룬트란드 수상은 그 동안 국제적 차원의 많은 수상을 하였다. 제3세계 상(1988), 인디라간디 상(1988), 오나시스 재단 상(1992), 샬르만드 상(1994)등이 그것이다. 또한 정치, 보건, 환경에 관한 많은 저서가 있다.
그러나 그녀는 아직도 노르웨이의 남녀평등이 여러면에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하며, 특히 임금의 차이, 고용의 차별, 여성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그는 국제무대에서도 세계환경개발위원회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의 위원장 등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세계의 모든 여성지도자들은 그녀를 지켜보고 성원을 보낼 것이다. 그리고 다음번 유엔사무총장이 브룬트란드 여사가 되더라도 아무도 놀라지 않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외국의 여자수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어떤 능력과 주위의 환경으로 인해 수상까지 오르게 된 이유는 뭘까?
첫째로 그건 사회적 여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예로 핀란드의 경우 국토의 3분의 2가 삼림, 추운 북쪽 지방에 위치, 우리나라 인구의 9분의 1밖에 되지 않는 핀란드의 복지 수준이나 국가적 위상은 빈약한 환경에 비해 훨씬 앞서 있고 드높다. 현재 200명의 국회의원 중 37%인 74명이 여성이며 각료 18명 중 8명이 여성일 정도로 여권신장이 두드러진 나라이고, 현재 여성의원 수가 스웨덴, 덴마크에 이어 세계 3위로써 여성들의 정치참여가 가장 활발한 국가 중의 하나라는 배경 안에서 찾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핀란드인들 스스로도 5백만밖에 안 되는 인구로 그 절반인 여성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지 않고서는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느냐고 말을 한다. 그리고 노르웨이의 경우 정치풍토이다. 기름진 토지와 따스한 햇살, 그리고 충분한 물이 있어야 농사가 잘 되듯이, 우리에겐 유토피아와도 같이 느껴지는 이 북구의 노르웨이는 여성을 밀어주는 국민과 잘난 여성을 관용하는 동료 남성 정치인들, 그리고 여성지도자 자신의 노력과 투쟁정신이 오늘날 노르웨이의 평등한 정치여건을 조성하였다.
이렇듯 여성수상인 나온 나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여성의 정치 활동을 위한 정책이 보다 잘 마련되어있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이 수상까지 오를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둘째로 개인적인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적 여건이 잘 마련되어 있다고 해서 다 여자 수상들이 나오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만큼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여자로써 겪어야 했던 고난과 역경을 넘어서 남보다 더 많이 노력하고 남보다 더 땀을 흘렸기 때문에 한나라의 수상까지 오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여성에게 가려진 정치의 영역에 대해 과감하게 시도하여 패배의 고배를 수도 없이 마셨지만 굳건한 신념을 가지고 매진함으로써 여자수상이 되었던 것이다. 대처의 별명이 ‘철의 여인’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로 여자수상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환경 때문이라고도 생각한다. 필리핀의 아로요 대통령과 인도네시아의 메가와티 대통령의 아버지가 대통령이었고, 대처도 아버지께서 뛰어난 언변으로 시장까지 올랐고, 브룬트란드 또한 아버지가 장관을 역임하는 등 어렸을 때부터 정치에 대해 보자 친숙하게 경험을 하였고, 그들의 영향으로 인해 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여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정치감각을 길렀기 때문에 수상까지 오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whofind.co.kr
http://www.naver.com
http://www.hankooki.co.kr
http://edu.donga.com
http://www.sabiz.co.kr
http://www.kfl.or.kr
http://park.sookmyung.ac.kr
http://www.kiwp.or.kr
http://www.womenrights.or.kr
8. 그로할렘 브룬트란드
(1) 출생 및 성장
브룬트란드 노르웨이 수상은 장관을 역임한 G.할렘의 딸로 1939년 오슬로에서 태어났고, 오슬로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이어 미국의 하바드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편, 그는 A.O. 브룬트란드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2) 활동 및 경력
1966년에 보건청에서 외무관으로 공무원 생활을 시작으로 뛰어난 실력을 인정받아 그는 승승장구 정부의 요직을 거쳐 수직으로 정상에 오르게 된다. 대학생 시절에 노동당에서 청년활동을 바탕으로 정치감각을 익혀, 35세에 환경부 장관 직위에 오른다 (1974-79). 37세인 1975년에 노동당의 부총재가 되고, 1981년에 총재가 되어 국회의장이 된다(1981-86, 1989-90). 그 동안 재정, 외무, 법제위원회 등 골고루 거치며 경력을 쌓게 된다.
특히 브룬트란드 수상은 여권운동에 역점을 두고 여성이 정치에 적극 참여하도록 많은 정책을 수행하였다. 1986년 그녀의 내각 18명 중에 8명이 여성이었고, 1990년에는 19명 장관 중에 9명이 여성이어서 세계에서 여성장관이 가장 분포가 많은 국가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정치풍토를 조성한 배경에는 무엇보다 정치지도자들이 남녀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협의적인 국회나 정부가 이루어졌고, 당리보다는 국민위주의 사안을 중요시한데 있다고 한다. 여성문제도 다른 나라에서처럼 경제적 측면보다는 정치참여를 더욱 강조하였다. 유권자교육과 여성이 여성을 대표하도록 1960년대에 의식화 했고, 70년대 중반에 이미 정당에서 할당제를 도입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40%의 여성이 활동하고, 세계에서 오늘날 핀랜드와 스웨덴만이 노르웨이를 능가하고 있다.
국제적 차원에서도 유엔사무총장의 요청에 따라 1983년에 그녀로 하여금 세계환경대회를 개최하여 의장으로서 집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세계의 모든 국가에서 자문과 청문회를 거쳐 1987년에 급기야 우리 모두의 미래(Our Common Future)라는 명제로 1992년에 그 유명한 브라질에서의 역사적인 리오환경대회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브룬트란드 수상은 그 동안 국제적 차원의 많은 수상을 하였다. 제3세계 상(1988), 인디라간디 상(1988), 오나시스 재단 상(1992), 샬르만드 상(1994)등이 그것이다. 또한 정치, 보건, 환경에 관한 많은 저서가 있다.
그러나 그녀는 아직도 노르웨이의 남녀평등이 여러면에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고 하며, 특히 임금의 차이, 고용의 차별, 여성에 대한 폭력을 근절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그는 국제무대에서도 세계환경개발위원회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의 위원장 등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세계의 모든 여성지도자들은 그녀를 지켜보고 성원을 보낼 것이다. 그리고 다음번 유엔사무총장이 브룬트란드 여사가 되더라도 아무도 놀라지 않을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외국의 여자수상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어떤 능력과 주위의 환경으로 인해 수상까지 오르게 된 이유는 뭘까?
첫째로 그건 사회적 여건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예로 핀란드의 경우 국토의 3분의 2가 삼림, 추운 북쪽 지방에 위치, 우리나라 인구의 9분의 1밖에 되지 않는 핀란드의 복지 수준이나 국가적 위상은 빈약한 환경에 비해 훨씬 앞서 있고 드높다. 현재 200명의 국회의원 중 37%인 74명이 여성이며 각료 18명 중 8명이 여성일 정도로 여권신장이 두드러진 나라이고, 현재 여성의원 수가 스웨덴, 덴마크에 이어 세계 3위로써 여성들의 정치참여가 가장 활발한 국가 중의 하나라는 배경 안에서 찾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핀란드인들 스스로도 5백만밖에 안 되는 인구로 그 절반인 여성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지 않고서는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느냐고 말을 한다. 그리고 노르웨이의 경우 정치풍토이다. 기름진 토지와 따스한 햇살, 그리고 충분한 물이 있어야 농사가 잘 되듯이, 우리에겐 유토피아와도 같이 느껴지는 이 북구의 노르웨이는 여성을 밀어주는 국민과 잘난 여성을 관용하는 동료 남성 정치인들, 그리고 여성지도자 자신의 노력과 투쟁정신이 오늘날 노르웨이의 평등한 정치여건을 조성하였다.
이렇듯 여성수상인 나온 나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여성의 정치 활동을 위한 정책이 보다 잘 마련되어있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이 수상까지 오를 수 있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둘째로 개인적인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사회적 여건이 잘 마련되어 있다고 해서 다 여자 수상들이 나오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만큼의 피나는 노력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여자로써 겪어야 했던 고난과 역경을 넘어서 남보다 더 많이 노력하고 남보다 더 땀을 흘렸기 때문에 한나라의 수상까지 오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여성에게 가려진 정치의 영역에 대해 과감하게 시도하여 패배의 고배를 수도 없이 마셨지만 굳건한 신념을 가지고 매진함으로써 여자수상이 되었던 것이다. 대처의 별명이 ‘철의 여인’인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로 여자수상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환경 때문이라고도 생각한다. 필리핀의 아로요 대통령과 인도네시아의 메가와티 대통령의 아버지가 대통령이었고, 대처도 아버지께서 뛰어난 언변으로 시장까지 올랐고, 브룬트란드 또한 아버지가 장관을 역임하는 등 어렸을 때부터 정치에 대해 보자 친숙하게 경험을 하였고, 그들의 영향으로 인해 정치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여 이론적으로 타당하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정치감각을 길렀기 때문에 수상까지 오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whofind.co.kr
http://www.naver.com
http://www.hankooki.co.kr
http://edu.donga.com
http://www.sabiz.co.kr
http://www.kfl.or.kr
http://park.sookmyung.ac.kr
http://www.kiwp.or.kr
http://www.womenrights.or.kr
추천자료
소설속에서 보여지는 여성상-외국
[과외](고3) 01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과외](고3) 02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과외](고3) 02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해설지
[과외](고3) 03 모의고사 외국어 시험지
[과외](고3) 05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과외](고2) 01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과외](고2) 03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과외](고2) 04 모의고사 외국어영역 시험지
[여성정책][여성복지][여성문제][여성복지정책][여성복지서비스][여성 인권][외국 여성정책 ...
[한국외국어대학교 신화와 종교] 기말고사 자료(open book test) : 그리스신화 속 그리스인들...
외국인친구에게 한국전통가옥 운현궁 소개하기
여성육아 제도의 외국과 비교 및 정책과제 제시 보고서
외국 민영교도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