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육의 도입, 남녀 평등 사상, 자유 결혼의 주장, 계급 간의 갈등과 평등 의식의 대두 등을 보여 주고 있는데, 그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이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은 새로운 것이었지만 형식은 고전 소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우선 소설의 전체적인 구조가 고전 소설의 영웅 설화 형식을 취하고 있고, 우연에 의한 사건 전개, 서술자가 자주 작품의 전면에 나와서 설명과 해설을 하고 있는 점들이 그러하다. 이로 보아, 신소설은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새로운 시대 사상을 담고 있으나, 형식적 측면에서는 아직 고전 소설의 틀과 특성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대적 영향으로 말미암아 문학의 예술적 기능에 대한 명백한 자각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사회적인 계몽과 같은 소설의 효용성에 치우쳐 있다는 것도 큰 특징이다.
□ <혈의 누>의 양면성
청일 전쟁을 배경으로 일본, 미국 등지로 무대를 옮기면서 사건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문투의 문장 대신 구어체의 문장을 사용, 작품의 현실감을 더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인물과 주제의 정형성, 구성의 우연성, 행복한 결말 구조 등 고대 소설의 기법을 그대로 사용, 그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은 새로운 것이었지만 형식은 고전 소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우선 소설의 전체적인 구조가 고전 소설의 영웅 설화 형식을 취하고 있고, 우연에 의한 사건 전개, 서술자가 자주 작품의 전면에 나와서 설명과 해설을 하고 있는 점들이 그러하다. 이로 보아, 신소설은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새로운 시대 사상을 담고 있으나, 형식적 측면에서는 아직 고전 소설의 틀과 특성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대적 영향으로 말미암아 문학의 예술적 기능에 대한 명백한 자각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사회적인 계몽과 같은 소설의 효용성에 치우쳐 있다는 것도 큰 특징이다.
□ <혈의 누>의 양면성
청일 전쟁을 배경으로 일본, 미국 등지로 무대를 옮기면서 사건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문투의 문장 대신 구어체의 문장을 사용, 작품의 현실감을 더해 주고 있다. 그러나 인물과 주제의 정형성, 구성의 우연성, 행복한 결말 구조 등 고대 소설의 기법을 그대로 사용, 그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