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이혼실태와 문제해결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우리나라 이혼실태
1.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이혼 양상의 변화
2. 동거기간별 이혼
3. 이혼사유
4. 이혼당시 20세 미만 자녀 유무
5. 시도별 이혼의 변화

Ⅲ. 결론 - 이혼문제 해결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이 이혼에도 보수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광주 역시 전남보다 이혼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는 조사 결과(문석남 외, 1994)를 참고해 볼 때 이혼에 대한 보수적인 가치관이 낮은 이혼율을 보이는 원인이 아닌가 여겨진다. 보수적인 가치관과 유교 전통과의 관련성 여부에 대해서는 심층적인 지역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도시화수준이 비교적 비슷한 시도 중에서도 시도에 따라 이혼율이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강원도의 조이혼율은 전라남북도, 충청남북도, 경상남북도보다 높은 전국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의 강원지역의 폐광과 관련된 경기침체나 위락시설 유치(카지노, 휴양시설 등)에 따라서 가치관의 변화가 다른 지역보다 빠르기 때문에 이혼율이 상승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시적인 심층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시도별
1996
1997
1998
1999
2000
서울특별시
18,464
(1.8)
20,391
(2.0)
26,090
(2.5)
25,917
(2.5)
25,477
(2.5)
부산광역시
6,957
(1.8)
8,210
(2.1)
9,895
(2.6)
9,666
(2.5)
10,129
(2.7)
대구광역시
3,851
(1.6)
4,354
(1.8)
5,484
(2.2)
5,711
(2.3)
5,370
(2.1)
인천광역시
4,982
(2.1)
6,056
(2.5)
7,918
(3.2)
7,928
(3.2)
7,905
(3.1)
광주광역시
1,941
(1.5)
2,221
(1.7)
3,112
(2.3)
2,974
(2.2)
3,052
(2.2)
대전광역시
2,280
(1.8)
2,451
(1.9)
3,409
(2.6)
3,474
(2.6)
3,653
(2.7)
울산광역시
1,691
(1.7)
1,910
(1.9)
2,536
(2.5)
2,552
(2.5)
2,620
(2.5)
경기도
14,867
(1.9)
17,963
(2.2)
23,358
(2.7)
23,820
(2.7)
24,888
(2.7)
강원도
2,467
(1.6)
2,731
(1.8)
3,743
(2.4)
3,920
(2.5)
3,941
(2.5)
충청북도
2,126
(1.5)
2,442
(1.7)
3,331
(2.3)
3,384
(2.3)
3,348
(2.2)
충청남도
2,522
(1.4)
2,924
(1.6)
3,747
(2.0)
4,119
(2.1)
4,272
(2.2)
전라북도
2,933
(1.5)
3,270
(1.6)
4,145
(2.1)
4,239
(2.1)
4,200
(2.1)
전라남도
2,832
(1.3)
3,292
(1.5)
4,272
(2.0)
4,310
(2.0)
4,467
(2.1)
경상북도
3,683
(1.3)
4,203
(1.5)
5,344
(1.9)
5,510
(2.0)
5,476
(2.0)
경상남도
4,854
(1.6)
5,420
(1.8)
6,856
(2.2)
6,813
(2.2)
7,242
(2.3)
제주도
939
(1.8)
1,116
(2.1)
1,401
(2.6)
1,473
(2.7)
1,763
(3.3)
전국
79,895
(1.7)
91,159
(2.0)
116,727
(2.5)
118,014
(2.5)
119,982
(2.5)
제주도의 이혼율이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높은 점에 대해서는 제주사회에 대한 기존연구를 살펴보면 그 원인을 찾아볼 수가 있다. 이창기(1995)는 제주도의 높은 이혼율과 재혼율, 장남분가, 핵가족화 및 소규모 가족, 문중조직의 약화, 재산상속의 균분 경향, 모중심적 가족구조 등 육지의 전통과는 상이한 모습을 빈약한 자원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가족노동을 효율적으로 조직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조혜정(1982)은 제주도 가족을 모성중심 또는 처우위형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집안일이나 경제활동에 여성의 역할참여가 많고 여성의 지위가 높음을 강조하는 것이 제주도 가족의 특성이라고 보고 있다.
제주도의 높은 이혼율이 유교적 전통의 약화와 무관하지는 않겠지만, 제주도의 주요 경제형태가 전작농업과 어업중심이었기 때문에, 전작농업에 대한 여성의 노동력 기여와 해녀의 역할이 경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 제주도의 높은 이혼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왜냐하면 여성의 높은 경제참여도가 주부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가져오고, 이에 따른 강한 생활력 또한 이혼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데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Ⅲ. 결론 - 이혼문제 해결방안
1. 사회복지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저소득 가정에 대하여 최소의 인간다운 생계를 보장할 수 있게 생계, 교육, 의료 면에서 확대된 사회적 지원책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것은 빈곤 가정에 있어서 이혼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이혼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2. 상담센터의 부부 교육 강화
가족상담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가정에서 가정 스스로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실제로 도움을 요청하는 대상 중 사회복지기관, 상담소는 우선순위가 매우 낮음을 감안해 볼 때 접근용이도를 높이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상담은 개인이나 가족문제가 사회문제로 확대되지 않도록 조기예방이 목표이므로 예방적 서비스 중심으로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담영역의 세분화, 전문화를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가족상담과 관련된 학과목을 사회복지학과, 가정관리학과, 청소년학과 등 관련학과 교과과정에 포함하도록 적극 권장해야 한다. 가족상담 전문요원 양성을 위한 훈련, 교육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 참고문헌
<우리나라 이혼의 실태와 대책>, 정기원,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4
<이혼원인에 관한 논의와 그 실태>, 김민규, 한국가족법학회, 2000
<한국의 이혼실태 - 최근 10년간의 이혼실태를 중심으로>, 김숙자, 명지대학교, 1998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