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서비스의 정의, 범위 및 중요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창출에 기여
* 대학 졸업 이상자 고용비중(’06년, 통계청자료) : 제조업 31.3%, 서비스업 평균 41.6%, 지식서비스 53.7% 수준
□ 지식서비스는 새로운 수출품목으로 성장 가능
시스템통합관리(SI), 소프트웨어, 국제해운, 컨설팅, 회계 및 법률자문, 디자인, 연구개발 등의 서비스업종은 유망 수출산업으로 기대
* 인도의 S/W산업, 미국의 컨설팅, 엔지니어링 등은 지식서비스 수출의 전형적인 사례
* 일본 우정공사의 해외물류사업 진출 등
□ 국가혁신시스템(NIS) 및 지역혁신시스템(RIS)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산업 혁신에 기여
OECD는 지식서비스가 “혁신과 관련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식교환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혁신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규정
자체혁신
- 지식서비스 기업은 자체적인 혁신활동(새로운 지식창출)과 확산을 경제 전반의 기술혁신에 기여
- 특히 기업조직, 회사전략, 인적자원 활용·관리 등의 측면에서 혁신에 기여
지식확산
- 자체혁신 외에 사회에 산재해 있는 지식의 획득과 이의 사회적인 확산을 통해 산업의 혁신에 기여
- 비즈니스 문제를 개념화하거나 'Best Practice' 보급
접근확대
-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를 통해 새로운 지식 창출과 기업의 서비스 접근도 제고
- 과거 대학이나 소수 대기업의 전유물이었던 지식에 대해 중소기업의 접근 허용
◆ 컨설팅, 광고, 사업지원 등 지식서비스는 서비스산업 자체로서 부가가치 및 고용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제조업의 가치사슬을 지원하여 제조업과 동반성장을 가능케 하는 등 산업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음.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3.1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5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