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속극론]- 제 2분반 마지막 발표조!!
1. 민속극의 종류와 성격
1) 민속극이란
2) 민속극의 정의
3) 민속극의 종류
4) 민속극의 특징
2. 탈 춤
1)탈춤의 발생 기원
2)탈춤의 지역적 분포와 계통
3)주요 탈춤과 그 특징
(1)산대놀이 계통 탈춤
(2)마을굿 계통 탈춤
(3)외래수용 계통 탈춤
4)탈춤의 구성과 주제
인형극
1)인형극의 종류
(1)만석중 놀이
(2)꼭두각시 놀음
2)꼭두각시놀음의 명칭과 연원
(1) 명칭
(2)연원
3)꼭두각시놀음의 연행방식과 구성
(1) 연행방식
(2) 구성
<박 첨지 마당>
제 1 마당
4)꼭두각시놀음의 주제
발탈놀이
1)발탈놀이의 성격과 발생
2)발탈놀이의 공연방식
3)발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 참고 사이트
1. 민속극의 종류와 성격
1) 민속극이란
2) 민속극의 정의
3) 민속극의 종류
4) 민속극의 특징
2. 탈 춤
1)탈춤의 발생 기원
2)탈춤의 지역적 분포와 계통
3)주요 탈춤과 그 특징
(1)산대놀이 계통 탈춤
(2)마을굿 계통 탈춤
(3)외래수용 계통 탈춤
4)탈춤의 구성과 주제
인형극
1)인형극의 종류
(1)만석중 놀이
(2)꼭두각시 놀음
2)꼭두각시놀음의 명칭과 연원
(1) 명칭
(2)연원
3)꼭두각시놀음의 연행방식과 구성
(1) 연행방식
(2) 구성
<박 첨지 마당>
제 1 마당
4)꼭두각시놀음의 주제
발탈놀이
1)발탈놀이의 성격과 발생
2)발탈놀이의 공연방식
3)발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조기장수’의 탈은 포장막 안에서 발탈꾼이 등받이와 베개가 있는 간이침대에 번듯이 누워 포장막 밖으로 발에 탈을 씌어 내밀어 놀리며, 어릿광대와 여자는 포장막 밖에서 상대역을 맡는다.
발탈놀이에서 탈을 조종하는 사람을 꼭두각시놀음에서처럼 대잡이라고 한다.
대잡이는 발목을 움직여 탈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작과 대나무로 팔을 조정하는 동작을 기본기로 삼아 갖가지 재담을 하면서 춤과 노래를 한다. 발탈의 춤에는 어깨춤, 좌우치기, 그리고 목놀이의 세 가지가 있다.
3)발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발탈놀이의 등장인물은 조기장사와 그 상대역인 어릿광대, 그리고 잠시 조기를 사러 나온 여자 3인이다. 여기서 단연 주인공은 조기장사이며, 어릿광대가 주로 그 상대역을 맡는다. 발탈놀이의 주인공 역이 천민인 조기장수로 설정된 점은 그만큼 발탈놀이가 민중적인 성격을 지니면서 당시 민중의 한 생활상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발탈놀이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연시간도 다른 민속극에 비해 상당히 짧은 편이다. 아무래도 발탈꾼 1인이 극을 이끌고 가야 하는 사정에서 그렇게 된 것 같다. 심우성이 1972년 채록한 <발탈>의 연희본에 따르면, 발탈놀이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 번째 대목은 어릿광대가 발탈의 생긴 모습을 놀리는 대목이다. 연희본에 따라 이 대목이 빠지기도 한다.
두 번째 대목은 어릿광대가 나와 발탈과 재담을 나누며 발탈에게 팔도유람을 해야 하고는, 발탈에게 <만고강산>, <개성난봉가>등을 부르게 하며 타령곡에 맞추어 춤을 추게 한다.
세 번째 대목은 먹는 이야기로 이어진다. 발탈은 버섯, 도토리, 대추, 술, 안주, 숭어 등 온갖고기, 꿩, 비둘기, 맹꽁이, 개구리, 고래, 상어 등도 잡아먹고, 영감, 할미의 성기까지 다 먹고, 인제 할 것이 없어서 조기장사를 한다고 한다. 이는 오광대와 야유에서 영노나 비비가 온갖 것을 다 먹는다고 하면서 양반을 위협하는 대목과 유사하다.
네 번째 대목은 조기장사를 하며 고기를 헤아리는 내용의 재담이 나온다.
다섯 번째 대목은 발탈이 <고사덕담풀이>, <진도아리랑>을 한 다음, 덧뵈기춤을 추다가 탈꾼이 탈을 벗어서 손에 쥐고 구경꾼들에게 인사를 한다. 끝으로 <파연곡>, <신난봉가>등을 악사의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발탈놀이의 구성은 매우 단순하고 그 내용도 길이가 짧은 만큼 소략한 편이다. 어릿광대와 발탈 사이의 재담이 해학적인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중요 구성 요소이지만, <만고강산>, <개성난봉가>, <신난봉가>, <진도아리랑>등 여러 삽입가요도 극을 진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런데 이들 삽입가요로 불리는 노래들이 주로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유행한 잡가의 목록이라는 점에서 발탈놀이의 형성을 19세기 중엽이후로 추정할 수 있다.
발탈놀이는 규모가 작은 판놀음의 하나로 광대들의 기˙예에서 발달한 놀이로 발탈꾼과 주인의 수작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재담을 제외하고는 거의 즉흥적으로 엮어내는 현장성이 강한 놀이이다.
* 참고 사이트
http://www.seelotus.com/
발탈놀이에서 탈을 조종하는 사람을 꼭두각시놀음에서처럼 대잡이라고 한다.
대잡이는 발목을 움직여 탈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작과 대나무로 팔을 조정하는 동작을 기본기로 삼아 갖가지 재담을 하면서 춤과 노래를 한다. 발탈의 춤에는 어깨춤, 좌우치기, 그리고 목놀이의 세 가지가 있다.
3)발탈놀이의 구성과 내용
발탈놀이의 등장인물은 조기장사와 그 상대역인 어릿광대, 그리고 잠시 조기를 사러 나온 여자 3인이다. 여기서 단연 주인공은 조기장사이며, 어릿광대가 주로 그 상대역을 맡는다. 발탈놀이의 주인공 역이 천민인 조기장수로 설정된 점은 그만큼 발탈놀이가 민중적인 성격을 지니면서 당시 민중의 한 생활상을 부각시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발탈놀이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연시간도 다른 민속극에 비해 상당히 짧은 편이다. 아무래도 발탈꾼 1인이 극을 이끌고 가야 하는 사정에서 그렇게 된 것 같다. 심우성이 1972년 채록한 <발탈>의 연희본에 따르면, 발탈놀이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 번째 대목은 어릿광대가 발탈의 생긴 모습을 놀리는 대목이다. 연희본에 따라 이 대목이 빠지기도 한다.
두 번째 대목은 어릿광대가 나와 발탈과 재담을 나누며 발탈에게 팔도유람을 해야 하고는, 발탈에게 <만고강산>, <개성난봉가>등을 부르게 하며 타령곡에 맞추어 춤을 추게 한다.
세 번째 대목은 먹는 이야기로 이어진다. 발탈은 버섯, 도토리, 대추, 술, 안주, 숭어 등 온갖고기, 꿩, 비둘기, 맹꽁이, 개구리, 고래, 상어 등도 잡아먹고, 영감, 할미의 성기까지 다 먹고, 인제 할 것이 없어서 조기장사를 한다고 한다. 이는 오광대와 야유에서 영노나 비비가 온갖 것을 다 먹는다고 하면서 양반을 위협하는 대목과 유사하다.
네 번째 대목은 조기장사를 하며 고기를 헤아리는 내용의 재담이 나온다.
다섯 번째 대목은 발탈이 <고사덕담풀이>, <진도아리랑>을 한 다음, 덧뵈기춤을 추다가 탈꾼이 탈을 벗어서 손에 쥐고 구경꾼들에게 인사를 한다. 끝으로 <파연곡>, <신난봉가>등을 악사의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발탈놀이의 구성은 매우 단순하고 그 내용도 길이가 짧은 만큼 소략한 편이다. 어릿광대와 발탈 사이의 재담이 해학적인 웃음을 자아내게 하는 중요 구성 요소이지만, <만고강산>, <개성난봉가>, <신난봉가>, <진도아리랑>등 여러 삽입가요도 극을 진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 그런데 이들 삽입가요로 불리는 노래들이 주로 19세기 중엽 이후부터 유행한 잡가의 목록이라는 점에서 발탈놀이의 형성을 19세기 중엽이후로 추정할 수 있다.
발탈놀이는 규모가 작은 판놀음의 하나로 광대들의 기˙예에서 발달한 놀이로 발탈꾼과 주인의 수작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재담을 제외하고는 거의 즉흥적으로 엮어내는 현장성이 강한 놀이이다.
* 참고 사이트
http://www.seelotus.com/
추천자료
구비 문학과 기록 문학의 비교
구비설화에 담긴 `효`관념의 연구
무가의 문학성과 문학사적 의의
민속극의 이해 / 가면극에대하여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핵심 정리
민속극을 통한 교육에 대한 고찰
[문학][인간학][인간][인간문제][소설][대중문학][문학교육]문학과 인간학, 문학 교육과 인간...
[교재 요약정리] 판소리, 무가,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전승문학을 재화하는데 있어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논하시오
시가(시가문학)와 전환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개화기시가, 시가(시가문학)와 신라시대시가...
[민속][민속문학][민속예술][전통예술][민속축제][민속놀이][전통놀이][민속화][민속극][민속...
[구비 문학의 이론과 실제] 동양의 신화(神話) - 한국의 신화, 중국의 신화, 인도의 신화, 일...
[고전문학개론] 민속극 - 봉산탈출 꼭두각시놀음과 그의 실용화 방안에 대하여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