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무역] 항망경영 및 항만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항만경영 (Port Operation)
1. 국 내 : 물류-비즈니스 허브전략
2. 국 외

항만관리 (Port Management)
1. 국내
2. 국외

본문내용

활용도 제고를 위해 시스템 운영규정 등 관련 규정을 제.개정하고 사용자 교육과 홍보를 통해 시스템의 조기에 정착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2. 국외
싱가포르
지난해 싱가포르항은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세계 1위에 등극했다. 홍콩항이 중국 선전항의 가파른 성장에 발목이 잡히면서 물동량 증가율이 둔화된 점을 감안해도 싱가포르항이 연간 10%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인 것은 항만 생산성의 고공 성장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싱가포르가 도시국가라는 점에서 이나라의 항만 운영과 항만개발 모델을 우리나라에 직접 대입하는데 이견이 있지만 싱가포르항은 한마디로 말해 현대 물류개념이 완벽하게 구현된 글로벌 경영항만의 총아라고 할 수 있다.
싱가포르가 글로벌 공급망 관리시대를 선도하는 제 4세대 첨단항만 이라는데 해운 항만분야 전문가들은 이의를 달지 않는다.
공급만 관리는 기업이 생산 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원하는 장소에 제공하는 것이다. 부품 공급업체와 생산업체 고객에 이르기까지 거래관계에 있는 모든 기업들의 정보통신과 정보공유를 통해 시장과 수요자들의 요구에 기민하게 대응토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충분한 항만 및 터미널 시설은 물론 완벽한 자유무역지대 개념이 도입된 항만 배후물류단지의 확보 경영과 관리를 분리한 글로벌 경영이념의 구현, 탄력적인 항만운영시스템과 인센티브제도의 운영, 해운인력의 양성과 활용의 극대화 등이 싱가포르항의 현재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중 국(상하이)
양산항 개발의 기본 컨셉은 대수심 항만의 건설 동해대교의 건설, 보세물류와 보세항의 건설, 항만도시의 건설등으로 요약된다. 중국은 이같은 새로은 개념의 항만을 신속하게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합심하여 집중 투자하고 지원함으로써 상하이항의 고질적인 항만시설 부족문제를 일시에 해결하고 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 항만을 만들다 보니 앞으로 지형적으로 기술적으로 많은 한계를 드러낼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지만 양산터미널은 한국의 항만개발과 운영정책에 많은 교훈을 주고있다.
구호성 정책이 아닌 실천으로 보여주는 중국의 신속한 항만정책은 매우 인상적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은 지난 2000년 양산항 개발기본구상에 이어 2002년 10월 착공한지 불과 3년여만인 지나해 12월 5개 선석을 개장해 운영에 들어갔다. 또 환적화물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목표 마케팅을 말없이 실천하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4.15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