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바리데기> 줄거리
● <바리데기> 내용 정리
● <바리데기> 이해하기
★ 게임 "바리공주의 전설"
※ 등장인물(캐릭터)
※ 게임과정 지역정보
● <바리데기> 내용 정리
● <바리데기> 이해하기
★ 게임 "바리공주의 전설"
※ 등장인물(캐릭터)
※ 게임과정 지역정보
본문내용
등장인물(캐릭터)
1. 바리공주(15세): 슬픈 운명을 타고난 불라국 오귀대왕의 일곱 번째 딸. 병에 걸린 부모님을 살리기 위해 생명의 약수를 찾아 서천서역으로의 모험을 떠난다.
2. 공손대인(21세):오귀 대왕의 경호대장. 차분하고 남성스러움이 강한 성격을 지니고있다.
3. 무공일신(75세):바리에게 무공을 가르치는 인물로 근엄하고 필요한 말만 하는 성격으로 태양마을에서 무공의 신으로 불리운다.
4. 성신할배(알 수 없음):별의 마을에서 도인처럼 살고 있는 인물로 나이를 종잡을 수 없는 산신령같은 존재이다.
5. 야차귀(알 수 없음):지옥문을 지키고 있는 귀신으로 낭화 임무를 준다.
6. 상도, 중도, 하도(35세):달, 별, 태양 마을 상점 주인 세 쌍둥이로 젊은시절 집안의 부흥을 위해 각 마을로 흩어져서 상점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중간에 길이 끊겨버리는 바람에 서로 왕래를 하지 못하고 있다.
7. 매화(25세):불라국 왕국의 커다란 상점을 운영하는 젊은 여인으로 젊은 나이에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바람에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게 된 여인으로서, 부모님이 계시지 않지만 쾌활한 성품의 소유자.
8. 장돌(38세):서천서역의 상점을 운영하는 자로 서천서역에 와서 점점 인간의 본성을 잃어가고 있다. 음침한 기운과 창백한 얼굴을 갖고 있으며, 인간과 귀신의 중간 정도의 존재이다.
9. 연화부인(40세):달의 마을에 살며 바리를 맡아서 키웠던 부인으로 남편을 달의 괴인에게 잃고 혼자 살고 있다. 한결 같이 젊음을 유지하고 있으며 달의 과인에 대한 분노와 남편을 잃은 슬픔을 간직하고 있다.
※ 게임과정 지역정보
1. 바리공주(15세): 슬픈 운명을 타고난 불라국 오귀대왕의 일곱 번째 딸. 병에 걸린 부모님을 살리기 위해 생명의 약수를 찾아 서천서역으로의 모험을 떠난다.
2. 공손대인(21세):오귀 대왕의 경호대장. 차분하고 남성스러움이 강한 성격을 지니고있다.
3. 무공일신(75세):바리에게 무공을 가르치는 인물로 근엄하고 필요한 말만 하는 성격으로 태양마을에서 무공의 신으로 불리운다.
4. 성신할배(알 수 없음):별의 마을에서 도인처럼 살고 있는 인물로 나이를 종잡을 수 없는 산신령같은 존재이다.
5. 야차귀(알 수 없음):지옥문을 지키고 있는 귀신으로 낭화 임무를 준다.
6. 상도, 중도, 하도(35세):달, 별, 태양 마을 상점 주인 세 쌍둥이로 젊은시절 집안의 부흥을 위해 각 마을로 흩어져서 상점을 운영하기 시작했는데, 중간에 길이 끊겨버리는 바람에 서로 왕래를 하지 못하고 있다.
7. 매화(25세):불라국 왕국의 커다란 상점을 운영하는 젊은 여인으로 젊은 나이에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바람에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게 된 여인으로서, 부모님이 계시지 않지만 쾌활한 성품의 소유자.
8. 장돌(38세):서천서역의 상점을 운영하는 자로 서천서역에 와서 점점 인간의 본성을 잃어가고 있다. 음침한 기운과 창백한 얼굴을 갖고 있으며, 인간과 귀신의 중간 정도의 존재이다.
9. 연화부인(40세):달의 마을에 살며 바리를 맡아서 키웠던 부인으로 남편을 달의 괴인에게 잃고 혼자 살고 있다. 한결 같이 젊음을 유지하고 있으며 달의 과인에 대한 분노와 남편을 잃은 슬픔을 간직하고 있다.
※ 게임과정 지역정보
추천자료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고전문학] 경기체가· 시조· 가사의 형성
[고전문학분석] 고소설에 나타난 부·자 분리의 형식과 제양상
한국 고전문학 개관
[고전문학] 애정소설
[고전문학] 특정 장르, 작가의 행적이 지닌 의미와 역할
[고전문학감상] 명월부인전(박씨전) - 박씨전이 넘은 한계와 넘지 못한 한계
[고전문학개론] 무가(巫歌)
[고전문학 교육론] 슬견설
[고전문학 교육론] 토의학습을 통한 가사교육 -관동별곡-
[고전문학 교육론] 희곡으로서의 봉산탈춤 - 음악 수업과의 공유형 교육과정 측면에서
[고전문학 교육론] 허생전 수업 지도안
[고전문학 교육론] 함께 하는 신화 수업 - ‘동명왕 신화’를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