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pure discount bond or zero-coupon bond), 확정이자부채권(level-coupon bond)
■ 채권의 가치
0 1 2 n-1 n
순수할인채권 : F
확정이자부채권 : C C C F+C
⇒
2. 현물이자율과 만기수익률
■ 현물이자율(spot interest rate) : 현재시점에서 순수할인채권을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기간당 평균수익률
☞ 순수할인채권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소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
rn = 현재시점부터 n년도 말까지 적용되는 현물이자율
■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 : 현재시점에서 확정이자부채권을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기간당 평균수익률
☞ 확정이자부채권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소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 순수할인채권의 만기수익률 = 현물이자율
r = 만기수익률
제2절 주식의 가치평가
1. 기본적인 주식평가모형
2. 단순화된 배당평가모형
1) 성장 없는 주식(zero growth stock)의 평가모형
2) 항상성장모형
연도 말 : 0 1 2 3 4
→
배당금 : D1 D1(1+g) D1(1+g)2 D1(1+g)3
⇒ 항상성장주식(constant growth stock)의 평가모형 :
3. 성장률과 할인율의 추정
■ 성장률(g) = 유보비율×투자수익률
■
4. 성장기회와 주식평가모형
1) 성장 없는 주식의 평가모형
2) 성장주식의 평가모형 : NPVGO모형
P0 = 성장 없는 주식의 현재가치 + 성장기회의 순현재가치
=
5. 주가수익비율
⇒ PER의 결정요인
1) 기업의 성장기회
2) 할인율 ← 주식의 위험
3) 회계처리방법
◆ 보론 1 : 이자율의 기간구조
1. 이자율의 기간구조의 개념
■ 이자율의 기간구조(term structure) : 특정시점에서 현물이자율과 만기의 관계를 설명하는 곡선
☞ 수익률곡선(yield curve) : 만기수익률과 만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2. 선도이자율과 미래의 현물이자율
■ 선도이자율(forward interest rate) : 현재시점에서 이미 확정된 미래기간의 가설적인 이자율
fn-1,n = n 번째 연도의 선도이자율
■ 미래의 현물이자율 : 현재시점에서 알 수 없으나 현재 이후의 미래 일정 기간에 적용될 현물이자율
※ 현재시점에서 선도이자율은 알려져 있으나, 미래의 현물이자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을 유의해야 함.
3.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 기대이론(expectation theory) : 선도이자율이 미래에 기대되는 현물이자율과 동일해지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서 위험중립적인 투자자를 가정함.
⇒ f1,2 = E(r1,2)
☞ 이자율의 기간구조는 미래이자율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균적인 기대를 정확히 반영하여 결정됨
■ 유동성선호이론(liquidity preference theory) : 위험회피형 투자자를 가정하여 선도이자율이 기대현물이자율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된다는 이론임.
채권만기보다 짧은 투자기간을 지니는 경우 : f1,2 > E(r1,2)
채권만기보다 긴 투자기간을 지니는 경우 : f1,2 < E(r1,2)
☞ 일반적으로 투자자의 투자기간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의 만기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위험회피형 투자자들로 구성된 채권시장에서는 선도이자율이 기대현물이자율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되므로, 이 이론에 의하면 이자율의 기간구조는 기대이론에 의한 경우보다 상향으로 조정되어 나타남.
■ 시장분할이론(market segmentation theory) : 투자계층이 서로 다른 단기채권과 장기채권의 수익률은 각각 분할된 시장에서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는 이론임.
☞ 시장의 효율성과 차익거래의 기회를 무시하고 있음.
◆ 보론 2 : 이자율의 위험구조와 채권등급평가
1. 채무불이행위험과 이자율의 위험구조
■ 채무불이행위험(default risk) : 채권의 발행자가 이자와 원금을 약속한 대로 지급하지 못할 가능성
☞ 이자율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 채무불이행위험과 채권의 만기수익률간의 체계적인 관계(다른 조건이 일정할 경우 채무불이행위험이 높을수록 채권의 만기수익률은 높아짐)
■ 수익률스프레드 = 약속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약속수익률-기대수익률) + (기대수익률-무위험수익률)
= 채무불이행프리미엄 + 위험프리미엄
2. 채권등급평가
■ 채권등급평가(bond rating) : 신용평가기관(bond rating agency)이 채권의 원리금상환에 대한 발행회사의 능력을 평가하여, 이를 이해하기 쉬운 기호나 문장으로 등급을 매겨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제도
☞ 특정채권의 채무불이행위험에 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전달하여 투자자 보호
<표 3A-1> S&P와 무디스의 회사채등급의 분류와 그 의미
S&P
무디스
의 미
AAA
Aaa
최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이 극히 강함
AA+
AA
AA-
Aa1
Aa2
Aa3
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이 매우 강함.
A+
A
A-
A1
A2
A3
중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은 강하지만,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약간 있음.
BBB+
BBB
BBB-
Baa1
Baa2
Baa3
중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은 충분하지만,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소 높음.
BB+
BB
BB-
Ba1
Ba2
Ba3
저급채권으로 미래의 원리금지급능력이 불확실하고, 약간의 투기적 요소가 있음.
B+
B
B-
B1
B2
B3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 또는 계약조건의 유지가능성이 낮음.
CCC
Caa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음.
CC
Ca
매우 투기적이고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매우 높음
C
D
C
최하급채권으로 극히 투기적이며,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3. 채권등급과 만기수익률
■ 채권등급이 채무불이행위험을 대변하는 가장 좋은 측정치라면, 채권등급이 높을수록 채권의 만기수익률이 낮아짐.
■ 채권의 가치
0 1 2 n-1 n
순수할인채권 : F
확정이자부채권 : C C C F+C
⇒
2. 현물이자율과 만기수익률
■ 현물이자율(spot interest rate) : 현재시점에서 순수할인채권을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기간당 평균수익률
☞ 순수할인채권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소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
rn = 현재시점부터 n년도 말까지 적용되는 현물이자율
■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 : 현재시점에서 확정이자부채권을 매입하여 만기까지 보유하는 경우에 투자자가 얻을 수 있는 기간당 평균수익률
☞ 확정이자부채권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소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일치시켜 주는 할인율 순수할인채권의 만기수익률 = 현물이자율
r = 만기수익률
제2절 주식의 가치평가
1. 기본적인 주식평가모형
2. 단순화된 배당평가모형
1) 성장 없는 주식(zero growth stock)의 평가모형
2) 항상성장모형
연도 말 : 0 1 2 3 4
→
배당금 : D1 D1(1+g) D1(1+g)2 D1(1+g)3
⇒ 항상성장주식(constant growth stock)의 평가모형 :
3. 성장률과 할인율의 추정
■ 성장률(g) = 유보비율×투자수익률
■
4. 성장기회와 주식평가모형
1) 성장 없는 주식의 평가모형
2) 성장주식의 평가모형 : NPVGO모형
P0 = 성장 없는 주식의 현재가치 + 성장기회의 순현재가치
=
5. 주가수익비율
⇒ PER의 결정요인
1) 기업의 성장기회
2) 할인율 ← 주식의 위험
3) 회계처리방법
◆ 보론 1 : 이자율의 기간구조
1. 이자율의 기간구조의 개념
■ 이자율의 기간구조(term structure) : 특정시점에서 현물이자율과 만기의 관계를 설명하는 곡선
☞ 수익률곡선(yield curve) : 만기수익률과 만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2. 선도이자율과 미래의 현물이자율
■ 선도이자율(forward interest rate) : 현재시점에서 이미 확정된 미래기간의 가설적인 이자율
fn-1,n = n 번째 연도의 선도이자율
■ 미래의 현물이자율 : 현재시점에서 알 수 없으나 현재 이후의 미래 일정 기간에 적용될 현물이자율
※ 현재시점에서 선도이자율은 알려져 있으나, 미래의 현물이자율은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을 유의해야 함.
3. 이자율의 기간구조이론
■ 기대이론(expectation theory) : 선도이자율이 미래에 기대되는 현물이자율과 동일해지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서 위험중립적인 투자자를 가정함.
⇒ f1,2 = E(r1,2)
☞ 이자율의 기간구조는 미래이자율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균적인 기대를 정확히 반영하여 결정됨
■ 유동성선호이론(liquidity preference theory) : 위험회피형 투자자를 가정하여 선도이자율이 기대현물이자율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된다는 이론임.
채권만기보다 짧은 투자기간을 지니는 경우 : f1,2 > E(r1,2)
채권만기보다 긴 투자기간을 지니는 경우 : f1,2 < E(r1,2)
☞ 일반적으로 투자자의 투자기간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채권의 만기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위험회피형 투자자들로 구성된 채권시장에서는 선도이자율이 기대현물이자율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현재시점에서 현물이자율이 결정되므로, 이 이론에 의하면 이자율의 기간구조는 기대이론에 의한 경우보다 상향으로 조정되어 나타남.
■ 시장분할이론(market segmentation theory) : 투자계층이 서로 다른 단기채권과 장기채권의 수익률은 각각 분할된 시장에서 독립적으로 결정된다는 이론임.
☞ 시장의 효율성과 차익거래의 기회를 무시하고 있음.
◆ 보론 2 : 이자율의 위험구조와 채권등급평가
1. 채무불이행위험과 이자율의 위험구조
■ 채무불이행위험(default risk) : 채권의 발행자가 이자와 원금을 약속한 대로 지급하지 못할 가능성
☞ 이자율의 위험구조(risk structure) : 채무불이행위험과 채권의 만기수익률간의 체계적인 관계(다른 조건이 일정할 경우 채무불이행위험이 높을수록 채권의 만기수익률은 높아짐)
■ 수익률스프레드 = 약속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약속수익률-기대수익률) + (기대수익률-무위험수익률)
= 채무불이행프리미엄 + 위험프리미엄
2. 채권등급평가
■ 채권등급평가(bond rating) : 신용평가기관(bond rating agency)이 채권의 원리금상환에 대한 발행회사의 능력을 평가하여, 이를 이해하기 쉬운 기호나 문장으로 등급을 매겨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제도
☞ 특정채권의 채무불이행위험에 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전달하여 투자자 보호
<표 3A-1> S&P와 무디스의 회사채등급의 분류와 그 의미
S&P
무디스
의 미
AAA
Aaa
최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이 극히 강함
AA+
AA
AA-
Aa1
Aa2
Aa3
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이 매우 강함.
A+
A
A-
A1
A2
A3
중상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은 강하지만,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약간 있음.
BBB+
BBB
BBB-
Baa1
Baa2
Baa3
중급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은 충분하지만,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다소 높음.
BB+
BB
BB-
Ba1
Ba2
Ba3
저급채권으로 미래의 원리금지급능력이 불확실하고, 약간의 투기적 요소가 있음.
B+
B
B-
B1
B2
B3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채권으로 원리금지급능력 또는 계약조건의 유지가능성이 낮음.
CCC
Caa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음.
CC
Ca
매우 투기적이고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매우 높음
C
D
C
최하급채권으로 극히 투기적이며,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3. 채권등급과 만기수익률
■ 채권등급이 채무불이행위험을 대변하는 가장 좋은 측정치라면, 채권등급이 높을수록 채권의 만기수익률이 낮아짐.
추천자료
마케팅- 재무관리
현대기업경영 재무관리 레포트
[재무관리, 투자론]디지털도어락 전문기업 ‘아이레보’ 주가 기업가치 평가 분석
외식산업 재무관리
공학경영 재무관리
핵심 재무관리 - 제4장 연습문제
수출기업의 국제재무관리 전략 - DSR 제강 사례연구 -
기업에서 재무관리의 역할과 필요성
재무관리 측면에서 본 연금의 진실
원광대 재무관리2장 연습문제
[재무관리] 기업조직형태 (기업형태의 분류, 형태, Financial manager 의사결정의 목표, Agen...
[재무관리] LG전자
[재무관리] KNW 자본조달
[재무관리 Team Project][농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