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기의 개념 2
2. 동기의 기능 2
(1)동기와 행동 2
(2)동기의 기능 3
3. 동기화의 역할 4
4. 동기 이해의 중요성 5
5. 동기이론 6
(1)행동주의 6
(2)인지주의 7
(3)사회학습이론 8
(4)인간주의 9
1)Maslow의 욕구의 단계 9
2)성취동기 9
①성취동기의 의미 9
②성취동기의 측정 9
③성취동기와 관련된 행동특성 10
④머레이의 성취욕구 10
⑤성취동기와 학업성적 11
⑥성취동기와 문화차이 12
6. 내재적동기와 외재적 동기 14
7. 귀인이론 15
(1)귀인요인 및 차원 15
(2)귀인성향과 정서적 방법 17
(3)귀인성향과 학업성적 18
(4)귀인훈련프로그램 교재 19
8. 학습자의 목표 21
9. 자기결정성과 통제 22
10. 학습동기유발방법 23
11.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 33
12. 학습 동기와 관련된 설문지 33
13. 연구문제 36
15. 참고 문헌 36
2. 동기의 기능 2
(1)동기와 행동 2
(2)동기의 기능 3
3. 동기화의 역할 4
4. 동기 이해의 중요성 5
5. 동기이론 6
(1)행동주의 6
(2)인지주의 7
(3)사회학습이론 8
(4)인간주의 9
1)Maslow의 욕구의 단계 9
2)성취동기 9
①성취동기의 의미 9
②성취동기의 측정 9
③성취동기와 관련된 행동특성 10
④머레이의 성취욕구 10
⑤성취동기와 학업성적 11
⑥성취동기와 문화차이 12
6. 내재적동기와 외재적 동기 14
7. 귀인이론 15
(1)귀인요인 및 차원 15
(2)귀인성향과 정서적 방법 17
(3)귀인성향과 학업성적 18
(4)귀인훈련프로그램 교재 19
8. 학습자의 목표 21
9. 자기결정성과 통제 22
10. 학습동기유발방법 23
11.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 33
12. 학습 동기와 관련된 설문지 33
13. 연구문제 36
15. 참고 문헌 36
본문내용
학습동기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또 하나의 정의적 요인은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느냐 하는 것이다.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학업성취가 높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학생들은 대체로 학업성취가 낮다. 동기는 이와 같이 어떤 행동을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심리학자들은 동기라는 개념을 중요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100미터 달리기를 열심히 하는 학생은 열심히 하지 않는 학생보다 달리기를 잘할 것이다. 물론 학생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달리기 능력은 달리기를 얼마나 잘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지만, 열심히 달리는 동기의 정도도 얼마나 잘 달리느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 또한 시를 열심히 외우는 학생은 열심히 외우지 않는 학생보다 시를 잘 외울 것이다. 학생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시를 암기하는 능력이 암기를 얼마나 잘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지만, 열심히 외운다는 동기의 정도도 얼마나 잘 외우느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
1. 동기의 개념
동기(動機, motivation)란 ‘움직인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된 용어로, 행동을 일으키고,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행동을 유지하는 심리적 에너지 또는 정신적 힘이라고 이해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기는 행동의 활성을 증감시키는 물건이나 사태를 뜻하는 유인물과는 다른 개념이다. 동기는 인간의 행동을 활성화시키고 행도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며 행도의 강도를 결정하는 심리적인 상태, 즉 인간의 내면적인 현상이나, 유인물은 상장, 용돈, 칭찬, 미소, 인정, 청소당번면제, 컴퓨터 이용 특권과 같이 동기를 증감시키는 사건이나 사물을 지칭한다.
동기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 동기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확실하다. 인간의 일상적인 행동에서와 마찬가지로, 학습 활동에 있어서도 학습자 개개인이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갖도록 격려하고 지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학습 동기는 학습에 몰입하는 행동뿐만 아니라 학습의 능률과 성취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습 동기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떤 학습 목표를 향하여 학습 행동을 하도록 하는 학습자의 모든 심리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또 하나의 정의적 요인은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느냐 하는 것이다.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학업성취가 높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 학생들은 대체로 학업성취가 낮다. 동기는 이와 같이 어떤 행동을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와 관련된 개념으로서, 심리학자들은 동기라는 개념을 중요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100미터 달리기를 열심히 하는 학생은 열심히 하지 않는 학생보다 달리기를 잘할 것이다. 물론 학생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달리기 능력은 달리기를 얼마나 잘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지만, 열심히 달리는 동기의 정도도 얼마나 잘 달리느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 또한 시를 열심히 외우는 학생은 열심히 외우지 않는 학생보다 시를 잘 외울 것이다. 학생 개인이 지니고 있는 시를 암기하는 능력이 암기를 얼마나 잘하느냐 하는 것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지만, 열심히 외운다는 동기의 정도도 얼마나 잘 외우느냐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변인이 된다.
1. 동기의 개념
동기(動機, motivation)란 ‘움직인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movere'에서 유래된 용어로, 행동을 일으키고, 행동의 방향을 제시하며, 행동을 유지하는 심리적 에너지 또는 정신적 힘이라고 이해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기는 행동의 활성을 증감시키는 물건이나 사태를 뜻하는 유인물과는 다른 개념이다. 동기는 인간의 행동을 활성화시키고 행도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며 행도의 강도를 결정하는 심리적인 상태, 즉 인간의 내면적인 현상이나, 유인물은 상장, 용돈, 칭찬, 미소, 인정, 청소당번면제, 컴퓨터 이용 특권과 같이 동기를 증감시키는 사건이나 사물을 지칭한다.
동기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 동기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확실하다. 인간의 일상적인 행동에서와 마찬가지로, 학습 활동에 있어서도 학습자 개개인이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를 갖도록 격려하고 지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학습 동기는 학습에 몰입하는 행동뿐만 아니라 학습의 능률과 성취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학습 동기란 학습자로 하여금 어떤 학습 목표를 향하여 학습 행동을 하도록 하는 학습자의 모든 심리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추천자료
정신분석 인지주의 행동주의 사회학습이론 - 도덕성 발달이론
사회학습이론- 보건 교육
반두라사회학습이론
인간의 발달변화가 일어나는 근본적과정과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에서 행동주의적 접근과 사회...
[교육심리학] 스키너의 행동수정기법과 반듀라(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하여 - 이 학자들...
도덕성 발달 이론의 다양한 관점 분석과 교육 (정신분석학 관점, 인지발달론 관점, 사회학습...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주요개념 중심으로 비교하여 정리 서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기자신 분석(Self-Analysis) -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 이론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사회학습이론)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반두라(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타인의 관찰에 ...
현상학 이론(칼 로저스), 사회학습이론(반두라) 그 개념을 설명하고 자신의 삶에서 구체적인 ...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관찰학습, 사회화 과정)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밴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개관 및 생애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밴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주요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