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의 개념
2. 고전적 조건형
1) Pavlov의 실험
2) 기본개념
3) 교육에 대한 시사점
3. 조작적 조건형성
1) Thorndike Skinner의 연구
2) 기본개념
(1) 강화 (reinforcement)의 유형
(2) 벌 (punishment)
(3) 강화계획 (reinforcement schedules)
(4) 강화의 상대성
(5) 조형 (shaping)
3) 교육에 대한 시사점
(1) 강화와 벌의 효과적 사용을 통한 행동수정
(2) 프로그램 수업(programmed instruction)
4. Bandura의 관찰학습
1) 관찰학습의 과정
2) 교육에 대한 시사점
2. 고전적 조건형
1) Pavlov의 실험
2) 기본개념
3) 교육에 대한 시사점
3. 조작적 조건형성
1) Thorndike Skinner의 연구
2) 기본개념
(1) 강화 (reinforcement)의 유형
(2) 벌 (punishment)
(3) 강화계획 (reinforcement schedules)
(4) 강화의 상대성
(5) 조형 (shaping)
3) 교육에 대한 시사점
(1) 강화와 벌의 효과적 사용을 통한 행동수정
(2) 프로그램 수업(programmed instruction)
4. Bandura의 관찰학습
1) 관찰학습의 과정
2) 교육에 대한 시사점
본문내용
님의 어떤 행위에 대한 어떤 가치관을 학생이 그대로 내면화하는 것이다.
㉢ 모델의 행동, 모델의 정서적 반응, 광범위한 의미 체계, 도덕적 가치 등이 내면화된다.
㉣ 부모의 가치 체계가 자녀의 양심의 기반을 만드는 것으로서, 아동이 부모를 동일시 하여 그 가치관을 내면화한다.(정신분석학)
㉤ Bandura와 허스턴의 연구 : 심지어 불필요한 행동이나 잔인성 따위도 동일시 전형의 모방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③ 무시행학습 전형
㉠ 행동을 예행해 볼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강화가 없음에도 관찰자가 자극, 반응의 연결학습을 하는 현상이다.
㉡ 도구적 반응에 의해 모방하며, 모델 자신이 보상을 받는다.
④ 동시학습 전형
㉠ 관찰자와 모델이 동일한 행동을 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 관찰자의 행동과 똑같은 행동을 모델이 하고 있을 때 행동이 촉진되는 현상이다.
㉢ 청중효과 : 관찰자의 행동과 똑같은 행동을 하지 않거나 전혀 활동하지 않는 사람이 있던 곳에서 반응의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⑤ 고전적 대리조건 형성 전형
㉠ 타인이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것과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관찰을 통해 학습한다.
㉡ 대리 선동
-관찰자가 다른 사람이 무조건 정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목격하고 그에 대해서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슬픈 영화나 연극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이다.
㉢ 감정이입 :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이 모델이 반응과 동일한 경우에 일어난다.
㉣ 동정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과 모델의 반응이 다를 때를 가리킨다.
-관찰자가 모델을 불쌍히 여기는 경우와 같이 관찰자가 자신의 처지를 모델보다 우위에 있다고 느낄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 심리적 선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모방의 형태이다.
2) 교육에 대한 시사점
▶ 관찰학습은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미 학습한 반응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억제 약화시키기도 한다. 교사가 어떤 학생의 바람직한 행동을 칭찬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벌줌으로써, 그 학생뿐만 아니라 그것을 보는 다른 학생들에게도 어떻게 하면 칭찬을 받고, 벌을 받는지를 암시하는 것이다.
▶교사는 수행변인으로서의 강화를 적절히 사용하여 학생들의 기존의 행동 중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는 데도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지속시키고 싶은 바람직한 행동이나 중단시키고 싶은 좋지 못한 행동에 적절히, 그러나 확실한 상과 벌을 사용하면 파급효과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모델의 행동, 모델의 정서적 반응, 광범위한 의미 체계, 도덕적 가치 등이 내면화된다.
㉣ 부모의 가치 체계가 자녀의 양심의 기반을 만드는 것으로서, 아동이 부모를 동일시 하여 그 가치관을 내면화한다.(정신분석학)
㉤ Bandura와 허스턴의 연구 : 심지어 불필요한 행동이나 잔인성 따위도 동일시 전형의 모방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③ 무시행학습 전형
㉠ 행동을 예행해 볼 기회가 없거나 모방에 대한 강화가 없음에도 관찰자가 자극, 반응의 연결학습을 하는 현상이다.
㉡ 도구적 반응에 의해 모방하며, 모델 자신이 보상을 받는다.
④ 동시학습 전형
㉠ 관찰자와 모델이 동일한 행동을 하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 관찰자의 행동과 똑같은 행동을 모델이 하고 있을 때 행동이 촉진되는 현상이다.
㉢ 청중효과 : 관찰자의 행동과 똑같은 행동을 하지 않거나 전혀 활동하지 않는 사람이 있던 곳에서 반응의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⑤ 고전적 대리조건 형성 전형
㉠ 타인이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것과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관찰을 통해 학습한다.
㉡ 대리 선동
-관찰자가 다른 사람이 무조건 정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목격하고 그에 대해서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슬픈 영화나 연극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이다.
㉢ 감정이입 :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이 모델이 반응과 동일한 경우에 일어난다.
㉣ 동정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과 모델의 반응이 다를 때를 가리킨다.
-관찰자가 모델을 불쌍히 여기는 경우와 같이 관찰자가 자신의 처지를 모델보다 우위에 있다고 느낄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 심리적 선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모방의 형태이다.
2) 교육에 대한 시사점
▶ 관찰학습은 새로운 행동을 획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미 학습한 반응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억제 약화시키기도 한다. 교사가 어떤 학생의 바람직한 행동을 칭찬하거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벌줌으로써, 그 학생뿐만 아니라 그것을 보는 다른 학생들에게도 어떻게 하면 칭찬을 받고, 벌을 받는지를 암시하는 것이다.
▶교사는 수행변인으로서의 강화를 적절히 사용하여 학생들의 기존의 행동 중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는 데도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지속시키고 싶은 바람직한 행동이나 중단시키고 싶은 좋지 못한 행동에 적절히, 그러나 확실한 상과 벌을 사용하면 파급효과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학습][행동주의치료]행동주의학습의 원리, 행동주의의 학습관 및 이론적 가정, 행동...
학습의 정의, 학습의 범위,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
[인지주의학습][인지주의학습이론]인지주의학습(인지주의학습이론) 종류,본질, 법칙과 인지주...
[학습][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파블로프][손다이크][행동주의]학습의 정의, 학습의 원리...
[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손다이크][파블로프][행동주의 학습이론 적용 사례]스키너 행동...
[학습이론][행동주의][파블로프 행동주의학습이론][손다이크 행동주의학습이론][행동주의학습...
가설검증학습모형(가설검증수업)의 정의와 특징, 가설검증학습모형(가설검증수업)의 전개, 가...
웹기반수업(웹기반학습,교육, WBI)의 개념과 특징, 웹기반수업(웹기반학습,교육, WBI) 장점, ...
[순환수업모형][순환학습]순환수업(순환학습모형) 의미와 특성, 순환수업(순환학습모형) 제 ...
행동주의학습이론의 고전적조건화이론(파블로프),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
행동주의학습이론의 발전과정과 학습의의, 행동주의학습이론의 기본전제와 교수학습설계원리,...
학습이론을 고전적인 조건화와 조작적인 조건화, 사회학습이론을 설명하고 이에 해당하는 사...
학습이론의 영아발달 : 학습이론 입장에서 영아의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영아를 관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