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 해방 직후 에서 제 2차 경제개발계획 에 이르기 까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되었으며 이와 같은 의욕적인 정부투자에 주안이 되어 하반기에 경기과열화 현상이 나타나 연말경 진정화를 위한 종합적인 긴축정책이 실시되었다.
2차년도 중엽부터 과열되어온 경기를 진정시키고자 한 종합적인 안정화정책으로 일관하였다. 즉, 민간 및 정부의 과다 투자지출의 억제, 국제수지 개선, 물가안정, 기업체질개선 등을 위한 정부, 금융 외화면에서 종합적인 안정정책을 추구하였다. 한편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전년도의 주요시책은 계속되었다.
부분별 성장전략을 보면 아직도 구체적 정책이 결여되어 있는 부문이 있거나 발전의 기본방향을 짐작하기 어려운 부문이 있다. 예를 들어, 중소기업 육성 및 공정거래의 확보 등에 관한 언급이 처음으로 계획에 등장하고 있지만, 이를 구체화하는 전략 제시는 없었다. 다른 예로, 지역별 특화산업을 육성하고 지방 분산화를 촉진하여 지역개발을 도모하며 원료산지에 공업단지를 조성한다는 중소기업 육성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1967년 10월에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방은행인 대구은행, 부산은행을 설립한 것 이외에는 별다른 것을 찾아보기 어렵다. 결국 부문별 성장전략의 수립이라는 면에서 구체적 추진방안을 마련하지 못하는 단계에서 각 부문별로 당시의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을 해소하겠다는 의사표명이나 앞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성장목표 내지 전략을 계획서에 나열하는 데 그치고 있는 셈이다.
2차계획은 1차계획에 비해 계획수립에 있어서 방법상, 내용상 진일보 하였고 대체로 효율적으로 추진되었으나 구체적인 전략의 미흡으로 달성할 수 없었던 부문도 있었다.

키워드

경제사,   동란,   해방,   경제,   개발,   계획,   개발계획,   한국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4.1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