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 동기이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3


Ⅱ. 본론
1. 동기의 개념 ......................................................................................4
2. 내용이론
2.1 매슬로우(Maslow, A. H)의 욕구이론 .................................4
2.2 앨더퍼(Alderfer)의 ERG이론 ...............................................17
2.3 허즈버그(Herzberg,F.)의 동기-위생이론 ..........................21
2.4 맥그리거(Douglas M. McGregor)의 x-y이론 ................23
2.5 아지리스(C. Argyris)의 성숙-미성숙이론 .........................25
3. 과정이론
3.1 브룸(vroom)의 기대이론 ........................................................27
3.2 포터(Porter)의 기대이론 ........................................................29
3.3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 ............................................31
3.4 로크(Locke)의 목표설정이론 ...............................................34

Ⅲ. 결론 ..................................................................................................37

참고문헌 ...................................................................................40

본문내용

동기 위생 이론에 적용하면 학급당 학생수는 교사들에게는 불만족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 요인은 차츰 해결되어 가고 있다. 이는, 불만족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예방조건을 갖추어 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남은 과제는 교사에 대한 인정, 책임감과 같은 내적보상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내적보상이 가야할 길은 꽤나 험난하다. 교사에 대한 사명감을 검증하지 않고 성적순으로 교사를 채용하는 현재의 임용고사의 불합리한 점이 학생들의 존경심과 자기 직업에 대한 책임감으로 이어지기에는 역부족이다. 소명의식이 없는 교사는 Argyris가 말한 성숙 미성숙 이론에서 말하듯 조직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부족한 것은 자명하다. 단지 '교사'라는 직업을 얻기 위한 자신의 노력에 대한 성과기대의 측면에서는 교사가 되었다는 사실은 큰 유인가를 제공하지만 단지 그것만으로는 2차적 산출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은 Vroom의 기대이론에서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교사가 되기 위해 투자한 나의 노력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같은 노력을 들인 다른 직업에 비해 적은 보수를 받는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Adams의 이론에 따라 타 직종과 비교했을 때 공정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 정책을 변화시킬 필요성을 갖지만, 단지 불공정하다는 이유만으로 소명의식 없는 일종의 직장인의 역할만 하는 교사에 대해 같은 보수를 제공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교사도 일정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그 목표를 달성했을 때 그에 합당한 유인가를 제공하여 동기를 유발시키는 방향으로 교육정책이 변화하여야 한다. 이때 교사가 가지는 목표의식은 자신의 성공을 위한 목표의식 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위한 교수자로서의 역할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Locke의 목표설정이론을 통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가 학습자를 가리키고자 하는 동기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그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욕구가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교사에 대한 소명의식이 강한 자 보다는 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많이 아는 자가 교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모순 적인 상황에서 예비교사가 되려는 우리에게 동기이론이 제시하고 있는 큰 이치는 교사가 되려는 목적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교육이라는 하나의 사회적, 문화적 틀에 대해 일상에서 크게 느끼지는 못한다. 그 틀 안에서 사회 구성원들은 그들이 꼭 지녀야할 기능들을 갖추기 위해 학습을 하고 경험을 하고 그 경험들은 다시 계층적 수평적 구조를 가지고 새로운 지식의 구조를 만들어 낸다. 현재 우리는 교육의 동기를 이야기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을 느낀다. 교육의 동기가 과연 교육 이념에 나와 있는 것처럼 '홍익인간'을 실현하고 있을까? 잠재되어 있는 능력을 깨워 그것을 계발 하는 데에 큰 목적을 두고 있을까? 공교육이 위기에 처해있는 지금의 우리로써는 교육에서의 동기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하는 시점에 봉착했다. 과연 그 문제의 시작점은 어디일까? 우리의 교육의 목표와 이념과 현재의 교육의 현실을 비교해 보면 목표와 이념은 밤하늘에 별처럼 깜박이는 것처럼 너무나도 멀게만 느껴진다. 교육계에서의 동기의 목표는 이념을 따라가고 동기의 목적은 목표는 따라가는 것이 우리가 의도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의 교육현실이 진정으로 의도하는 것이 '홍익인간'은 아닐 것이다. 우리 교육의 모습은 어느 순간 일류대학이 교육의 이념인 '홍익인간'의 자리를 치고 올라섰다. 교사의 욕구는 '일류대학을 많이 보내자' 로 변해만 가고 이상적인 이념은 이상일 뿐 그 자리는 '현실'이 차지했다. 교육의 목적을 얘기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은 현실이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명심해야 할 것은 현실의 여건과는 상관없는 교육 동기 그 자체의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인류의 삶의 의미와도 연관되는 지극히 가치적인 문제라 하겠다.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로써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학습경험을 조직하는 데 있어서 교사가 가져야하는 욕구와 동기 그리고, 진정한 교육이념이 무엇인가와 우리의 가져야하는 동기의 목적이 무엇을 따라야 하는 지에 대한 인식이 필요함을 느끼며 이번 과제를 마친다.
참고문헌
조남두 외 7인, 『교육행정론』, 원미사(서울:2006).
김윤태, 『교육행정 · 경영의 이해』, 동문사(서울:2006)
박성식, 『교육행정 관리론』, 학지사(서울:1998)
고벽진 외 4인, 『현대 교육행정 및 경영』, 교육과학사(서울:2005)
김남순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 교육과학사(서울:1999)
이명주. 교육행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8,15
김석주 ■■동기부여 이론에 대한 소고 ■■ , Journal of Public Policy Studies (한국:1993년)
김석회 ■■조직관리와 욕구계층이론 ■■ ,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aslow. A.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Princeton. N.J.: Van Nostrand, 1962, 1968.
Mallow.A.H., A Theory of Metamotivation: The Biological Rooting of the Value Fibe,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Vol.7 (1967)
Roe.A., ■■The Psychology of Occupations■■ , (New York: Wiley,1956)
Robert G. Oewns, Organizational Behavior in Education, 3rd(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Inc, 1987)
Campbell. D., Relative Influence of Job and Supervision on Shared Worker Attitudes,Jourral of Applied Psychology. Vol.55(1971)
  • 가격3,0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8.03.12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