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케이스(TKR -인공관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이란?
2) 인공 슬관절 치환물이란?
3) 인공 슬관절 치환물의 수명은?
4) 수술 대상
2. 수술 전후의 진행과정
1) 입원 후부터 수술직전까지
2) 수술장에서
3) 수술직후
3. 수술부위의 처치 및 재활치료
4. 수술 후 생활 및 주의할 사항
퇴행성 관절염[arthritis]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Ⅴ.결론

본문내용

피가 고 이는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여 상처가 잘 아물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므로 배액이 잘 되도록하고 빠지지 않게 조심합니다.
3. 마취로 인해 소화능력이 떨어져 있으므로 다음날 아침까지는 금식하였다가 아침에 죽 을 드시도록 합니다.
4. 배설 : 소변량체크가 끝나면 방광훈련을 하고 뇨의를 느끼게 되면 소변줄을 빼게 됩니 다.
5. 수술 후 자세 : 무릎을 굴곡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여 베개위에 다리를 올려주고 통증과 다리가 붓는 것을 덜어주기 위해 얼음주머니를 대어 드립니다.
6. 운동 : 수술한 다음날부터 다리의 근육운동, 발목 펴고 굽히기 운동, 허벅지운동 조절 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합니다.
7. 물리치료는 혈액배액 주머니가 제거되고 가볍게 드레싱이 되어지면 보조기구를 맞추고 매일 물리치료실에 가서 기계를 이용한 서기운동, 무릎 구부리기 운동을 실시합니다.
*지속적 수동운동기계(CPM)- 환자의지와 관계없이 기계에 의존해서 하게되는 운동으로 일정한 기간동안 무릎각도를 늘려나가는 운동입니다. 최 대 115도까지 굽혀줄 수 있습니다.
이기계는 처방이 나면 수술후 가능한 이른날짜부터 병동에 서 하루한번 기계를 가지고 시행하시게 됩니다.
환자분이 무릎을 굽히시는것에 대해 불편감이 없게 하고 빨리 걷게 하기 위한 것을 돕기 위한 운동인데 환자분이 스스로 굽히시도록 여러번 노력하시는 것이 효과가 있습니 다.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퇴원교육
1. 인공 슬관절은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나?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약 85-90%는 10년까지는 성공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장기간 사용에 따른 주된 문제점은 해리현상이다. 이것은 접착제로 사용되는 cement가 부서지거나 뼈가 소실되면서 이루어진다. 10년 후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25%는 X-ray상 해리현상을 보였다. 10%는 통증을 호소하며 재수술을 필요로 하였고, 수술후 10년 동안 대략 25% 환자는 재수술을 하였다. 해리현상은 체중과 운동량에 관계되며 이러한 이유로 슬관절 전치환술은 너무 비만한 환자나 성장기에 있는 환자는 잘 시행하지 않는다. 해리현상이나 통증이 심한 인공 슬관절은 재수술해야 하며 2차 수술후 결과가 좋지 않으면 합병증의 위험은 더 증가한다.
2. 퇴원 교육
1) 환자는 집에서 능동적 굴곡운동과 직하지거상 운동을 계속해야 한다.
2) 환자는 집에서 능동적 굴곡 운동과 직하지거상 운동을 계속해야 한다.
3) 환자는 평생동안 수술이나 치과치료를 받기 전에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 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3. 퇴원 후 운동
1) 슬관절 대치술 환자를 위한 3단계 무릎 운동
ㆍ반듯하게 누워 한쪽 다리를 45도 정도 들어올린 후 5초 동안 그대로 유지한다.
다른쪽 다리도 반복한다. 한번 할때마다 10회 정도 하고 하루에 여러 번 반복한다.
ㆍ의자나 침대에 앉은 후 다리가 완전히 펴질 때까지 한쪽 다리를 든 채로 20초간 멈춘다.
다른쪽 다리도 반복한다. 한번 할때마다 20회 정도 하고 하루에 여러 번 반복한다.
ㆍ무릎 운동 시작1주일 후부터는 발목에 약 1kg정도의 모래주머니를 매달고 의자나 침대에 앉아서 한쪽 다리를 반듯하게 쭉 펴고 30초간 멈췄다가 천천히 내리기를 반복한다. 한쪽 다리에 30회 정도, 양쪽 모두 실시한다.
2) 슬관절 대치술 환자를 위한 10가지 생활수칙
① 적당히 운동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장시간 한꺼번에 운동하기보다는 짬짬이 시간 나는 대로 가볍게 운동을 한다.
② 딱딱한 침대, 가볍고 따뜻한 이불을 사용한다 =통증 때문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경 우가 생기는데 수면 부족은 환자에게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고 이는 다시 염증을 악화시 킨다. 따라서 최대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잠자는 공간을 조성해준다.
③ 온도ㆍ습도를 조절한다 =관절염 환자는 더위와 추위, 습기에 민감하므로 세 심한 주의 를 기울인다.
④ 성생활은 무리하지 않는 범위에서 한다 =지나친 성생활은 건강한 사람에게 도 무리를 주는 만큼 자신에게 편안한 체위로 무리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즐긴다.
⑤ 무릎 꿇는 자세를 피하고 의자를 이용한다 =무릎 꿇는 자세는 무릎에 무리 를 줄 수 있 어 피하고 되도록 의자에 앉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⑥ 입고 벗기 편한 옷과 굽이 높지 않고 바닥이 두꺼운 신발을 신는다 =너무 조이거나 입 고 벗기 힘든 옷이나 굽이 높은 신발은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삼가도록 한다.
⑦ 좌변식 변기를 사용하고 욕실 바닥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카펫을 깐다 =관절 에 무리를 주지 않는 좌변식 변기를 이용하고 낙상(落傷)으로 인한 충격을 막 기 위해 카펫을 깐 다.
⑧ 집안 일은 되도록 앉은 자세에서 편안하게 한다 =불편한 자세로 오래 서 있 거나 구부 정한 자세는 관절염을 악화시킨다.
⑨ 비만 예방을 위해 과식하지 않는다 =비만은 체중을 증가시켜 관절에 무리를 가하게 되 므로 체중이 너무 늘지 않도록 꾸준하게 조절을 해야 한다.
⑩ 변비를 예방한다 =관절염 환자가 예전보다 활동적이지 못하고 관절염 약이 변비를 유발 하는 경향이 있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물을 많이 마시고 섬유질 음식을 점차 늘려 간다.
Ⅴ.결론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인공 관절술은 젊은 시절 또는 지속적으로 하지 쪽에 많은 무리를 주는 활동들(일)을 한 노인들에게 자주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들에 대한 정서적 지지 또한 중요하며, 세포 재생능력이 많이 저하된 노인들은 수술부위 합병증으로 염증이 생겨 치유가 늦게 될 수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간호와 관찰이 필요했다.
인공 관절술은 수술 후 관리도 중요하므로 그에 따른 교육도 충분히 한 후 퇴원해야한다.
이상 간호연구를 통하여 환자에 적용해 보았다. 물론 이와 같은 훌륭한 수술로 예전의 삶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것도 좋지만 원래의 내 무릎의 소중함을 깨달아 예방하는 방법도 중요한 것 같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下·1, 전시자외 「현문사」P.454, 578-584
정형외과 간호학, 한윤복 공저 「수문사」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74952
http://www.kimsonline.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3.25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5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