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식>에 대한 철학적 논의 및 나의 견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고르기아스(B.C 483- 376) 의 인식론(회의론자)
2. 베이컨(1214-1294)의 인식
3. 홉스(1588-1679)의 인식론
4. 데카르트(1596-1650)의 인식론
5. 로크(1632-1704)의 인식론
6. 칸트(1724-1804)의 인식론

Ⅲ. 회의주의 인식론비판 (고르기아스비판)

Ⅳ. 보고서를 마치며

본문내용

이 피를 돌리고 신장이 오줌을 걸러내듯이, 인간의 마음에는 감성과 오성과 이성이 선천적으로 갖춰져 있어 감성은 경험된 것을 직관하고 오성은 개념들을 사고하고 이성은 이념들을 추론한다고 보았다.
Ⅲ. 극단적 회의주의 인식론비판 (고르기아스비판)
고르기아스의 말대로 인간의 감각과 관찰로부터 얻어지는 지식은 불완전하며 참다운 지식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인식이 거짓이라면 고르기아스 자신이 느낀 모든 인식이 거짓이라는 그 사실도 참다운 지식이 아닌 것이 되므로 고르기아스의 말은 맞다 라고 할 수 없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명확한 사실이다.
여기에 더해 나는 좀 더 고르기아스의 제1명제, 제2명제, 제3명제에 대해 비판하고자 한다.
고르기아스의 제1명제대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명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아무것도 알 수 없다” 가 되어야 할 것이고, 제 3명제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고, 아무것도 알 수 없으므로 아무것도 전할 수 없다” 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애석하게도 고르기아스의 제2명제, 제3명제는 그렇지 않다. 고르기아스가 제2/제3명제에서 존재와 인식을 가정해 버리는 순간 그것은 일어날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제2명제와 제3명제는 제1명제를 보충해주고 확고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어떤 것 보다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식으로 제4명제에서 전달을 가정한다면 고르기아스는 그 뒷말을 무엇으로 메울 수 있을 것인가.
고르기아스가 제1명제에 이어서 ‘비록 어떤 것이 존재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그것을 알지 못한다.’ 라는 제2명제를 입으로 뱉는 순간 제1명제에 대한 가치는-참된 진리성은- 저 높디높은 하늘에서 나의 눈앞으로 현저하게 떨어졌고, 다시 그의 노망난 입에서 ‘어떤 것이 존재하고 인식할 수 있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할 수 없다.” 라는 제3명제를 뱉는 순간 땅바닥으로 추락해 버렸다. 처음에 그 고귀했던 그의 말은 이제 거들떠 볼 가치도 없는 것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것은 참으로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고, 그 스스로 자초한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데카르트의 회의론에 동조한다. 왜냐하면 지금 이 보고서를 쓰고 있는 것을 내 자신이 하는 것이라고 확고히 믿기 때문이고, 내가 그동안 수없이 행해온 사유와 인식을 나는 절대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순간마다 나는 살아있었다. 그것은 자명한 일이다.
생각해보면 나는 지금까지의 삶 동안 끊임없이 의심했고, 끊임없이 회의를 해왔다. - 그 사유들의 결과물로 많진 않지만 올바른 인식이라 믿는 몇 가지 것들이 내 머릿속에 남아있기도 하다 - 그것은 진정한 앎, 즉 진리에 대한 욕구였고, 올바른 인식에 대한 갈증이었다. 그것에 혹시 “올바른 인식이 존재할까?”라는 가벼운 의문은 있었을지 몰라도 “올바른 인식이란 없어.” 와 같은 극단적 회의같은 것은 없었다.
만약 고르기아스가 무덤을 뚫고 나온다면,
“고르기아스여 당신은 처음부터 그러한 극단적 회의를 가정하고 치열한 사유 끝에 존재와 인식과 전달은 있을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까? 아니면 처음에는 올바른 인식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역시 치열한 사유 끝에 아니다 라는 결론을 얻었습니까.”
라는 물음을 첫 번째로 던지고 싶다
Ⅳ. 보고서를 마치며
이 과제를 하면서 가장 큰 소득은 여러 철학자들의 인식론을 살펴 보면서 지금까지 내가 해왔던 사유의 과정이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와 닮아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나는 위대한 철학자인 데카르트와 비슷한 사유를 했다는 것에 대한 동질감 같은 감정도 느껴보았으니 가문의 영광이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해보면서 이 과제를 마치도록 하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