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목적
3. 대상자
4. 준비물품
5. 방법
7. 추후 간호
6. 흡인 시 부작용
2. 목적
3. 대상자
4. 준비물품
5. 방법
7. 추후 간호
6. 흡인 시 부작용
본문내용
다.
2)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① 흡인 압력을 줄인다.
②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여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한다.
③ 흡인 빈도를 평가한다.
④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응고검사를 한다.
3) 흡인 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
① 다른 비공에 시도해 본다.
② 비인공기도를 삽관한다.
③ 비갑개를 피하고 비공 아래쪽으로 넣어본다.
④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한다.
⑤ 윤활제를 충분히 바른다.
4) 발작적인 기침이 계속될 때
① 산소를 공급한다.
②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 흡인을 한다.
③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④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를 투여한다.
2) 혈액성 분비물이 있을 경우
① 흡인 압력을 줄인다.
② 간헐적으로 흡인하고 카테터를 돌리면서 흡인하여 압력을 적게 받도록 한다.
③ 흡인 빈도를 평가한다.
④ 혈액응고 약물 사용에 대한 평가를 하고 혈액응고검사를 한다.
3) 흡인 카테터가 비공을 통과하지 못하였을 경우
① 다른 비공에 시도해 본다.
② 비인공기도를 삽관한다.
③ 비갑개를 피하고 비공 아래쪽으로 넣어본다.
④ 점액에 의해 폐쇄되었다면 흡인을 시도한다.
⑤ 윤활제를 충분히 바른다.
4) 발작적인 기침이 계속될 때
① 산소를 공급한다.
②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기침이 멈추고 난 다음 흡인을 한다.
③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다.
④ 전문의에 의해 처방된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마취제를 투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