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김민기의 연혁
Ⅱ. 70 ~80년대의 시대 상황
1.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
2. 청년 문화
3. 통기타 문화
Ⅲ. 김민기의 노래
1. 김민기는 시대의 산물이다.
2. 김민기와 한대수 비교
3. 김민기의 가사를 통해 김민기를 평가하기
( 친구, 아침이슬, 그 사이, 상록수, 식구생각, 공장의 불빛 )
4. 밥 딜런과 김민기의 가사와의 비교
Ⅳ. 김민기 음악의 가치
Ⅱ. 70 ~80년대의 시대 상황
1. 우리나라의 정치적 상황
2. 청년 문화
3. 통기타 문화
Ⅲ. 김민기의 노래
1. 김민기는 시대의 산물이다.
2. 김민기와 한대수 비교
3. 김민기의 가사를 통해 김민기를 평가하기
( 친구, 아침이슬, 그 사이, 상록수, 식구생각, 공장의 불빛 )
4. 밥 딜런과 김민기의 가사와의 비교
Ⅳ. 김민기 음악의 가치
본문내용
------------------------
** 이곡은 미국에서 구전되는 것을 밥 딜런이 최초로 채보했다고 한다.
위곡은 김민기의 ‘공장의 불빛’처럼 상당히 직설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Blowin' in the Wind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Before you call him a man?
Yes, 'n'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Before she sleeps in the sand?
Yes, 'n'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 balls fly
Before they're forever banned?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How many times must a man look up
Before he can see the sky?
Yes, 'n' how many ears must one man have
Before he can hear people cry?
Yes, 'n' how many deaths will it take till he knows
That too many people have died?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How many years can a mountain exist
Before it's washed to the sea?
Yes, 'n' how many years can some people exist
Before they're allowed to be free?
Yes, 'n' how many times can a man turn his head,
Pretending he just doesn't see?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바람만이 아는 것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참된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바다 위에 하얀 비둘기가 날아야 비로소 모래사장 위에 잠들 수 있나
얼마나 많은 포탄이 떠다닌 후에야 영원한 평화가 찾아올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얼마나 여러 해가 지나야 산이 씻겨 내려 바다가 될까
얼마나 오랜 세월이 지나야 그들이 자유를 얻게 되는 걸까
얼마나 더 고개를 돌려 모르는 척 할 수 있을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얼마나 여러번 위를 올려 보아야만 천국을 바라볼 수 있을까
얼마나 더 귀를 기울여야 사람들의 울부짖는 소리를 들을 수 있나
얼마나 더 많은 죽음이 이어져야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음을 알게 될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
** 위곡은 앞에서 언급한 김민기의 ‘아침이슬’등처럼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바람’에 대해 청자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든다.
( 위곡을 만든 의도에 대한 밥 딜런의 말 )
'“사회의 거대한 범죄 중에는, 사람들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보고 그리고 알고
있으면서도 외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Ⅳ. 김민기 음악의 가치
김민기의 음악이 동시대의 다른 음악적 표현들과 구별되는 지점은 바로 그의 음악이 분명하게 보여주는 ‘대안에 대한 고민’에 있다. 대안에 대한 고민은 현실에 대한 좀 더 치열한 부정과 비판, 그리고 그로부터 비롯되는 고뇌와 혼란의 깊은 자의식의 표출을 수반한다. 다른 통기타 음악이 대부분 현실에 대한 다소 막연한 인식과 막연한 도피에 머문 것에 비해 그의 음악은 돔 더 치열한 고민과 깊은 자의식의 산물이며, 그런 점에서 좀 더 정치적이다. 이는 한 대수의 음악과 비교해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한 대수의 음악 역시 히피적인 분위기와 노랫말에서 드러나는 자유주의 정신을 통해 시대와의 불화를 드러내며 그런 점에서 분명 정치적이지만, 김민기가 ‘나’의 주체에서 ‘우리’의 주체로 그 지평을 넓혀가며 좀 더 치열한 정치적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반면, 한 대수의 경우는 ‘나’의 주체에 대체로 갇혀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김민기와 한 대수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이 지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두 사람의 음악이 가진 어떤 문화적 혹은 미학적 가치의 차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국적 상황이라는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음악이 가진 사회적 접점의 스펙트럼의 차이이며, 70 ~ 80년대의 대학가 노래운동에서 두 사람의 음악에 대해 가졌던 인식의 차이도 결국은 여기에 근거하는 것이다. 범박한 예로 한 대수의 노래는 ‘행복의 나라로’정도를 제외하면 함께 부르기보다는 혼자 부르는 노래였던 반면, 김민기의 노래는 혼자서도 부르지만 함께 부르기 위해서도 빠뜨릴 수 없는 노래였다. 그의 음악은 지식인적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나는 초기 작품들에서 점차 민중 지향적 정치의식이 짙게 드러나는 후기의 작품들로 스펙트럼을 넓혀가며 그 정점에 노래굿 <공장의 불빛>이 위치한다. 그의 노래가 보여주는 이러한 자기 확대의 과정은 70년대의 청년문화가 낭만적 순수주의에서 점차 현실적인 정치성을 띠면서 80년대로 이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것은 ‘나’의 세계에서 ‘남’의 세계로 다시 ‘우리’의 세계로 나아가는 주체 인식의 확대 과정이기도 하다. 70년대의 통기타 음악에서 김민기의 부중은 그래서 그 대중적 명망이나 인기와 무관하게 절대적이다. 김민기의 음악이 있음으로 하여 70년대 통기타 음악은 비로소 청년문화의 이름에 값할 수 있었다. 그의 음악이 없었다면? 우리는 70년대의 청년문화를 단지 한때의 유행으로, 문화 정치의 맥락과 별 관계없는 그저 하나의 흘러간 사조쯤으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 이곡은 미국에서 구전되는 것을 밥 딜런이 최초로 채보했다고 한다.
위곡은 김민기의 ‘공장의 불빛’처럼 상당히 직설적으로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Blowin' in the Wind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Before you call him a man?
Yes, 'n'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Before she sleeps in the sand?
Yes, 'n'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 balls fly
Before they're forever banned?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How many times must a man look up
Before he can see the sky?
Yes, 'n' how many ears must one man have
Before he can hear people cry?
Yes, 'n' how many deaths will it take till he knows
That too many people have died?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How many years can a mountain exist
Before it's washed to the sea?
Yes, 'n' how many years can some people exist
Before they're allowed to be free?
Yes, 'n' how many times can a man turn his head,
Pretending he just doesn't see?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바람만이 아는 것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참된 인간이 될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바다 위에 하얀 비둘기가 날아야 비로소 모래사장 위에 잠들 수 있나
얼마나 많은 포탄이 떠다닌 후에야 영원한 평화가 찾아올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얼마나 여러 해가 지나야 산이 씻겨 내려 바다가 될까
얼마나 오랜 세월이 지나야 그들이 자유를 얻게 되는 걸까
얼마나 더 고개를 돌려 모르는 척 할 수 있을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얼마나 여러번 위를 올려 보아야만 천국을 바라볼 수 있을까
얼마나 더 귀를 기울여야 사람들의 울부짖는 소리를 들을 수 있나
얼마나 더 많은 죽음이 이어져야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음을 알게 될까
친구여,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어
바람만이 알고 있지
--------------------------------------------------------------------
** 위곡은 앞에서 언급한 김민기의 ‘아침이슬’등처럼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바람’에 대해 청자로 하여금 생각하게 만든다.
( 위곡을 만든 의도에 대한 밥 딜런의 말 )
'“사회의 거대한 범죄 중에는, 사람들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분명히 보고 그리고 알고
있으면서도 외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Ⅳ. 김민기 음악의 가치
김민기의 음악이 동시대의 다른 음악적 표현들과 구별되는 지점은 바로 그의 음악이 분명하게 보여주는 ‘대안에 대한 고민’에 있다. 대안에 대한 고민은 현실에 대한 좀 더 치열한 부정과 비판, 그리고 그로부터 비롯되는 고뇌와 혼란의 깊은 자의식의 표출을 수반한다. 다른 통기타 음악이 대부분 현실에 대한 다소 막연한 인식과 막연한 도피에 머문 것에 비해 그의 음악은 돔 더 치열한 고민과 깊은 자의식의 산물이며, 그런 점에서 좀 더 정치적이다. 이는 한 대수의 음악과 비교해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한 대수의 음악 역시 히피적인 분위기와 노랫말에서 드러나는 자유주의 정신을 통해 시대와의 불화를 드러내며 그런 점에서 분명 정치적이지만, 김민기가 ‘나’의 주체에서 ‘우리’의 주체로 그 지평을 넓혀가며 좀 더 치열한 정치적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반면, 한 대수의 경우는 ‘나’의 주체에 대체로 갇혀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김민기와 한 대수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이 지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두 사람의 음악이 가진 어떤 문화적 혹은 미학적 가치의 차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국적 상황이라는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음악이 가진 사회적 접점의 스펙트럼의 차이이며, 70 ~ 80년대의 대학가 노래운동에서 두 사람의 음악에 대해 가졌던 인식의 차이도 결국은 여기에 근거하는 것이다. 범박한 예로 한 대수의 노래는 ‘행복의 나라로’정도를 제외하면 함께 부르기보다는 혼자 부르는 노래였던 반면, 김민기의 노래는 혼자서도 부르지만 함께 부르기 위해서도 빠뜨릴 수 없는 노래였다. 그의 음악은 지식인적 자의식이 강하게 드러나는 초기 작품들에서 점차 민중 지향적 정치의식이 짙게 드러나는 후기의 작품들로 스펙트럼을 넓혀가며 그 정점에 노래굿 <공장의 불빛>이 위치한다. 그의 노래가 보여주는 이러한 자기 확대의 과정은 70년대의 청년문화가 낭만적 순수주의에서 점차 현실적인 정치성을 띠면서 80년대로 이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그것은 ‘나’의 세계에서 ‘남’의 세계로 다시 ‘우리’의 세계로 나아가는 주체 인식의 확대 과정이기도 하다. 70년대의 통기타 음악에서 김민기의 부중은 그래서 그 대중적 명망이나 인기와 무관하게 절대적이다. 김민기의 음악이 있음으로 하여 70년대 통기타 음악은 비로소 청년문화의 이름에 값할 수 있었다. 그의 음악이 없었다면? 우리는 70년대의 청년문화를 단지 한때의 유행으로, 문화 정치의 맥락과 별 관계없는 그저 하나의 흘러간 사조쯤으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가요와 계층의식의 분화
한국의 영화 및 영상 산업의 특징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웰빙과 마케팅
이중간첩
여유로운 삶의 즐거움, 웰빙
유치환 연구
FTA현황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웰빙문화의 유래와 문제점 및 지향방향
TV드라마의 두드러진 특징과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현대사회][청소년][화법][여가문화][보육정책][노사관계][양극화현상][도시빈민][세계화]현...
문화화와 행정의 대응과제
미용산업의 발전 배경 및 전망
[관광기업의 경영 전략 분석] 캐리비안 베이의 경영 전략 분석
[대기업][재벌][그룹][동양그룹][LG그룹]대기업(재벌) 동양그룹, 대기업(재벌) LG그룹, 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