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피아제의 인지발달
가. 지능
나. 도식
다. 동화 & 조절
※ 피아제의 심리발달이론
1) 성숙
2) 물리적 경험
3) 사회적 상호작용
2.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가. 감각 운동기(Sensorimotor Period)
나. 전 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다.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라.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가. 지능
나. 도식
다. 동화 & 조절
※ 피아제의 심리발달이론
1) 성숙
2) 물리적 경험
3) 사회적 상호작용
2.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가. 감각 운동기(Sensorimotor Period)
나. 전 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다.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라.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본문내용
ional Period)
구체적 논리의 시대(7세∼12세까지)로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시기 아동에게 한 웅큼의 5원, 10원, 100원, 500원 짜리의 동전을 쥐어 주면, 액수대로 분류하고 이것들의 포괄성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실제로 돈을 손에 쥐어 주었을 때만 가능하다. 돈을 손에 쥐지 않고, 머릿속으로만 조작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 이 시기는 양, 무게, 부피의 보존 개념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보존 개념을 획득한다는 것은 상보성, 가역성의 원리를 충분 히 이해한다는 뜻과 같다. 전 조작기의 자기중심적 사고는 이 시기에 와서 탈중심적 사고로 바뀌게 된다.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 가역적 사고 가능
* 결합, 분리, 정열, 곱하기, 나누기, 대입, 대응과 같은 기본적인 조작이 발달
* 분류가 가능하고 전체와 부분 사이의 관계를 이해
* 실제적 경험과 관련된 추론을 한다.
* 수개념을 인식하고 측정이 가능
* 양, 무게, 넓이, 부피 개념을 인식
* 사회의 규칙과 논리를 받아들인다.
라.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특징 및 주요개념
논리적 사고의 시대(12세∼성인초기/15,16세경)로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추상적 사고란 융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으로서 피아제가 고안한 유명한 실험은 고전적 물리학에 관한 실험인데 추의 진동에 관한 것이다. 길이, 무게, 높이, 힘 등의 상대적 효과를 잘 고려해야만 대답 할 수 있는 문제인데, 이 실험에서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 청소년들은 효과적인 실험을 설계하고, 이를 관찰하여 타당한 결론을 끌어 낼 수있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과 모든 성인이 매사에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시기가 되면 청소년들은 처음으로 도덕적, 정치적, 철학적인 생각과 가치문제 등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타인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은 문제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생각할까 등의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구체적 논리의 시대(7세∼12세까지)로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 특정사실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은 사물을 위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 시기 아동에게 한 웅큼의 5원, 10원, 100원, 500원 짜리의 동전을 쥐어 주면, 액수대로 분류하고 이것들의 포괄성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실제로 돈을 손에 쥐어 주었을 때만 가능하다. 돈을 손에 쥐지 않고, 머릿속으로만 조작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또 이 시기는 양, 무게, 부피의 보존 개념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다. 보존 개념을 획득한다는 것은 상보성, 가역성의 원리를 충분 히 이해한다는 뜻과 같다. 전 조작기의 자기중심적 사고는 이 시기에 와서 탈중심적 사고로 바뀌게 된다.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유아들의 특징
* 가역적 사고 가능
* 결합, 분리, 정열, 곱하기, 나누기, 대입, 대응과 같은 기본적인 조작이 발달
* 분류가 가능하고 전체와 부분 사이의 관계를 이해
* 실제적 경험과 관련된 추론을 한다.
* 수개념을 인식하고 측정이 가능
* 양, 무게, 넓이, 부피 개념을 인식
* 사회의 규칙과 논리를 받아들인다.
라.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특징 및 주요개념
논리적 사고의 시대(12세∼성인초기/15,16세경)로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하다. 추상적 사고란 융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지 알아보는 것으로서 피아제가 고안한 유명한 실험은 고전적 물리학에 관한 실험인데 추의 진동에 관한 것이다. 길이, 무게, 높이, 힘 등의 상대적 효과를 잘 고려해야만 대답 할 수 있는 문제인데, 이 실험에서 형식적 조작의 사고가 가능한 청소년들은 효과적인 실험을 설계하고, 이를 관찰하여 타당한 결론을 끌어 낼 수있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과 모든 성인이 매사에 형식적 조작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시기가 되면 청소년들은 처음으로 도덕적, 정치적, 철학적인 생각과 가치문제 등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타인의 사고과정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은 문제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생각할까 등의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