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기가 파랗게 질려간다 !! -blue baby syndrome-
마을을 덮친 염소가스 -세베소(Seveso) 사건-
앗!! 가축사료에 PBB가? -PBB Contamination in Michigan State, U.S.A.-
원자력, 천사의 탈을 쓴 악마 -체르네빌 원자력 발전 폭발 사고-
죽음의 땅 Love Canal 그 100년 -화학물질로 인한 토양수질 오염-
3세계에서 일어난 세계 최악의 산업 재해 -Union Carbide Killing the Poor in India-
-후기-
마을을 덮친 염소가스 -세베소(Seveso) 사건-
앗!! 가축사료에 PBB가? -PBB Contamination in Michigan State, U.S.A.-
원자력, 천사의 탈을 쓴 악마 -체르네빌 원자력 발전 폭발 사고-
죽음의 땅 Love Canal 그 100년 -화학물질로 인한 토양수질 오염-
3세계에서 일어난 세계 최악의 산업 재해 -Union Carbide Killing the Poor in India-
-후기-
본문내용
이었다. 내가 조사한 레만호 오염과 고이아니아 사건 모두 사건이 일어난 지역 일대를 폐허로 만든 큰 사건이었다. 이를 봐도 사람이 하는 행동이 얼마나 큰 재앙이 되어 오는가를 얼마나 알기 힘든지 알수가 있을것이다. 과학의 발전은 그 방향을 예측할수 없고 그 부작용또한 예측하기 힘들지만 그 부작용을 최소하 할수있는 방향으로 과학을 발전 시키지 않으면 이런 재앙들은 계속해서 발생해 또다른 고이아니아 레만호가 만들어 질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사람들의 양심과 지혜가 필요 할것이다.
C - 암과 환경오염, 어쩐지 동등한 연결선 상에 놓을 수 없을 것 같은 두 단어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두 가지 모두 생명을 위협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문제는 해결책이 다르다는 것이다. 전자는 실질적인 행동, 이를테면 운동, 식생활 개선, 치료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면, 후자는 우리의 환경에 대한 인식, 즉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질산염과 관련된 'baby blue syndrome'을 조사하면서 수질오염의 파급효과에 대해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한 사람의 몰지각한 행동으로 무지한 대중들이 영문도 죽어갈 수 있다는 생각은 극단적인 상상이 아니었다. 영화 '괴물'의 미군들의 몰염치한 행동이 괴물을 만들어냈던 것처럼,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의 행동은 환경오염이라는 괴물을 몰고 올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1년의 두산전자(斗山電子)에 의한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대구 부산 등지의 상수원이 오염되어 며칠 동안 수돗물을 먹을 수 없었다. 더 이상 남의 문제가 아니다.
환경오염의 근원은 우리의 무지라고 생각한다. 혹자는 현대인의 이기심에 그 원인을 찾고 있지만, 나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당장 내 눈앞에 나타나는 가시적인 결과에 환호하는 현대인의 무지는 환경오염이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낼 파급효과에 까지 그 사고가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인에게 그 무지를 깨어줄 가르침은 무엇인가? 내가 그동안 암에 대해 두려워하고 건강을 챙기려고 했던 이유는 내가 존경했던 은사님이 폐암으로 돌아가신 것이 결정적이지만, TV나 언론, 의학계에서 암에 대한 위협을 알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문제도 더 이상 다큐멘터리에 그치지 말고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좀 더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우리의 깊이 없는 생각과 방관적인 태도로 형성된 시대적 패러다임을 바꾸어 갈 수 있도록 철학계, 의학계, 사회계의 다각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D - 이번 조별 과제의 주제는 환경오염이다. 환경오염은 인간이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자연을 훼손하고, 파괴하는 것을 일컫는다. 종류로는 대기, 수질, 토양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 나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사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986년에 일어난 사건인데, 그 피해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니 1986년 당시의 피해는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방사능 유출은 피해자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그 후손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이다. 그래서 체르노빌에 거주하는 시민이 강제이주 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그 위험에 당면한 우리뿐만이 아니라, 그 후손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 아름다운 지구는 우리가 후손들에게 빌린 것이다. 즉, 지구의 주인은 우리가 아니라 바로 후손들이다. 지구의 주인에게 우리는 반드시 깨끗하게 돌려줘야만 한다. 작은 것 하나하나에 신경써서 조금씩 환경을 깨끗이 보존해 나간다면, 더 아름답고 살기 좋은 지구가 될 것이다.
C - 암과 환경오염, 어쩐지 동등한 연결선 상에 놓을 수 없을 것 같은 두 단어이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두 가지 모두 생명을 위협하는 개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문제는 해결책이 다르다는 것이다. 전자는 실질적인 행동, 이를테면 운동, 식생활 개선, 치료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면, 후자는 우리의 환경에 대한 인식, 즉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질산염과 관련된 'baby blue syndrome'을 조사하면서 수질오염의 파급효과에 대해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한 사람의 몰지각한 행동으로 무지한 대중들이 영문도 죽어갈 수 있다는 생각은 극단적인 상상이 아니었다. 영화 '괴물'의 미군들의 몰염치한 행동이 괴물을 만들어냈던 것처럼,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의 행동은 환경오염이라는 괴물을 몰고 올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91년의 두산전자(斗山電子)에 의한 낙동강 페놀 오염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대구 부산 등지의 상수원이 오염되어 며칠 동안 수돗물을 먹을 수 없었다. 더 이상 남의 문제가 아니다.
환경오염의 근원은 우리의 무지라고 생각한다. 혹자는 현대인의 이기심에 그 원인을 찾고 있지만, 나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당장 내 눈앞에 나타나는 가시적인 결과에 환호하는 현대인의 무지는 환경오염이 시간이 지나면서 드러낼 파급효과에 까지 그 사고가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인에게 그 무지를 깨어줄 가르침은 무엇인가? 내가 그동안 암에 대해 두려워하고 건강을 챙기려고 했던 이유는 내가 존경했던 은사님이 폐암으로 돌아가신 것이 결정적이지만, TV나 언론, 의학계에서 암에 대한 위협을 알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문제도 더 이상 다큐멘터리에 그치지 말고 환경오염에 대한 심각성을 좀 더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우리의 깊이 없는 생각과 방관적인 태도로 형성된 시대적 패러다임을 바꾸어 갈 수 있도록 철학계, 의학계, 사회계의 다각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D - 이번 조별 과제의 주제는 환경오염이다. 환경오염은 인간이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자연을 훼손하고, 파괴하는 것을 일컫는다. 종류로는 대기, 수질, 토양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중에서 나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사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986년에 일어난 사건인데, 그 피해는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니 1986년 당시의 피해는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방사능 유출은 피해자에게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그 후손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이다. 그래서 체르노빌에 거주하는 시민이 강제이주 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그 위험에 당면한 우리뿐만이 아니라, 그 후손에게도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 아름다운 지구는 우리가 후손들에게 빌린 것이다. 즉, 지구의 주인은 우리가 아니라 바로 후손들이다. 지구의 주인에게 우리는 반드시 깨끗하게 돌려줘야만 한다. 작은 것 하나하나에 신경써서 조금씩 환경을 깨끗이 보존해 나간다면, 더 아름답고 살기 좋은 지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