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미술과 교육 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
1. 성격
2.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방법
5. 평가

Ⅲ.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대안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픈 일이다. 나의 밥그릇문제보다는 미술 또는 예술의 교육적 효과와 학생들의 정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미술을 통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사람들과의 의사소통도 배우고 또 공부하는 방법도 배웠다. 그림을 그리면서 나의 정신적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난 그림을 잘 그려서 그림을 한 것이 아니다. 난 그림을 못 그렸다. 우연한기회로 미술을 접하게 되었고 현재는 미술을 통해서 살아가고 있다. 모든 학생은 미술가로 키우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학생들에게 책안에서의 학문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세상과 소통하고 숨쉴 수 있는 구멍 하나 만들어줬으면 하는 바램 이다. 미술, 음악, 체육은 당장 내일시험에 필요한 과목이 아닌 인생전체에 그리고 우리 삶에 여유를 줄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는 학문이다. 선진국일수록 문화가 발달해있다. 공부를 해서 나라를 발전시키고 그 후에 문화 예술이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 공부와 예술 문화를 함께 공유하며 나라를 발전시키는 교육은 어떨까 싶다. 그리고 또 하나의 생각으로는 음악 미술 체육의 공동 교육을 생각해 보았다. 여러 가지 문제가 있겠지만 음악 미술 체육을 같이 하는 교육은 의미 있고 효과적일 것 이라고 생각한다. 미술수업 중에 음악을 듣고 그리시오, 또는 달리기하는 모습을 그리시오, 등 음악과 체육을 접목시킨 수업이 있다. 그런 수업들을 세과목의 선생님들이 연구해서 서로 연계를 지어 수업하는 방법도 하나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Ⅳ. 결론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을 읽고 그동안 간단하리라고 생각했던 선생님이라는 직업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나는 교육을 너무 쉽게 생각해 왔다. 그냥 하면 잘 가르치면 되는 것 이라고 생각했다. 이렇게 수많은 계획과 과정이 있을 것이 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러나 놀라움도 있었지만 이러한 문서를 교육부에서 힘을 들여 만들었지만 학교현장에서의 교육은 언제 이러한 문서나 과정이 있었는지를 전혀 알 수 없는 수업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아무리 좋은 생각을 갖고 있어도 그것을 행동할 수 없으면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앞으로 내가 교사가 되어서 어떻게 하면 좋은 생각을 좋은 행동으로 좋은 교육과정 문서를 좋은 수업으로 옮길 것 인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수업에 임하고 싶다.
<참고문헌>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수학습과 교육공학-박숙희 염명숙 저(학지사)
중등미술교육론-김춘일 저 (교육과학사)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2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