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하나는 예수님의 사랑의 이중 계명에는 율법의 비판 기능이 있다는 것입니다. 유다인들은 으뜸 계명을 다른 계명보다 중요시했을 뿐 그것을 기준으로 다른 계명을 비판하거나 무효화할 의도가 없었던 반면 예수님은 모든 계명을 사랑의 이중 계명으로 환원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것에 저촉되는 율법은 과감히 상대화하거나 폐기시켰다는 점이 독특한 점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이웃 사랑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라고 이 두 계명을 연결시킴으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쓰이는 「이웃」이란 개념도 유다인들이 동족을 「이웃」으로 본 반면 복음서는 민족의 테두리를 넘어 사마리아 사람들과 이방인들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점이 유다인들의 관점과 차이가 나는 점입니다.
우리가 흔히 예수님의 가르침을 「사랑」으로, 그리스도교를 「사랑의 종교」로 정의할 수 있는 것도,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유다교의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 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가 사랑의 이중 계명을 이야기하면서 한번쯤 생각해 보고 싶은 점은 왜 우리는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계명을 「최고의 계명」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실천의 현장에서는 자주 실패를 경험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물론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는 사랑이라는 문제에 접할 때 우리는 너무나 자주 자신의 책임에 대해 눈감고 그 실패의 원인을 다른 무엇에 전가한다는 것입니다. 즉, 사랑이 실패했을 때 그 이유를 저 사람이 나를 화나게 하기에, 또 생활이 바쁘고 힘들기에 등등 다른 사람이나 생활 환경에 책임을 돌린다는 것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과 환경들은 분명 나의 사랑의 삶을 방해해 왔고 방해 할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가 책임져야하고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외부의 환경이 사랑의 삶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마음의 위로를 얻기 위해 실패의 책임을 다른 사람이나 생활환경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을 중단하고, 힘들고 고통이 수반되겠지만 나의 선택에 책임진다는 마음으로 실패의 원인을 내 안에서 찾으려 노력할 때, 우리 신앙인의 최고의 삶인 사랑은 좀 더 성숙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홍금표 신부
하나는 예수님의 사랑의 이중 계명에는 율법의 비판 기능이 있다는 것입니다. 유다인들은 으뜸 계명을 다른 계명보다 중요시했을 뿐 그것을 기준으로 다른 계명을 비판하거나 무효화할 의도가 없었던 반면 예수님은 모든 계명을 사랑의 이중 계명으로 환원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것에 저촉되는 율법은 과감히 상대화하거나 폐기시켰다는 점이 독특한 점입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이웃 사랑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라고 이 두 계명을 연결시킴으로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쓰이는 「이웃」이란 개념도 유다인들이 동족을 「이웃」으로 본 반면 복음서는 민족의 테두리를 넘어 사마리아 사람들과 이방인들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점이 유다인들의 관점과 차이가 나는 점입니다.
우리가 흔히 예수님의 가르침을 「사랑」으로, 그리스도교를 「사랑의 종교」로 정의할 수 있는 것도, 그리고 그리스도교가 유다교의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 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가 사랑의 이중 계명을 이야기하면서 한번쯤 생각해 보고 싶은 점은 왜 우리는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계명을 「최고의 계명」으로 알고 있으면서도 실천의 현장에서는 자주 실패를 경험하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물론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는 사랑이라는 문제에 접할 때 우리는 너무나 자주 자신의 책임에 대해 눈감고 그 실패의 원인을 다른 무엇에 전가한다는 것입니다. 즉, 사랑이 실패했을 때 그 이유를 저 사람이 나를 화나게 하기에, 또 생활이 바쁘고 힘들기에 등등 다른 사람이나 생활 환경에 책임을 돌린다는 것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과 환경들은 분명 나의 사랑의 삶을 방해해 왔고 방해 할 것입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내가 책임져야하고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입니다. 외부의 환경이 사랑의 삶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마음의 위로를 얻기 위해 실패의 책임을 다른 사람이나 생활환경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을 중단하고, 힘들고 고통이 수반되겠지만 나의 선택에 책임진다는 마음으로 실패의 원인을 내 안에서 찾으려 노력할 때, 우리 신앙인의 최고의 삶인 사랑은 좀 더 성숙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홍금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