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감각반응 속도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요약
- 보고서의 방향

§ 실험내용 및 방법
- 프로그램을 통한 감각반응 속도 측정
- 잠자기 직전 피곤했을 때 감각반응 속도 측정

§ 결과 및 결론

§ 토의

본문내용

Right
§ 결과 및 결론
위 실험결과의 평균치와 졸릴때 실험결과의 평균치를 내어 보았다.
이름
평균
A
B
C
D
E
평상시
731.9ms
462.5ms
337.4ms
388.1ms
331.3ms
졸릴때
712.5ms
807.2ms
574.5ms
512.3ms
490.1ms
이름
평균
A
B
C
D
E
평상시
879.3ms
567.6ms
401.0ms
420.4ms
435.5ms
졸릴때
2261.8ms
1084.1ms
655.6ms
590.1ms
564.0ms
위의 자료를 보면 FIND실험보다 FAKE FIND실험에서 실험자 모두 0.05초~0.1초정도 반응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FIND실험에서는 지시숫자가 뜬 후 숫자 확인과 위치파악 없이 무엇인가가 뜨면 바로 정답을 누르면 됐다. 하지만 FAKE FIND에서는 숫자 확인과 위치파악을 한 후 정답을 눌러야 하기에 시간이 더 걸렸다.
또한 실험자마다 각각 다른 결과가 나왔는데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듯이 감각기관들의 반응속도 역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곤했을 때와 보통 때의 비교를 통해 피곤할 때 인간의 감각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피곤하고 졸릴 때 사람은 집중력이 떨어지고 집중력의 저하는 감각기관들의 반응속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게 한다. 음주운전뿐만 아니라 졸음운전도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실험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FAKE FIND에서 FAKE숫자들의 TERM이 너무 길다고 느꼈다. 이것이 더욱 더 집중력을 떨어뜨리지 않았나 생각한다. 또 무작위로 나왔으면 좋았을 텐데 어느 정도 해보니 패턴이 있었다. FAKE숫자가 3번 이상 넘어가는 경우가 드물었으며 보통 3번째에서 정답이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 토의
1.반응속도는 빠를수록 좋은가?
대부분의 경우 빨라서 나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특히 위험한 상황 하에서 가령 운전 시 사람이 차 앞에 갑자기 나타났을 때라 던지 운동할 때 야구공이나 축구공이 나를 향해 날아올 때 빠르게 반응하여 피해야 한다. 축구에서 골키퍼에게 빠른 반응속도능력은 필수이다.
이밖에도 반응속도가 빨라야 하는 상황은 무수히 많다.
2. 근로 장소에서 피곤하여 집중력이 떨어질 때 집중력을 높이고 인간의 반응속도를 올릴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작업 중에 졸음이 오게 하는 원인으로는 식사 또는 반주가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살펴보겠다.
1. 시스템적인 관점
-식사 후 충분한 휴식 또는 낮잠을 자게 하는 방법 있다. 경영자의 넓은 배려심이 필요한 대목이다.
(낮잠의 경우 회사원들이 로테이션으로 돌아가면서 취한다)
-가장 잠이 많이 몰려오는 시간에 체조시간을 갖는 등 일종의 이벤트를 벌인다.
2. 구성요소적인 관점
-운전을 직업으로 하는 경우 특히 새벽운전이 많은 화물차운전자들에게 졸음으로 초점이 흔들리는 상황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장비를 설치한다.
-회사 내에서는 근무자가 피곤함으로 인해 집중력이 떨어졌다 싶으면 안마기능을 갖춘 의자가 피로를 풀어준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5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