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C(International Medical Crops)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IMC에 대하여

Ⅱ. IMC의 주요사업
1) 사업목적
2) 주요사업
3) IMC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Ⅲ. IMC의 아시아 지역에서의 활동

Ⅳ. IMC의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활동

Ⅴ. 다른 단체와의 비교
(글로벌 케어, 국경없는 의사회)

본문내용

- MSF 회원들은 자원봉사자로서 자신들이 수행하는 임무의 위험성을 인지하며, MFS가 제공 할 수 있는 것 외에 자신이나 수령자들에 대한 어떤 보상을 요구할 권리도 갖지 않는다.
파리 본부 두고 5개국에 독자적인 해외 '국경 없는 의사회'들
현재 '국경 없는 의사회' 파리 본부에는 약 100여 명의 상근 근무자가 일하고 있고, 자원 봉사자(그 대부분은 의사)만 해도 2,900명에 이른다. 95년 예산 규모가 4억 프랑에 달하는 이 거대한 단체는 현재 프랑스에서 비정부기구(NGO) 중 가장 큰 단체 가운데 하나이며, 국제 사회에서도 오늘날 적십자사와 함께 인도주의의 대명사로 통하고 있다.
그들이 표방하고 있는 것은 인간이 받고 있는 고통을 치유하고자 하는 인도주의다. 그 고통은 전쟁 때문이기도 하고 기아나 빈곤 또는 자연 재해에서 연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존엄한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자 그들은 자신의 목숨을 걸면서까지 전장에, 재해 지역에, 전염병 발병지에 뛰어드는 것이다.
모든 작전을 기획, 실행, 통제하는 것은 집행부인데, 그 산하에 인원 관리, 의료 기술, 작전, 재정, 커뮤니케이션 등 7개 분과를 두고 있다. 대부분 작전은 신속한 정베 체제를 바탕으로 집행부에서 기획하여 대상국 정부에 제안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지만 가끔 현지 정부가 '국경 없는 의사' 본부에 직접 긴급 구호를 요청해온 때도 있다.
난민 캠프 설치, 북한 수해도 지원
지진 등 자연 재해 지역에서의 긴급 작전의 경우는 3-4일간의 단기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지만 방역, 예방 치료 또는 내전국에서의 의료 활동 등의 장기 목적인 경우에는 수년에 걸쳐 작전에 계속되기도 한다. 타이의 난민 캠프의 경우 십여 년 계속해서 머무르고 있다.
수백억 원에 이르는 막대한 재정은 신속한 정보 관리와 함께 모든 의료 활동이 성공적 수행을 담보하는 두 축이다. 작년의 경우 재정의 66%는 모금, 기부금 등 단체 자체의 재정원이고 나머지 34%는 유엔, 유럽 연합, 정부 등의 보조금이다. 하지만 그들은 재정의 자립이 단체의 독립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자체 재정원의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 '국경 없는 의사회'의 도움을 받은 나라는 70여 개 국에 이르고 있다. 자이레, 우간다. 에티오피아 등의 아프리카 오지, 타이랜드, 미얀마, 아르헨티나 등 아시아, 남미의 제3세계 국가, 지진이 났던 중국, 르완다, 브룬디, 체체니, 아프가니스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등 내전 중인 국가 등이 그 주요한 국가들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그 국가들의 목록에 우리 동포인 북한도 끼여 있다는 점이다.
지지난 해 북한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비정부기구로서 유일하게 북한 땅을 밟았던 이들이 바로 '국경 없는 의사회'다. 95년 여름, 전에 없는 수해가 북한을 덮치자, 북한 당국은 개국 이래 처음으로 국제 사회에 인도주의적 도움을 호소했다. 이에 부응하여 '국경 없는 의사회'는 북한 당국에 긴급하게 의료팀 파견을 제안했고 북한 당국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10월에서 12월까지 국경 없는 의사회 벨기에, 프랑스, 네덜란드 연합 의료팀이 이 금단의 땅에 파견되었던 것이다.
그곳에서 수해 이후 가장 큰 문제인 전염병 및 공공 보건 관리 임무를 현지 북한 의사들과 공동으로 수행한 그들은 북한에서의 의료 활동을 흐뭇한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었다. 올해에 수해와 식량난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북한에 대해 그들은 언제라도 의료 및 지원팀을 파견할 준비를 갖추고 있으며, 당시 북한에서의 콜레라 발생 정보의 진위를 확인하게 위해 백방으로 뛰기도 했다
한편 현재 작전이 진행 중인 곳만 해도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과테말라, 소말리아, 예멘, 이란, 케냐 등 35개국에 이르고 있다. 거듭되는 작전과 위험한 임무 수행 중에 그들은 수많은 인명 피해를 목도하지만 그들 자신의 희생 또한 왕왕 경험한다. 가장 최근의 피해 사례로는 보스니아에 파견되었던 의료팀의 실종 사건이다. 그들 중 자원 봉사자인 의대생 한 명과 의료 검사 요원 한 명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군에 의해 살해되었음이 이미 확인되었고, 나머지 18명의 파견 요원들은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어 그들을 안타깝게 만들고 있다.
인도주의 실천은 직업이 될 수 없다
최근 그들이 중점을 두는 또 한 가지 사업은 프랑스 내의 소외된 이들을 돌보는 일이다. 의료에 대한 소외가 제3세계 빈곤 국가에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의료 혜택의 테두리 바깥에 놓여 있는 자들이 존재한다는 생각에서다. 특히 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는 그들이 '거리의 아이들'이라 부르는 소외 계층의 어린이들이다. 현재 국경 없는 의사가 운영하는 생드니 의료 센터 등에서는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무료로 치료해주며 의술은 인도주의라는 그들의 신념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에이즈 환자나 약물 중독자에 대한 뮤료 치료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프랑스 현행 법조항에 불법 체류자이거나 주거지, 돈이 없는 사람도 누구나 무료로 의료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이 명시되어있지만 그것이 실현되지 않고, 복지 국가로 불리는 프랑스에서조차 소외된 자들과 고통받는 자들이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한다. 그들 '국경 없는 의사회' 의사들이 원망하고 있는 것은 의료 행위가 봉사의 수단이 아니라 상술로, 돈벌이로 존재하는 현세태인 듯했다.
국경 없는 의사들은 그들의 대선배 알베르 슈바이처가 그랬듯이, 그리고 나이팅게일이 그랬듯이 자신의 기득권을 버리고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자 자신의 삶을 송두리째 바치고 있는 것이다.
3) 두 단체와의 비교
IMC
국경없는 의사회
글로벌 케어
설립년도
1984년
1971년
1997년
소재지
미국, 산타모니카
벨기에, 브뤼셀
한국, 서울
한국 지부의 여부
X
O
O
특이사항
의료서비스 제공 외에도 경제적 자립 도움과 성범죄 예방교육,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있음
기본적인 의료, 구호 활동에 주력함
운영방법
기본적으로 자율적인 기부금으로 운영되고 있음
종교적 이념
인도주의적 사상에 입각함
기본적으로 기독교
정신에 입각함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3.0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3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