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나트륨의 합성(예비, 결과)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배경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6. 토 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장소를 정하여 다른 물질과 격리 보관
9) 흡입하였을 경우 : 계란흰자위, 우유나 대량의 물을 마심. 의사진단 <붉은테++빛>x
③ 수산화나트륨(NaOH)
1) 무색반투명의 고체로 비중 2.13, 녹는 점 318.4℃, 가정소다라고도 함.
2) 조해성이 있고, 물에 녹고 발열한다.
3) 알코올, 글리세린에도 잘 녹음.
4) 비누제조, 펄프, 인견 등의 화학공업에 쓰인다.
5) 수산화나트륨은 5% 이상을 함유하면 극물임.
6) 피부에 닿으면 상처입고 눈에 들어가면 실명됨.
7) 진한 용액을 마시면 식도, 위의 점막이 상해되고 사망함.<붉 은테+>
④ 수산화칼륨(KOH)
1) 백색 고체, 비중 2.1, 녹는 점 360℃, 끓는 점 1,324℃
2) 물, 알코올, 글리세린에 잘 녹음.
3) 조해성이 있다.
4) 독극물, 밀봉보관.
5) CO2와 H2O를 강하게 흡수하므로 나무로 포장하여 보관함.
6) 은, 철, 니켈은 거의 침식되지 않음.
7) KOH를 5%이상 포함한 제제는 극물임.
8) KOH의 진한 수용액은 부식성이 강하고 피부에 닿으면 위험 하며 식도, 위 등의 점막을 부식시켜 사망함.<붉은테+>
⑤질산 (HNO3)
: 밀도가 1.50 g/cm3 (25℃)로서 매우 강한 산의 하나이며 빛을 쬐면 분해되어 물과 이산화질소, 그리고 산소를 만든다. 따라서 질산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갈색병에 넣어 햇빛이 비치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 질산은 산화력이 강해 구리나 은 등을 녹인다. 진한 질산과 진한 염산을 1 : 3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용액을 왕수라고 하는데 왕수는 금도 용해시킬 수 있다.
6. 토 의
1) 이번 실험은 고순도의 염화나트륨을 얻기위한 염화나트륨의 합성 및 정제법을 통하여 다른 무기물질의 합성 및 정제법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에서 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XRD(X선 회절분석법)를 통한 피크 비교를 해보았다. 우리는 피크의 강도세기 순위에 따른 2θ값을 서로 비교를 하였는데, 먼저 표준 염화나트륨과 실험을 통해 얻은 염화나트륨의 각각의 피크들은 매우 흡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실험을 통해 얻은 염화나트륨의 순도는 표준 염화나트륨과 비슷하다고 판정을 하였다. 그리고 시판소금과의 비교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강도의 피크들의 2θ값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 번째 강도의 피크의 2θ값은 shift를 고려하더라도 10정도 차이가 났다. 여기서 시판소금의 다른 피크를 확인 하였는데, 약한 강도의 피크의 2θ값에서 표준 염화나트륨과 실험을 통해서 얻은 염화나트륨의 세 번째 피크의 2θ값과 비슷한 56.640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판소금의 염화나트륨의 피크 속에서 2θ값이 다른 피크가 나온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시판소금에는 불순물이 포함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불순물이 포함되어있다는 것은 순도가 떨어지는 것이므로, 시판소금은 순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2) 표준 염화나트륨은 우리가 실험에서 합성한 염화나트륨보다 순도가 높은데 비하여 피크수가 합성된 염화나트륨의 피크수 보다 많다. 합성된 염화나트륨의 피크의 2θ는 모두 표준 염화나트륨의 피크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표준 염화나트륨의 피크수가 많다는 것은 다른 물질의 피크도 포함이 된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데이터의 차이의 원인을 토의해 보았는데 합성 염화나트륨과 시판 염화나트륨의 시료의 Target은 기제가 되지 않아서 확인이 불가능 하였고, 표준 염화나트륨의 Target은 Cu인 것으로 보아 Target의 차이에 의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 되어진다. Target이 달라지게 되면 측정파장과 시료에서 방출되는 형광X선의 양이 차이가 생기게 되므로 흡수되는 피크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앞장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Cu와 Cr의 Data가 차이 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준 염화나트륨과 합성 염화나트륨의 피크의 차이는 Target의 차이라고 보여 진다.
3) 이번 XRD 분석에서 Bragg의 법칙(λn = 2dsinθ)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의 이론적인 d값을 통하여 비교를 하면서 θ를 확인하려 하였으나, 정확한 파장의 수치가 제시되어있지 않아 실질적인 계산을 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분석시 파장은 동일하므로 파장을 상수항로 생각하고, d값을 비교해보았는데 같은 θ값의 피크는 거의 비슷한 d값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d값이 같다는 것은 결정면과 결정면사이의 거리가 같은 물질이라는 것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결정면과 결정면 사이의 거리는 격자상수에 의해 정해지고, 격자상수는 각 원자의 반지름(이온반지름)에 의해서 정해지며, 원자의 반지름(이온반지름)이 같은 물질은 동일원소가 아닌 이상 같을 수가 없기 때문에 d값이 같다는 것은 같은 물질임을 나타낸다.
4) XRD분석 표에 보면 상대강도가 같은데 Intensity가 다르게 나타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는 이유를 생각해보았다. 이것은 매우 단순하게 해결됐는데 상대강도는 백분율로 나타냈기 때문에 큰 범위의 수가 작은 범위의 수에 포함되므로 이런 것이 관찰 될 수있다고 보았다.
5) 우리는 또 부식성 시약에 대하여 토의해 보았다. 부식성 시약은 실험기구의 부식 및 화재, 폭발, 유독성 물질의 누출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하여 다뤄야 하며 다루는 방법은 부식에 대한 안전을 위하여 장갑을 끼며, 정량만을 보관하여야 하고, 부식성 시약은 부식이 잘 되는 실험기구와는 접촉시키지 않도록하며, 기타 실험실 안전 수칙에 의거하여 다뤄야 한다고 의논을 모았다.
7. 참고문헌
1) Daniel C. Harris저, 김광진등역, 최신분석화학, 자유아카데미, 2004년
2) 기기 분석 및 실습
3) 재료공학
4) 화학물질정보 Inforchems - http://www.infochems.co.kr/chemdb/chem_list.asp
5) 인터넷 웹 문서, 블로그 게시물
- http://blog.naver.com/c2hyoun2?Redirect=Log&logNo=140014012368
- http://www.softdisc.co.kr/Qual.html
6) 네이버 백과사전 - http://100.naver,com/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4.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