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학농민전쟁
2. 동학이란?
3. 동학농민전쟁의 국내외적 배경
4. 동학농민전쟁의 주변사건들
5.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6. 동학농민전쟁의 의의와 한계
부록
동학농민전쟁의 주요 일지
2. 동학이란?
3. 동학농민전쟁의 국내외적 배경
4. 동학농민전쟁의 주변사건들
5.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
6. 동학농민전쟁의 의의와 한계
부록
동학농민전쟁의 주요 일지
본문내용
」)
4. 2. 홍계훈 양호초토사임명(「승정원일기」)
4. 3. 전라감영군 백산 출동
동학농민군 태인 화호와 부안으로 나누어 이동
(「전봉준공초」「전라도고부민요일기」)
4. 6. 부안과 태인으로 후퇴(오지영「동학사」)
4. 7.황토재에서 감영군 격파. 정읍관아 점령(오지영「동학사」)
홍계훈의 경군 전주성 입성(홍계훈「양호전기」)
4. 9.무장점령(「양호초토등록」)
홍계훈 경병 160명, 항병 200명 금구 태인 파견(「동비토록」)
4. 12.영광 점령(「양호초토등록」)
4. 14.홍계훈 선발대 무장파견(「양호초토등록」)
이용태 경상도 금산군 유배(「승정원일기」)
4. 15.경군 원평 진출(황현「오하기문」)
4. 16.함평 점령(「양호초토등록」)
4. 18.경군 태인 진출
전라감사 김문현 파직, 김학진 임명(「승정원일기」)
4. 21.경군 영광도착(「양호초토등록」)
4. 23.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경군격파(황현「오하기문」, 오지영「동학사」)
4. 25.정읍, 태인, 원평 진출(「양호초토등록」)
4. 26.원평에서 선전관 이주호, 군관 이효응, 배은환 등 참수(「양호초토등록」,동비토록」),
전주 삼천 진출(최현식, 「갑오동학혁명사」)
4. 27. 전주성 입성(황현「오하기문」, 「양호초토등록」)
이원회를 양호순변사로, 엄세영을 삼남염차사로 임명(「승정원일기」)
4. 28.경군 완산포진(「갑오실기」)
동학농민군과 경군 1차 접전(「양호초토등록」)
5. 1.동학농민군과 경군 2차 접전(황현「오하기문」)
5. 3.동학농민군과 경군 3차 접전(황현「오하기문」, 「양호초토등록」)
5. 4. 조선정부의 요청으로 청의 섭사성 부대 아산만상륙(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5. 6.일본군 인천항 상륙(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5. 7. 나주화약체결
전봉준은 전라도일대 순회이후 전라도일대 집강소설치(나주, 운봉제외)(「전봉준공초」, 황현「오하기문」)
5. 13.전운사 조팔영 파직. 이성렬 전운사로 발령(「승정원일기」)
5. 20. 조팔영 경복궁 침입. 개화정권수립(김홍집내각)
군국기무처 설치(「승정원일기」, 황현「오하기문」)
6. 27.성환에서 청일교전(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7. 1.청일전쟁 선전포고(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7. 15.전봉준김개남 남원대회 개최(김재홍「영상일기」, 황현「오하기문」)
7. 26.조선과 일본사이에 양국 맹약체결(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8. 13.전봉준 나주로 가서 목사 만종렬에게 집강소 설치권고, 실패(황현「오하기문」, 「금성정의록」)
8. 17.청일 사이의 평양전투에서 일본군승리
일본의 조선내정 적극 간섭(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9.전봉준 원평에서 2차 기포결정
삼례집결 통문(「전봉준공초」)
9. 21.양호순무영 설치.
도순문사로 신정희 임명(「승정원일기」)
9. 24.충청도 진천에서 신재련 봉기(「양호우선봉일기」)
9. 25.경상도 안동에서 농민군 3천명봉기(「양호우선봉일기」)
9.최시형 휘하 북접가담(「전봉준공초」, 「천도교교회사초고」)
9.-10.충청경상도일대에서 동학농민군 대관·일본군의 산발적 전투다수
10.여산, 은진거쳐 강경포 진출(황현「오하기문」)
10. 6.황해도 해주에서도 봉기(「갑오해병비요전말」)
10. 11. 관군 선봉장 이규태군 남하(「선봉진일기」)
10. 15.일본군 남하(박종근「청일전쟁과조선」)
10. 16. 논산도착. 북접과 합류(「이유상상서」, 「전봉준공초」)
김개남부대 전주도착(「고문서」2, 「관부문서」)
10. 21. 목천세성산 전투에서 동학농민군 선발대 패퇴(「선봉진정보첩」)
10. 23.이인전투(「선봉진정보첩」)
김개남부대 금산점령(황현「오하기문」)
10. 24.- 25. 효포, 대교곰터전투(「선봉진정보첩」)
10. 26.동학농민군 경천점으로 후퇴(「선봉진정보첩」)
11.노성과 경천진격(「선봉진정보첩」)
11. 8.공주진격. 이인전투. 농민군과 관군 모두우금치로 병력집결(「공산초비기」, 「순무선봉진등록」)
11. 9.우금재 전투. 동학농민군 패퇴(「공산초비기」)
11. 10.김개남 진잠 점령(「선무사정보첩」
11. 11. 곰터에서 관군이 기습공격(「공산초비기」)
노성으로 후퇴, 김개남 회덕 점령(「선봉진정보첩」, 「순무선봉진등록」)
11. 12.동도창의소의 이름으로 경병, 영병, 일반 민중에 항일투쟁 촉구하는 격문고시(「선유방문병동도사서소지등서」)
11. 13.김개남 청주공격 실패. 공주방면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선봉진정보첩」)11. 14.노성일대에서 접전. 황화대로 후퇴(「순무선봉전등록」)
11. 15.황화대에서 접전. 강경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11. 19.전주까지 남하(찰이전존안, 札移電存案)
11. 23.전주에서 원평으로 남하(찰이전존안, 札移電存案)
11. 25.원평 구미란 전투. 태인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11. 26. 운봉박봉양 반농민군 남원 회복(황현「오하기문」, 「박봉양경력서」)
11. 27.태인전투. 동학농민군 주력부대 해산(「양호선봉일기」, 순무선봉진등록」)
손화중, 최경선부대 광주입성(「순무선봉진등록」)
11. 29.전봉준 입암산성 도피. 전라감사 이도재부임(「승정원일기」)
11. 30.전봉준 백양사에 도착(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12. 1.손화중 부대해산. 김개남 태인에서 체포(「선무사정보첩」, 「선무선봉진등록」)
12. 2.전봉준 순창피노리에서 체포(「순무선봉진등록」)
12. 3.최경선 체포(「최경선판결선고서」)
12. 5.전라도 남해안의 동학농민군 장흥 점령(「선무사정보첩」, 황현「오하기문」,「장흥군지」)
12. 7.전봉준 일본군에의해 나주목으로 압송(「순무선봉진등록」)
12. 10.전라도 남해안의 동학농민군 강진 점령(황현「오하기문」)
12. 11.고창에서 손화중 체포(장봉선「전봉준실기」)
12. 13. 김개남 전주 서교장에서효수(「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24.최시형의 북접군 충주에서 해산(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1895. 1. 1.원평에서 김덕명 체포(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2. 9. - 3. 10.전봉준 5차례심문(「전봉준판결선고서」)
3. 29.전봉준, 손화중, 최경선, 김덕명, 성두환 등 교수형(「전봉준판결선고서」)
4. 2. 홍계훈 양호초토사임명(「승정원일기」)
4. 3. 전라감영군 백산 출동
동학농민군 태인 화호와 부안으로 나누어 이동
(「전봉준공초」「전라도고부민요일기」)
4. 6. 부안과 태인으로 후퇴(오지영「동학사」)
4. 7.황토재에서 감영군 격파. 정읍관아 점령(오지영「동학사」)
홍계훈의 경군 전주성 입성(홍계훈「양호전기」)
4. 9.무장점령(「양호초토등록」)
홍계훈 경병 160명, 항병 200명 금구 태인 파견(「동비토록」)
4. 12.영광 점령(「양호초토등록」)
4. 14.홍계훈 선발대 무장파견(「양호초토등록」)
이용태 경상도 금산군 유배(「승정원일기」)
4. 15.경군 원평 진출(황현「오하기문」)
4. 16.함평 점령(「양호초토등록」)
4. 18.경군 태인 진출
전라감사 김문현 파직, 김학진 임명(「승정원일기」)
4. 21.경군 영광도착(「양호초토등록」)
4. 23.장성 황룡촌 전투에서 경군격파(황현「오하기문」, 오지영「동학사」)
4. 25.정읍, 태인, 원평 진출(「양호초토등록」)
4. 26.원평에서 선전관 이주호, 군관 이효응, 배은환 등 참수(「양호초토등록」,동비토록」),
전주 삼천 진출(최현식, 「갑오동학혁명사」)
4. 27. 전주성 입성(황현「오하기문」, 「양호초토등록」)
이원회를 양호순변사로, 엄세영을 삼남염차사로 임명(「승정원일기」)
4. 28.경군 완산포진(「갑오실기」)
동학농민군과 경군 1차 접전(「양호초토등록」)
5. 1.동학농민군과 경군 2차 접전(황현「오하기문」)
5. 3.동학농민군과 경군 3차 접전(황현「오하기문」, 「양호초토등록」)
5. 4. 조선정부의 요청으로 청의 섭사성 부대 아산만상륙(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5. 6.일본군 인천항 상륙(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5. 7. 나주화약체결
전봉준은 전라도일대 순회이후 전라도일대 집강소설치(나주, 운봉제외)(「전봉준공초」, 황현「오하기문」)
5. 13.전운사 조팔영 파직. 이성렬 전운사로 발령(「승정원일기」)
5. 20. 조팔영 경복궁 침입. 개화정권수립(김홍집내각)
군국기무처 설치(「승정원일기」, 황현「오하기문」)
6. 27.성환에서 청일교전(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7. 1.청일전쟁 선전포고(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7. 15.전봉준김개남 남원대회 개최(김재홍「영상일기」, 황현「오하기문」)
7. 26.조선과 일본사이에 양국 맹약체결(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8. 13.전봉준 나주로 가서 목사 만종렬에게 집강소 설치권고, 실패(황현「오하기문」, 「금성정의록」)
8. 17.청일 사이의 평양전투에서 일본군승리
일본의 조선내정 적극 간섭(박종근, 「청일전쟁과조선」)
9.전봉준 원평에서 2차 기포결정
삼례집결 통문(「전봉준공초」)
9. 21.양호순무영 설치.
도순문사로 신정희 임명(「승정원일기」)
9. 24.충청도 진천에서 신재련 봉기(「양호우선봉일기」)
9. 25.경상도 안동에서 농민군 3천명봉기(「양호우선봉일기」)
9.최시형 휘하 북접가담(「전봉준공초」, 「천도교교회사초고」)
9.-10.충청경상도일대에서 동학농민군 대관·일본군의 산발적 전투다수
10.여산, 은진거쳐 강경포 진출(황현「오하기문」)
10. 6.황해도 해주에서도 봉기(「갑오해병비요전말」)
10. 11. 관군 선봉장 이규태군 남하(「선봉진일기」)
10. 15.일본군 남하(박종근「청일전쟁과조선」)
10. 16. 논산도착. 북접과 합류(「이유상상서」, 「전봉준공초」)
김개남부대 전주도착(「고문서」2, 「관부문서」)
10. 21. 목천세성산 전투에서 동학농민군 선발대 패퇴(「선봉진정보첩」)
10. 23.이인전투(「선봉진정보첩」)
김개남부대 금산점령(황현「오하기문」)
10. 24.- 25. 효포, 대교곰터전투(「선봉진정보첩」)
10. 26.동학농민군 경천점으로 후퇴(「선봉진정보첩」)
11.노성과 경천진격(「선봉진정보첩」)
11. 8.공주진격. 이인전투. 농민군과 관군 모두우금치로 병력집결(「공산초비기」, 「순무선봉진등록」)
11. 9.우금재 전투. 동학농민군 패퇴(「공산초비기」)
11. 10.김개남 진잠 점령(「선무사정보첩」
11. 11. 곰터에서 관군이 기습공격(「공산초비기」)
노성으로 후퇴, 김개남 회덕 점령(「선봉진정보첩」, 「순무선봉진등록」)
11. 12.동도창의소의 이름으로 경병, 영병, 일반 민중에 항일투쟁 촉구하는 격문고시(「선유방문병동도사서소지등서」)
11. 13.김개남 청주공격 실패. 공주방면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선봉진정보첩」)11. 14.노성일대에서 접전. 황화대로 후퇴(「순무선봉전등록」)
11. 15.황화대에서 접전. 강경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11. 19.전주까지 남하(찰이전존안, 札移電存案)
11. 23.전주에서 원평으로 남하(찰이전존안, 札移電存案)
11. 25.원평 구미란 전투. 태인으로 후퇴(「순무선봉진등록」)
11. 26. 운봉박봉양 반농민군 남원 회복(황현「오하기문」, 「박봉양경력서」)
11. 27.태인전투. 동학농민군 주력부대 해산(「양호선봉일기」, 순무선봉진등록」)
손화중, 최경선부대 광주입성(「순무선봉진등록」)
11. 29.전봉준 입암산성 도피. 전라감사 이도재부임(「승정원일기」)
11. 30.전봉준 백양사에 도착(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12. 1.손화중 부대해산. 김개남 태인에서 체포(「선무사정보첩」, 「선무선봉진등록」)
12. 2.전봉준 순창피노리에서 체포(「순무선봉진등록」)
12. 3.최경선 체포(「최경선판결선고서」)
12. 5.전라도 남해안의 동학농민군 장흥 점령(「선무사정보첩」, 황현「오하기문」,「장흥군지」)
12. 7.전봉준 일본군에의해 나주목으로 압송(「순무선봉진등록」)
12. 10.전라도 남해안의 동학농민군 강진 점령(황현「오하기문」)
12. 11.고창에서 손화중 체포(장봉선「전봉준실기」)
12. 13. 김개남 전주 서교장에서효수(「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24.최시형의 북접군 충주에서 해산(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1895. 1. 1.원평에서 김덕명 체포(최현식「갑오동학혁명사」)
2. 9. - 3. 10.전봉준 5차례심문(「전봉준판결선고서」)
3. 29.전봉준, 손화중, 최경선, 김덕명, 성두환 등 교수형(「전봉준판결선고서」)
키워드
추천자료
대한제국기 민중운동
프랑스 대혁명
고종 황제의 근대 민족국가 건설 노력
한국 근대문학의 기점과 조벽암 소설의 공간설정 양상 및 작가의식
갑오개혁(甲午改革)
[루터][마틴 루터][신학][루터의 생애][루터의 역할][루터의 교육사상][루터와 농민전쟁][이...
[여운형][여운형의 성장환경][여운형의 결혼][여운형의 학력][여운형의 주요활동][여운형에 ...
[한국사A+] 청일전쟁을 통한 동아시아 세력판도의 변화
한국사 정리 - 근대사편
6.25전쟁 전개과정과 점령정책.ppt
갑오개혁의 배경과내용
청일 양국의 대립기,청일경쟁의 심화,임오군란과 제물포조약,일본공사관과 창덕궁습격,동학농...
교생실습-수업 지도안-동학농민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