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면장애의 정의
2. 안면장애의 유형과 판단기준
3. 안면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종류
2. 안면장애의 유형과 판단기준
3. 안면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종류
본문내용
1. 안면장애의 정의
안면부위의 변형 또는 기형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하는 데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즉,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의 변형으로 인한 장애를 말한다.‘ 안면부’라 함은 두부, 안면부, 경부, 이부와 같이 상지와 하지, 몸통이외에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 노출된 안면부’라 함은 전두부와 측두부, 이개후부의 모발선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경부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는 수직선을 연결한 선을 경계로 얼굴, 귀, 목의 앞면을 포함한다. 한 부위에 다양한 종류의 증상이 공존할 때는 가장 주요한 증상만을 고려한다. 이는 정상부위에 대한 병변부위의 백분율을 말한다. 모발결손 중에 탈모증에 의한 것은 제외하며, 반흔을 동반한 모발결손에 국한한다.
2. 안면장애의 유형과 판단기준
● 유형
1) 반흔 : 수술 또는 외상으로 손상되었던 피부가 치유된 흔적이다
가. 반흔의 유형
가) 정상 반흔
- 면상반흔 : 면상반흔이란 수술 후 또는 외상 후 얼마 동안은 비교적 가늘던 반흔이 주변 피부의 긴장성 때문에 점점 폭이 넓어진 것을 말한다.
나) 비정상적인 반흔
: 피부면 보다 튀어 올라 와 있으며, 가렵고 따갑고 아프다.
-켈로이드 : 켈로이드란 흉터가 상처 밖으로 두껍게 자라나가고 위로 튀어 오르는 것을말한다. (이는 상처 치유과정에 중요한 성분인 콜라젠이란 물질이 과 침착 되어 생기는 것으로 주로 가슴이나 귓볼, 그리고 어깨부위에 호발 하게 된다.)
- 비후성 반흔 : 비후성 반흔은 켈로이드와 튀어 올라 온 모양이 매우 흡사해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비후성 반흔은 커진다 해도 절개나 상처 밖으로 자라 나가지 않는 점이 켈로이드와 다르다.
2) 색소침착
가. 색소침착
색소침착 이상증이란 정상 또는 이상색소가 피부조직에 침착, 결손 또는 피부조직에서 탈실하므로 생기는 피부의 원인으로 그 대부분은 멜라민량의 증감에 의한 것인데 때로는 그 이외의
안면부위의 변형 또는 기형으로 인하여 사회생활을 하는 데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즉,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의 변형으로 인한 장애를 말한다.‘ 안면부’라 함은 두부, 안면부, 경부, 이부와 같이 상지와 하지, 몸통이외에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 노출된 안면부’라 함은 전두부와 측두부, 이개후부의 모발선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경부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는 수직선을 연결한 선을 경계로 얼굴, 귀, 목의 앞면을 포함한다. 한 부위에 다양한 종류의 증상이 공존할 때는 가장 주요한 증상만을 고려한다. 이는 정상부위에 대한 병변부위의 백분율을 말한다. 모발결손 중에 탈모증에 의한 것은 제외하며, 반흔을 동반한 모발결손에 국한한다.
2. 안면장애의 유형과 판단기준
● 유형
1) 반흔 : 수술 또는 외상으로 손상되었던 피부가 치유된 흔적이다
가. 반흔의 유형
가) 정상 반흔
- 면상반흔 : 면상반흔이란 수술 후 또는 외상 후 얼마 동안은 비교적 가늘던 반흔이 주변 피부의 긴장성 때문에 점점 폭이 넓어진 것을 말한다.
나) 비정상적인 반흔
: 피부면 보다 튀어 올라 와 있으며, 가렵고 따갑고 아프다.
-켈로이드 : 켈로이드란 흉터가 상처 밖으로 두껍게 자라나가고 위로 튀어 오르는 것을말한다. (이는 상처 치유과정에 중요한 성분인 콜라젠이란 물질이 과 침착 되어 생기는 것으로 주로 가슴이나 귓볼, 그리고 어깨부위에 호발 하게 된다.)
- 비후성 반흔 : 비후성 반흔은 켈로이드와 튀어 올라 온 모양이 매우 흡사해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나 비후성 반흔은 커진다 해도 절개나 상처 밖으로 자라 나가지 않는 점이 켈로이드와 다르다.
2) 색소침착
가. 색소침착
색소침착 이상증이란 정상 또는 이상색소가 피부조직에 침착, 결손 또는 피부조직에서 탈실하므로 생기는 피부의 원인으로 그 대부분은 멜라민량의 증감에 의한 것인데 때로는 그 이외의
추천자료
장애인복지 -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
장애인복지 -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인터넷 정보 활용을...
장애인가족복지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이해 및 발전전략 고찰
장애인복지법,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연구(10년06월작성)
장애인복지론 장애인과 자립생활
장애인복지론 장애인단체 국제교류
사회복지법제론에서 장애인복지법
장애인복지 담당 사회복지사의 윤리와 역할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장애인 운동
장애인시설과 장애복지제도의 문제점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에서 장애인 자립생활의 개념을 설명하고 한국에서의 자립생활센터의 발전방향을 ...
장애인복지서비스에서의 재활모델과 자립생활 모델을 비교하여 논하시고, 자신이 거주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