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문학] 광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작가
2. 작가의 작품경향

Ⅱ. 본론
1. 전체 줄거리
2. 「광장」의 플롯 분석
3.인물 분석
4. 작품 속 성 의미
5. 성에대한 묘사, 표현기법
6.성과 주제와의 관련성

Ⅲ. 결론

본문내용

된 의미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조남현,『 <광장>, 똑바로 보기』, 문학사상, 1992 ,8 ,p189-193
3) 역시 명준과 은혜의 성관계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그 둘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갈매기를 통하여 상징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4)자신이 일하는 노동신문사에서 기사 문제로 자아비판을 하고 절망감에 빠져 집으로 돌아온 이명준이 은혜의 다리를 보며 사랑을 다짐하는 장면이다. 이종호 ,「최인훈의 <廣場> 연구」,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이처럼 은혜가 아닌 은혜의 다리를 보며 은혜를 하나의 인간이라기보다 하나의 성적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5)은 명준과 은혜의 성관계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명준은 은혜의 배를 미끌미끌하다고 표현했다. 은혜의 배를 바다에 비유하고 뱃속의 아이를 물고기에 비유한 것이다. 여성의 몸 안을 동굴이라고 표현하며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비유를 통한 간접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
7.성과 주제와의 관련성
최인훈씨는 소설 광장에서 60년대 시대 상황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게 성적 욕망에 대해 글을 썼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이명준은 남쪽의 애인 윤애와 사랑을 하면서 성관계를 갖는다. 이 둘의 성관계가 부부간의 성관계는 아니지만 남녀 간의 자연스러운 관계로서 당연한 듯이 작가는 글을 쓰고 있다. 후에 월북을 한 명준은 국립극장 발레리나 출신의 은혜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명준과 은혜도 성관계를 갖게 되는데 작가는 명준이 은혜와 관계를 하는 동안 윤애와의 기억들이 모두 사라진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 이는 마치 이성보다는 본능에 충실한 동물과 같은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러한 성에 대한 욕망은 과거에나 현재나 공산주의 사회 안에서나 자유주의 사회 안에서나 변함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작가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 성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는 생물학적 본질주의를 따르는 것 같다.
하지만 작가는 이러한 정해져 있는 성의 개념 틀 안에서도 시대의 흐름이나 사회의 관념의 영향을 받고 있다.
서부전선에서 싸운 어떤 포로의 이야기. 여름이었다 한다. 그 병사는 산허리를 타고 넘다가, 풀숲에 넘어진 주검을 보았다. 여자였다. 전투원, 비전투원 할 것 없이 싸움터에서 주검을 본 것이야 얘기도 안 되지만, 얘기는 그 주검의 모양이었다. 그녀의 사타구니에 생나무가지가 꽂혀있었다 한다. 그 얘 기를 한 병사는 미군이 한 짓이 분명하다고 했다. 얼마전에 거기를 미군이 지나갔으니 틀림없다고 했다.
명준은 포로수용소에 있으면서 서부전선에서 있던 포로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리고는 그것이 분명 미군의 것이 틀림없다며 강하게 비난을 퍼붓는다.
그는 꿈속의 윤애에게 말하는 것이다. 윤애, 난 사랑했어. 방법이야 서툴렀을망정. 난 사랑했기 때 문에 윤앨 버리고 도망간거야. 나는 너를 능욕하려 했을망정, 어느 병사처럼 길가의 여자에게 꽃꽂이 익힘을 한 적은 없어. 알지도 못하는 여자를 덮치는 자식들만이 짐승이야. 그들은 아무 핑계도 댈 수 없으니깐.
명준은 윤애와 성관계를 맺고서는 윤애를 두고 월북했지만 자신은 윤애를 사랑해서 그랬으므로 미군과는 다름을 스스로 되뇌인다. 명준이든 미군이든 누구나 성에 대한 욕망을 갖는 것은 같지만 그에 대한 방법과 정도가 윤리적이냐 비윤리적이냐는 사회에 따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성적인 것은 만들어 진다는 사회 결정론을 일부 따르는 것이다. 최인훈씨의 성에 대한 관점은 누구나 자신만이 추구하는 밀실을 갖고 싶어 하지만 광장(사회)을 무시 할 수 없다는 이글의 주제와도 상통한다.
Ⅲ. 결론
최인훈 작가에게 있어 성이란 과연 무엇이었을까? 자료를 조사해가며, 또한 소설을 탐독해가면서 까지 얻고 싶었던 물음 이였다. 어떻게 보면 광장 이란 소설 제목과도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았을까 라는 의문점도 들기 시작했다. 이 소설에서의 명준은 성에 대한 2가지의 입장을 동시에 보여준다. 북쪽에서의 성관계에서 볼 수 있는 생물학적 본능주의에 의한 그것과 남쪽에서의 미군들의 행포에 대하여 느끼는 사회적 결정론적 입장이 그것이다.
사랑은 섹스인가? 섹스는 사랑인가? 작가는 명준의 두 가지 입장에 대해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시대에서 섹스가 과연 사랑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인지를 말이다.
소설 작성 시기였던 1960년대는 성에 대한 금기가 지금보다 더욱 심한 시기였다. 그 이유는 자유주의가 사회 전반에 퍼지게 되고 그로 인해 기존의 관습 및 의식에 대한 변화를 통해 사회 혼란 및 불안을 억제하고 방지하려는 이유였을 것이다. 하지만 광장은 그 당시의 보편적인 사고의 범위보다 훨씬 자유롭고 개방적이다. 이는 과거처럼 성이 종족 번식 기능을 위한 행위로서 쓰이지 않고 쾌락을 위한 역할로 성의 기능의 변화에 대한 작가의 무언의 외침이라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작가의 생각은 누구나 자신만이 추구하는 밀실을 갖고 싶어 하지만 광장을 무시 할 수 없다는 결론으로 막을 내린다. 결국 작가 역시 생물학적 본능주의로서의 성을 바라지만 우리 사회는 본능만의 충실한 삶을 살 수 없으며 사회 결정론적 성의 의미를 되짚어 보게 하는 서술로 막을 내린다.
즉 최인훈의 성행위를 통해 자유로운 삶이란 누구나 원하지만 광장이란 사회 규칙 안에서 벗어날 수 없는 그런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는 하나의 매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김윤식 , 『한국 현대문학 명작사전』(서울: 일지사, 1998)
2.김욱동, 『광장을 읽는 7가지 방법』(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6), 326~329P
3.팸 모리스,『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4.이종호,「최인훈의 <廣場> 연구」,『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 2007
5.조남현,『 <광장>, 똑바로 보기』, 문학사상, 1992 ,p189-193
6. 송현호 ,『한국현대소설론 』, 민지사 , 2000
<성과 문학>
“광장에서 나타난 성의 의미”
강 의 명: 성과 문학
담당 교수님:
◈목차
Ⅰ. 서론
1. 작가
2. 작가의 작품경향
Ⅱ. 본론
1. 전체 줄거리
2. 「광장」의 플롯 분석
3.인물 분석
4. 작품 속 성 의미
5. 성에대한 묘사, 표현기법
6.성과 주제와의 관련성
Ⅲ. 결론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3.2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