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一 . 서론
二 . 본론
(一). <이상곡>명칭 문제
(二). 원문해석과 어구풀이
(三). <이상곡>작자에 대한 논의
(四). <이상곡>내용상 구분
三 . 결론
二 . 본론
(一). <이상곡>명칭 문제
(二). 원문해석과 어구풀이
(三). <이상곡>작자에 대한 논의
(四). <이상곡>내용상 구분
三 . 결론
본문내용
一 . 서론
<이상곡〉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 『경국대전』
<이상곡〉의 출처는
『세종실록』 권 116, 29년 丁卯(정묘) 6월조
문헌은
『악장가사』, 『악학편고』, 『대악후보』
二 . 본론
(一). <이상곡>명칭 문제
중국 「악부시집」
<이상조>
- 주나라 윤백기의 작으로 금곡의 가사
새벽 서리 밟으니 춥기도 해라
아비는 모르고서 계모 말 들었네
쫓겨나 헤매이니 간장이 찢어지네
무슨 죄 지었기에 이같이 벌 받는가
이대도록 미워하니 차라리 죽고지고
뉘 알아 이 내 원을 말이나 해 줄런고
<이상곡〉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 『경국대전』
<이상곡〉의 출처는
『세종실록』 권 116, 29년 丁卯(정묘) 6월조
문헌은
『악장가사』, 『악학편고』, 『대악후보』
二 . 본론
(一). <이상곡>명칭 문제
중국 「악부시집」
<이상조>
- 주나라 윤백기의 작으로 금곡의 가사
새벽 서리 밟으니 춥기도 해라
아비는 모르고서 계모 말 들었네
쫓겨나 헤매이니 간장이 찢어지네
무슨 죄 지었기에 이같이 벌 받는가
이대도록 미워하니 차라리 죽고지고
뉘 알아 이 내 원을 말이나 해 줄런고
추천자료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중국고전문학탐색의 시험문제를 올립니다.
고전문학을 소재로한 콘텐츠작품 (바리데기)
고전문학을 콘텐츠작품으로 만들기(춘향전을 영화로)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