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김동인의 생애
2. 김동인의 문학사 개괄
1) 자연주의
2) 유미주의
3. 유미주의의 대표적 작품 ‘광염소나타’
1) 작품의 줄거리
2) 작품의 이해와 감상
3) 작품속의 유미주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김동인의 생애
2. 김동인의 문학사 개괄
1) 자연주의
2) 유미주의
3. 유미주의의 대표적 작품 ‘광염소나타’
1) 작품의 줄거리
2) 작품의 이해와 감상
3) 작품속의 유미주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그 내용 안에 백성수의 이야기>의 각 상황마다 공간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백성수가 이야기하는 공간을 좀 더 살펴보면, 백성수는 환경과 갈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회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생각을 하고 또 그런 생각들을 행동으로 옮기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K씨와 백성수가 만나는 공간인 '예배당'에 대해서 살펴보자. 예배당은 성전이며 거룩한 영혼의 세계를 대표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허나 그 곳에서 연주하는 백성수의 음악은 그런 이미지와는 대조적이다. 그가 말하는 참된 음악이란 순결주의, 정신주의가 아닌 광기를 속성으로 해야 함을 강조하는 일종의 도구일 뿐이다. 더불어 작가는 그런 광기어린 음악이 연주되는 곳으로 예배당을 설정할 때 음악의 아름다움이 더욱 여실하게 빛을 발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 외에도 '무덤가' 라든지 '불타는 집'등의 공간은 백성수의 광기어림을 더욱 잘 표현해주는 하나의 요소로 생각할 수 있다.
Ⅲ. 결론
소설은 현실 삶을 그대로 옮기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작가가 속한 당대의 상황과 그것을 수용하는 독자들의 의식이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면서 작가의 상상력 속에서 하나의 구조물로 창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동인은 문학에 대한 확고한 그의 사상, 유미주의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특히 작품 '광염소나타'에서 사회의 종교나 도덕 정치가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실을 대신하여 예술을 최고의 기치로 삼은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그것만이 김동인 작가 그 자신의 심경을 드러내는 방편이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순수소설이 아닌, 또다른 의미의 계몽문학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술을 위해서 허용하기 힘든 범죄를 정당화 했던 것과 더불어 식민지라는 구체적 현실 속에서 약해진 지식인의 자아를 험악한 세계의 횡포 앞에 무력하게 만든 것은 이 소설의 한계다. 또한 김동인의 냉소적인 자연주의로 말미암아 식민지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고 지식인적 허위에 갇혀 버리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그의 초기작과 유미주의 계열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남녀를 축으로 한 연애중심의 사건에 치우쳐 유미주의가 그의 작품에 육화되지 못한 것에서 미루어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까지의 한국 소설이 지닌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동인의 문학사적 위치는 이 한 작품만으로 평가내리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구어체 문장을 창안하고 최초의 순문학 운동가이자 최초의 단편작가로서 그의 역량은 우리 문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높이 치하할 일이다.
Ⅳ. 참고문헌
강인숙, 「김동인 작가의 생애와 문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김동인 외 23인,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송정문화사, 1993.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민병준, 김동인 소설의 원형 연구: 배따라기, 광염소나타, 광화사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1896
金祥均, 「金東仁의 作品 硏究: 唯美主義 傾向을 中心으로」, 동아대 대학원, 1985.
여기서 백성수가 이야기하는 공간을 좀 더 살펴보면, 백성수는 환경과 갈등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회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생각을 하고 또 그런 생각들을 행동으로 옮기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K씨와 백성수가 만나는 공간인 '예배당'에 대해서 살펴보자. 예배당은 성전이며 거룩한 영혼의 세계를 대표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허나 그 곳에서 연주하는 백성수의 음악은 그런 이미지와는 대조적이다. 그가 말하는 참된 음악이란 순결주의, 정신주의가 아닌 광기를 속성으로 해야 함을 강조하는 일종의 도구일 뿐이다. 더불어 작가는 그런 광기어린 음악이 연주되는 곳으로 예배당을 설정할 때 음악의 아름다움이 더욱 여실하게 빛을 발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 외에도 '무덤가' 라든지 '불타는 집'등의 공간은 백성수의 광기어림을 더욱 잘 표현해주는 하나의 요소로 생각할 수 있다.
Ⅲ. 결론
소설은 현실 삶을 그대로 옮기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작가가 속한 당대의 상황과 그것을 수용하는 독자들의 의식이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면서 작가의 상상력 속에서 하나의 구조물로 창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김동인은 문학에 대한 확고한 그의 사상, 유미주의를 반영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특히 작품 '광염소나타'에서 사회의 종교나 도덕 정치가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실을 대신하여 예술을 최고의 기치로 삼은 것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그것만이 김동인 작가 그 자신의 심경을 드러내는 방편이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순수소설이 아닌, 또다른 의미의 계몽문학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술을 위해서 허용하기 힘든 범죄를 정당화 했던 것과 더불어 식민지라는 구체적 현실 속에서 약해진 지식인의 자아를 험악한 세계의 횡포 앞에 무력하게 만든 것은 이 소설의 한계다. 또한 김동인의 냉소적인 자연주의로 말미암아 식민지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고 지식인적 허위에 갇혀 버리는 약점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그의 초기작과 유미주의 계열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대체로 남녀를 축으로 한 연애중심의 사건에 치우쳐 유미주의가 그의 작품에 육화되지 못한 것에서 미루어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까지의 한국 소설이 지닌 한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동인의 문학사적 위치는 이 한 작품만으로 평가내리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구어체 문장을 창안하고 최초의 순문학 운동가이자 최초의 단편작가로서 그의 역량은 우리 문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높이 치하할 일이다.
Ⅳ. 참고문헌
강인숙, 「김동인 작가의 생애와 문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김동인 외 23인,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송정문화사, 1993.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민병준, 김동인 소설의 원형 연구: 배따라기, 광염소나타, 광화사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1896
金祥均, 「金東仁의 作品 硏究: 唯美主義 傾向을 中心으로」, 동아대 대학원, 1985.
추천자료
현대소설 이론의 통합적 논리 구축을 위한 반성적 소고
현대소설의비평
(한국현대소설작가론) 김영하론
현대소설론
현대소설 빈처 독후감
[현대소설]마르셀 프루스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작품 분석 및 비평
[현대소설론] '통도사 가는 길' 비평
[현대소설]헤밍웨이의 `살인자들` 서사구조 분석
2010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 핵심체크
현대소설의 흐름
[현대소설감상] 김유정-만무방
2014년 2학기 현대소설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현대소설 작가연구] 기억에 의존하는 (체험의 형상화를 지향하는) 작가 김소진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작품 중 두 편을 선택하여 읽고, 작품에 드러난 아버지상과 이를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