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효소의 작용
형질 전환
protein over-expression
bioinformatics
코아세르베이트 관찰
형질 전환
protein over-expression
bioinformatics
코아세르베이트 관찰
본문내용
. Materials and Methods
(1)Materials
α-amylase, 1% starch용액, 0.1N Iodine용액, TE buffer (Tris-EDTA buffer pH 3.0 , pH 7.0, pH10.0), DW, 5%, 10%, 20% NaCl용액, 항온수조, 시험관, 시험관대, 파이펫, 얼음, 온도계
(2)Methods
1>.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1) 6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 TE buffer(pH 7.0) 1ml, D.W 1ml을 넣는다.
3) 두 개의 시험관은 4℃(얼음), 두 개의 시험관은 40℃(water bath), 나머지 두 개의 시험관은 70℃(water bath)에서 5분간 incubation한다.
3) 요오드를 20ul 넣은 후 위에서 만든 6개의 시험관에서 3쌍 중 각각 한 개의 시험관에 40ul의 α-amylase을 가하여 잘 섞고. 해당 온도에 놓아둔다.
5) 5분 후 각 온도에서 효소가 들어가지 않은 시험관과 비교하여 발색반응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관찰하고 α-amylase의 최적 활성 온도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본다.
2>.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pH의 영향
1) 6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과 1ml의 D.W를 넣는다.
3) TE buffer pH 3.0, 7.0, 10.0 용액 1ml를 1쌍씩의 시험관에 각각 넣고 잘 섞어준다.
4) 70℃ water bath에서 5분간 incubation한 후 요오드를 20ul 넣고 다시 70℃ water bath에 놓아둔다.
5) 각 쌍의 시험관중 각 1개의 시험관에 α-amylase 40ul를 가하여 잘 섞는다 .
6) 70℃ water bath에 다시 넣고 발색반응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한다.
3>.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salt의 영향
1) 8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 TE buffer pH7.0 용액 1ml을 각각 넣고 잘 섞어준다.
3) D.W, 5%, 10%, 20% NaCl 1ml를 1쌍씩의 시험관에 각각 넣고 절 섞어준다.
4) 70℃ water bath에 5분간 incubation시킨 후, 요오드를 20ul를 넣고 다시 70℃ water bath에 놓아둔다.
5) 각 쌍의 시험관중 각 1개의 시험관에 α-amylase 40ul를 가하여 잘 섞는다.
6) 70℃ water bath에 다시 넣고 각 조건에 따른 발색반응의 변화를 통해 효소의 활성을 알아본다.
<주요 시약 및 용어>
* 아밀라제 - 녹말이나 글리코겐과 같이 α-결합의 글루코오스로 되어 있는 다당에 작용한다. 작용하는 양식에 따라 α-아밀라제, β-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3종으로 나눈다. 녹말에 침을 섞어 따뜻하게 하면 요오드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침 속의 아밀라제의 작용 때문이다.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1)Materials
α-amylase, 1% starch용액, 0.1N Iodine용액, TE buffer (Tris-EDTA buffer pH 3.0 , pH 7.0, pH10.0), DW, 5%, 10%, 20% NaCl용액, 항온수조, 시험관, 시험관대, 파이펫, 얼음, 온도계
(2)Methods
1>.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1) 6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 TE buffer(pH 7.0) 1ml, D.W 1ml을 넣는다.
3) 두 개의 시험관은 4℃(얼음), 두 개의 시험관은 40℃(water bath), 나머지 두 개의 시험관은 70℃(water bath)에서 5분간 incubation한다.
3) 요오드를 20ul 넣은 후 위에서 만든 6개의 시험관에서 3쌍 중 각각 한 개의 시험관에 40ul의 α-amylase을 가하여 잘 섞고. 해당 온도에 놓아둔다.
5) 5분 후 각 온도에서 효소가 들어가지 않은 시험관과 비교하여 발색반응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관찰하고 α-amylase의 최적 활성 온도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본다.
2>.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pH의 영향
1) 6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과 1ml의 D.W를 넣는다.
3) TE buffer pH 3.0, 7.0, 10.0 용액 1ml를 1쌍씩의 시험관에 각각 넣고 잘 섞어준다.
4) 70℃ water bath에서 5분간 incubation한 후 요오드를 20ul 넣고 다시 70℃ water bath에 놓아둔다.
5) 각 쌍의 시험관중 각 1개의 시험관에 α-amylase 40ul를 가하여 잘 섞는다 .
6) 70℃ water bath에 다시 넣고 발색반응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한다.
3>.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salt의 영향
1) 8개의 시험관에 라벨링을 한다.
2) 각 시험관에 2ml의 녹말용액, TE buffer pH7.0 용액 1ml을 각각 넣고 잘 섞어준다.
3) D.W, 5%, 10%, 20% NaCl 1ml를 1쌍씩의 시험관에 각각 넣고 절 섞어준다.
4) 70℃ water bath에 5분간 incubation시킨 후, 요오드를 20ul를 넣고 다시 70℃ water bath에 놓아둔다.
5) 각 쌍의 시험관중 각 1개의 시험관에 α-amylase 40ul를 가하여 잘 섞는다.
6) 70℃ water bath에 다시 넣고 각 조건에 따른 발색반응의 변화를 통해 효소의 활성을 알아본다.
<주요 시약 및 용어>
* 아밀라제 - 녹말이나 글리코겐과 같이 α-결합의 글루코오스로 되어 있는 다당에 작용한다. 작용하는 양식에 따라 α-아밀라제, β-아밀라제, 글루코아밀라아제의 3종으로 나눈다. 녹말에 침을 섞어 따뜻하게 하면 요오드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침 속의 아밀라제의 작용 때문이다.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협생과 공생 질소고정 미생물의 유전자 및 생태적 특성
왜 암에 걸리게 되나?
EU 생명공학 산업의 현황과 전망
인간 복제에 대한 찬반 논쟁과 나의 의견
생명공학의 농업의 이용방안
[독후감]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암이란 무엇인가
뇌사와 장기이식 문제
[식품미생물학 정리]
[생명공학특허]생명특허(생명공학특허)의 특성, 생명특허(생명공학특허)의 역사, 생명특허(생...
[유전자][선택설][유전자재조합][유전자지도][줄기세포][염색체]유전자의 개념, 유전자의 선...
미생물의 유전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기술 및 사회경제적 접근으로의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