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리바다에 대해서...
(1) ‘소리바다‘란?
(2) 소리바다의 법적 분쟁
(3) 소리바다2의 배포
2. 소리바다사용에 대한 찬성적 입장
3. 소리바다사용에 대한 반대적 입장
4. 결 론
(1) ‘소리바다‘란?
(2) 소리바다의 법적 분쟁
(3) 소리바다2의 배포
2. 소리바다사용에 대한 찬성적 입장
3. 소리바다사용에 대한 반대적 입장
4. 결 론
본문내용
적이익을 가지고 많든 것이 아닙니다. 자기도 어디선가 얻거나 아니면 그냥 순수한 목적으로 많든 것입니다. 그러나 음반은 먹고 살기 위한 목적이 분명 있습니다. 그리고 외국의 예를 드는데 우리나라 만큼 인터넷을 편하게 쓰는 나라도 없고 공짜 좋아하는 나라도 없습니다. 외국의 뮤지션들은 많은 나라에 시장을 갖고 있는 데 반해서 우리나라는 음반시장도 좁습니다. 인터넷이 편하니까 그만큼 문제되는 것입니다. 그 만큼 폐해가 크다는것입니다
다른 나라 핑계댈 문제가 아닙니다.
또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은 다 산다고 말합니다.
음악은 점점 발전하는데 그렇다면 판매는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좋아하는 가수는 보통 보면 1,2명입니다. 그 정도로 자기가 누리는 음악적 혜택을 보상할 수 있을까요?
지적재산권과 들을 권리가 충돌한다면 생계와 관련있는 지적재산권이 당연히 앞서야 되는 것은 분명한 일입니다. 사람의 생각과 재능 머리는 가장 존중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차라리 이렇게 편하게 인터넷을 쓸 수 없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음반을 홍보하기 위해서 얼마 되지도 않는 출연료를 받고서 노력하는 가수들을 생각해보고, 더불어 각 문화분야업계에서도 그만큼의 노력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이면 다 된다는 심리를 이제 바꾸기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그에 상응하는 복제방지기술들을 많이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4. 우리의 결론
저희들의 생각을 모은 결과 소리바다는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음반을 구입한 사람이 저작권료를 냈다고 해도 그것은 공유한 사람에게까지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중고품, 골동품이라면 어떠하냐는 겁니다. 물론 노래에 그런 상품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곤란할 수가 있습니다. 저작권의 기간과, 또 그런 것과는 적용이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장황하게 떠든 이유는, 음반 시장에서 구입하기 힘든 노래, 판이 이미 레코드 가게, 인터넷 몰에서 사라진 그런 희귀한 노래를 구하는것 조차 소리바다가 불법적이냐고 묻고 싶습니다. 불법입니다. 하지만 그 정도의 융통성도 없는게 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레코드 가게에서 조차 사라져버린 음반들, 중고 시장 가서 구해도 구할까 말까하는 음반의 노래들,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노래 얼핏 듣고 제목 한두자로 노래 찾을 수 있는 곳 그런 데가 소리바다 입니다.
좀 벗어난 내용이기는 해도, 불법에서 불법을 논하는 것이긴 해도, 최신노래 다운로드 받을 때 소리바다 이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주로 다른 불법 사이트에 잘 정리된 음반 다운받는 사람도 많습니다.
소리 바다가 100% 잘못이라고 그리고 음반 시장의 위기를 무조건 소리 바다에만 돌리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소리 바다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그것을 음반 산업에 이용하는, 다시 말해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부가 가치 창출 방안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할 것입니다. 소리 바다 하나 죽어 버린다고 P2P가 다 죽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소리 바다는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나라 핑계댈 문제가 아닙니다.
또 사람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것은 다 산다고 말합니다.
음악은 점점 발전하는데 그렇다면 판매는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좋아하는 가수는 보통 보면 1,2명입니다. 그 정도로 자기가 누리는 음악적 혜택을 보상할 수 있을까요?
지적재산권과 들을 권리가 충돌한다면 생계와 관련있는 지적재산권이 당연히 앞서야 되는 것은 분명한 일입니다. 사람의 생각과 재능 머리는 가장 존중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차라리 이렇게 편하게 인터넷을 쓸 수 없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음반을 홍보하기 위해서 얼마 되지도 않는 출연료를 받고서 노력하는 가수들을 생각해보고, 더불어 각 문화분야업계에서도 그만큼의 노력을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이면 다 된다는 심리를 이제 바꾸기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그에 상응하는 복제방지기술들을 많이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4. 우리의 결론
저희들의 생각을 모은 결과 소리바다는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음반을 구입한 사람이 저작권료를 냈다고 해도 그것은 공유한 사람에게까지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중고품, 골동품이라면 어떠하냐는 겁니다. 물론 노래에 그런 상품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곤란할 수가 있습니다. 저작권의 기간과, 또 그런 것과는 적용이 다르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장황하게 떠든 이유는, 음반 시장에서 구입하기 힘든 노래, 판이 이미 레코드 가게, 인터넷 몰에서 사라진 그런 희귀한 노래를 구하는것 조차 소리바다가 불법적이냐고 묻고 싶습니다. 불법입니다. 하지만 그 정도의 융통성도 없는게 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레코드 가게에서 조차 사라져버린 음반들, 중고 시장 가서 구해도 구할까 말까하는 음반의 노래들, 라디오에서 흘러나온 노래 얼핏 듣고 제목 한두자로 노래 찾을 수 있는 곳 그런 데가 소리바다 입니다.
좀 벗어난 내용이기는 해도, 불법에서 불법을 논하는 것이긴 해도, 최신노래 다운로드 받을 때 소리바다 이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주로 다른 불법 사이트에 잘 정리된 음반 다운받는 사람도 많습니다.
소리 바다가 100% 잘못이라고 그리고 음반 시장의 위기를 무조건 소리 바다에만 돌리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소리 바다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그것을 음반 산업에 이용하는, 다시 말해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부가 가치 창출 방안을 찾는 것이 더 중요할 것입니다. 소리 바다 하나 죽어 버린다고 P2P가 다 죽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저희들은 소리 바다는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추천자료
소리바다 금지 과연 정당한가
소리바다 문제에 대하여
<음반유통>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A+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적 재산권
냅스터와 소리바다를 통해서 본 정보공유문제 - Copyleft VS Copyright?
불황을 겪고 있는 대중음악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온라인 음악 사이트 (벅스뮤직, 소리바다)에 대한 법, 경제학적 분적
C.A.S.E method- 소리바다
음반 산업과 글로벌 시장
정보재산권의 개념형성에 따른 지적재산권의 법리전개 및 발전
지적재산권문제에 관한 연구-Computer software를 중심으로-
인터넷 공유프로그램의 문제점과 영향 및 나아갈 방향
인터넷사회와 법 -인터넷 법의 종류, 인터넷 법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와 그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