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배경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참고문헌
2. 배경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다. 물은 용기의 반 정도를 채우고 가열하여 수증기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증류기와 연결한다.
ⅲ) 냉각기와 수기
: Liebig 냉각기가 사용되는데 가급적 긴 것이 유리하고 수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적당한 용기를 사용한다. 증류를 방지할 때는 우선 수증기 발생기와 증류플라스크의 연결을 땐 다음 가열을 중지해야 하고, 이순서가 반대면 내용물이 역류한다.
2) 시약
※ turpentine(테러빈유)
: 소나무에서 얻은 정유로서, 무색의 기름(oil)으로 독특한 냄새를 지니고 있다. 비중 0.860∼0.875, 150∼180 ℃에서 대부분이 유출(溜出)된다. 물에 녹지 않고 에테르 ·클로로포름 ·이황화탄소에 녹는다. 주성분은 α 및 β 피넨이고, 또한 캄펜 ·디펜텐 ·리모넨 ·테르피놀렌 ·포름산 ·아세트산 ·수지 등도 함유한다. 브롬값 196∼231, 요오드값 360∼375. 소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어 침출하는 생송진(生松津)에는 약 20%의 테레빈유가 포함되어 있는데, 수증기로 증류해서 얻는다.
증류하고 난 찌끼는 로진(콜로포늄이라고도 한다)이다. 또 소나무 가지를 직접 수증기로 증류해도 적은 양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방법 외에 송근유(松根油)를 증류하여 유분(溜分)을 정제하고 다시 증류하여 얻는 방법이 있다. 주산지는 북아메리카 ·프랑스 ·러시아 등이다. 유도 자극제 등의 의약품, 페인트 ·니스 ·래커 등의 도료제조원료, 유화의 용제, 구두약, 합성장뇌(合成樟腦) ·보르네올 ·테르피네올의 원료로 사용된다.
4. 실험 방법
1) 플라스크에 30g(28ml)의 turpentine oil(bp. 156~165℃)과 물 75ml를 넣는다.
(끓임쪽 2개)
2) 최대한 끓을 수 있게 가열한다.
3) 처음 증류로 나오는 10ml는 버린다.
4) 다음 증류로 나오는 30ml를 수집한다.
5) 이 증류액의 물과 turpentine oil 층의 부피를 측정한다.
6) 측정된 값을 이론치와 비교해 본다.
5. 참고문헌
1) 남기대, 손주환, 김유옥, 『최신유기합성실험』, 진영사, p.136~139
2) Roger AdamsㆍJohn R. Johnson, 『Laboratory Experiments in Organic
Chemistry』, Macmillan, 1949, pp.70~73
3)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 http://www.cheric.org/
4)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ⅲ) 냉각기와 수기
: Liebig 냉각기가 사용되는데 가급적 긴 것이 유리하고 수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적당한 용기를 사용한다. 증류를 방지할 때는 우선 수증기 발생기와 증류플라스크의 연결을 땐 다음 가열을 중지해야 하고, 이순서가 반대면 내용물이 역류한다.
2) 시약
※ turpentine(테러빈유)
: 소나무에서 얻은 정유로서, 무색의 기름(oil)으로 독특한 냄새를 지니고 있다. 비중 0.860∼0.875, 150∼180 ℃에서 대부분이 유출(溜出)된다. 물에 녹지 않고 에테르 ·클로로포름 ·이황화탄소에 녹는다. 주성분은 α 및 β 피넨이고, 또한 캄펜 ·디펜텐 ·리모넨 ·테르피놀렌 ·포름산 ·아세트산 ·수지 등도 함유한다. 브롬값 196∼231, 요오드값 360∼375. 소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어 침출하는 생송진(生松津)에는 약 20%의 테레빈유가 포함되어 있는데, 수증기로 증류해서 얻는다.
증류하고 난 찌끼는 로진(콜로포늄이라고도 한다)이다. 또 소나무 가지를 직접 수증기로 증류해도 적은 양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방법 외에 송근유(松根油)를 증류하여 유분(溜分)을 정제하고 다시 증류하여 얻는 방법이 있다. 주산지는 북아메리카 ·프랑스 ·러시아 등이다. 유도 자극제 등의 의약품, 페인트 ·니스 ·래커 등의 도료제조원료, 유화의 용제, 구두약, 합성장뇌(合成樟腦) ·보르네올 ·테르피네올의 원료로 사용된다.
4. 실험 방법
1) 플라스크에 30g(28ml)의 turpentine oil(bp. 156~165℃)과 물 75ml를 넣는다.
(끓임쪽 2개)
2) 최대한 끓을 수 있게 가열한다.
3) 처음 증류로 나오는 10ml는 버린다.
4) 다음 증류로 나오는 30ml를 수집한다.
5) 이 증류액의 물과 turpentine oil 층의 부피를 측정한다.
6) 측정된 값을 이론치와 비교해 본다.
5. 참고문헌
1) 남기대, 손주환, 김유옥, 『최신유기합성실험』, 진영사, p.136~139
2) Roger AdamsㆍJohn R. Johnson, 『Laboratory Experiments in Organic
Chemistry』, Macmillan, 1949, pp.70~73
3)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 http://www.cheric.org/
4)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