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경계 환자의 의식 사정법(GCS)에 대해 조사하시요.
2. 무의식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 쓰시요.
3. 두개내 수술의 종류, 목적 등에 대해 조사하시요.
4. PRE-OP, POST-OP의 간호문제와 중재에 대해 조사하시요.
5. ICP상승의 원인과 증상, 그에 따른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요.
6. 병동(NS,CS)에서 시행하고 있는 특수 검사와 목적, 준비사항, 방법, 간호에 대해 조사하시요.
7. 척추수술환자의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요.
8. Suction에 대해 조사하시요.
9. Open heart surgery 시행한 환자의 간호에 대해 조사하시요.
10. chest tube의 원리와 목적, 방법, 주의점, 합병증, 관리에 대해 설명하시요.
11. 병동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어, 의학용어를 정리하고 실습 후 소감을 써서 함께 제출해주세요.
2. 무의식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해 쓰시요.
3. 두개내 수술의 종류, 목적 등에 대해 조사하시요.
4. PRE-OP, POST-OP의 간호문제와 중재에 대해 조사하시요.
5. ICP상승의 원인과 증상, 그에 따른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요.
6. 병동(NS,CS)에서 시행하고 있는 특수 검사와 목적, 준비사항, 방법, 간호에 대해 조사하시요.
7. 척추수술환자의 간호방법에 대해 조사하시요.
8. Suction에 대해 조사하시요.
9. Open heart surgery 시행한 환자의 간호에 대해 조사하시요.
10. chest tube의 원리와 목적, 방법, 주의점, 합병증, 관리에 대해 설명하시요.
11. 병동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어, 의학용어를 정리하고 실습 후 소감을 써서 함께 제출해주세요.
본문내용
정해서 기록한다.
·24시간은 지시에 따른 자세로 쉰다.
·검사 후 배뇨를 관찰한다.
·이상이 없으면 식사를 권한다. 식사한 후 오심, 구토가 없는지 주의한다.
·수술 후의 부작용으로서 통증, 발열 등의 수막 자각 증상, 건반사 항진, 근육의 경련, 다리가 땡기는 등의 척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안정하게 되는 것으로 증상이 경감되는 경우가 많다.
cf) *X-선 검사를 하는 환자의 일반적 주의사항
·X-선 검사 전에 검사의 필요성과 부위에 대해서 설명을 해둘 것
·여성 환자로 임신 중인 사람 및 임신의 가능성이 잇는 사람(하복부나 골반이 포함되는 검사를 하는 사람으로 월경 종료 후 10일 이상 지난 경우)에게는 미리 주치의에게 알릴 것
·신체에 붙어 있는 떼어낼 수 있는 물건은 떼어내고 검사하러 갈 것(악세서리, 안전핀 등).
그 밖에 신체에 붙어 잇는 금속성 약물(아연화 올리브유 등)은 닦아낸다.
·간호사가 동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방사선과 직원에게 환자의 상태를 확실히 전해 둘 것 (특히 운동 장애의 유무와 정도, 통증의 유무, 조영제의 과민성 테스트 결과)
·프라이버시의 보호에 주의할 것
*조영제의 과민성 테스트에 대해서
척추 조영을 할 때 요오드제의 약물이 사용된다. 요오드제의 과민 반응은 때로는 매우 심한 증상을 보이고, 생명의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전에 반드시 과민성 테스트를 시행한다.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
a. 피하 시험
전완부의 피하에 요오드 조영제 0.1ml를 주사하고, 반대측 전완의 피하에 생리식염수 0.1ml 주사(대조액) 10분 후에 발적, 종창의 유무를 조사한다. 직경 10mm 이상의 종창, 홍진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정한다.
b. 정맥 주사 시험
테스트용 조영제 1ml를 천천히 정맥에 주사하고, 20분간 환자의 반응을 관찰
요오드 양성 반응→ 가벼운 증상의 경우: 전신의 발열, 심장 두근거림, 안면 홍조, 피부
발적, 머리가 무거움, 메스꺼움, 구토, 눈물 흘림, 발진
→ 무거운 증상의 경우: 돌발적 허탈 상태, 호흡곤란, 맥박 감소, 청색증,
혈뇨, 무뇨, 경련 등
요오드 양성 반응의 대책
·조영제 주사 중지
·강심제, 항히스타민제의 주사
·정맥 확보
·산소 흡입
·스테로이드 호르몬 사용
·진정제의 투여
·차아 황산 나트륨 및 설파닌산의 복용
·단백질 또는 전분(메리켄 가루, 녹말 15g)을 250ml의 물과 함께 마신 후에 염류 설사약을 투여하여 배설→소화관 내의 요오드를 배설시키기 위함
요오드 조영제 과민 반응의 예방 대책
·알레르기나 천식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에서 음성이더라도 예방제로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강심제 등을 준비해 둔다.
·신경질적인 사람, 불안감이 심한 사람에게는 진정제를 투여한다.
·약제는 차광된 곳에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체온 정도로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2. 척추간판조영(Discography)
X-선 투시로 확인하면서 요부 혹은 경부에서 천자침을 원하는 척추간판 내에 삽입한 다음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척추간판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척추간판의 퇴행성 변화 및 탈출 상태 등을 검사하는데 도움을 주나 실제로 척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화학적 수액용해술(chemonucleolysis)을 시행하기 직전에 척추간판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1) 검사의 개요
추간판의 수핵 내에 가느다란 바늘을 삽입해서 조영제를 주입하고, 조영상에 따라 추간판의 편성이나 수핵 탈출 등의 변화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입시의 압력이나 통증이 발산하는 방향에 따라 질병이 변화하는 부위를 추정한다.
·경추 추간판 조영법- 경부 전면부터 천자해서 조영제를 주입한다.
·요추 추간판 조영법- 요부 후면부터 천자해서 조영제를 주입한다.
수핵의 병변이 있으면 주입량이 많아지고, 항상 통증이 있는 부위에 같은 통증이 재현한다.
2) 간호상의 요점
·검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시행한다.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가 음성인지를 확인한다.
·무균적 조작을 한다.
·검사 후 24시간은 안정하게 하고, 관찰을 충분히 한다.
3) 검사 전날까지의 준비
·척수 조영법과 같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미리 약물을 투여한다.
0.1% 황산아트로핀 (타액 분비 억제)
포비돈 10mg, 소세곤 30mg, 아트락스 P 50mg 등(진통, 정신 안정을 위해)
4) 준비물
·경추 추간판 조영 세트(소독제), 경추 추간판 천자 바늘 3개, 유구 쪽집게, 소방프, 거즈
·주사기(1mL 로크형 3개, 5mL, 2mL 각 1개), 주사기(22, 23G 2개), 카테터 바늘 3개
·스킨 트레이
·국소 마취제(0.5~1% 염산 프로카인 혹은 키시로카인), 조영제
·멸균 장갑·마스크 각 2개
·반창고, pus pan
·고무시트와 처리용 시트
·혈압계, 청진기, 고급 카트(포리돈 10mg을 반드시 준비한다.)
5) 간호의 순서
·환자를 투시대에 올려놓고 쉬게 하며, 긴장을 완화하게 하여 움직인다.
·천자 부위의 아래에 고무 시트와 처지용 시트를 깐다.
·조영 주입하기 위해 천자에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경추 추간판 조영법→누운 자세에서 어깨에 베개를 넣고, 목부분을 가볍게 펴게 한다. 얼 굴은 의사와 반대측으로 향한다. 무릎을 가볍게 구부려서 전체의 긴장을 풀도록 조언한다.
요추 추간판 조영법→요추 천자에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천자 부위 소독의 간호
천자 부위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시행한다.
·손을 씻은 의사가 멸균 장갑을 끼게 한다.
·트레이를 열고 국소 마취의 간호를 한다(마취제의 종류와 양의 확인).
·천자의 간호
요추 추간판 조영법의 준비
·환자의 눈을 감게 머리를 지지한다.
·질병의 변화 예상 부위의 추간판과 그 상하에 시행될 때는 3군데에는 천자를 하지 않는다.
·투시 하에 천자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영제를 주입시킨다.
·천자 바늘을 제거되면 부위의 소독을 하고, 멸균 가재를 얹어 압박 붕대로 고정한다.
·전후, 양측의 2방향의 촬영, 경사면 기능 촬영이 시행된다.
·검사가 종료되면 협조를 얻어 stretcher cart로 안전하게 수평으로
·24시간은 지시에 따른 자세로 쉰다.
·검사 후 배뇨를 관찰한다.
·이상이 없으면 식사를 권한다. 식사한 후 오심, 구토가 없는지 주의한다.
·수술 후의 부작용으로서 통증, 발열 등의 수막 자각 증상, 건반사 항진, 근육의 경련, 다리가 땡기는 등의 척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안정하게 되는 것으로 증상이 경감되는 경우가 많다.
cf) *X-선 검사를 하는 환자의 일반적 주의사항
·X-선 검사 전에 검사의 필요성과 부위에 대해서 설명을 해둘 것
·여성 환자로 임신 중인 사람 및 임신의 가능성이 잇는 사람(하복부나 골반이 포함되는 검사를 하는 사람으로 월경 종료 후 10일 이상 지난 경우)에게는 미리 주치의에게 알릴 것
·신체에 붙어 있는 떼어낼 수 있는 물건은 떼어내고 검사하러 갈 것(악세서리, 안전핀 등).
그 밖에 신체에 붙어 잇는 금속성 약물(아연화 올리브유 등)은 닦아낸다.
·간호사가 동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방사선과 직원에게 환자의 상태를 확실히 전해 둘 것 (특히 운동 장애의 유무와 정도, 통증의 유무, 조영제의 과민성 테스트 결과)
·프라이버시의 보호에 주의할 것
*조영제의 과민성 테스트에 대해서
척추 조영을 할 때 요오드제의 약물이 사용된다. 요오드제의 과민 반응은 때로는 매우 심한 증상을 보이고, 생명의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전에 반드시 과민성 테스트를 시행한다.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
a. 피하 시험
전완부의 피하에 요오드 조영제 0.1ml를 주사하고, 반대측 전완의 피하에 생리식염수 0.1ml 주사(대조액) 10분 후에 발적, 종창의 유무를 조사한다. 직경 10mm 이상의 종창, 홍진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판정한다.
b. 정맥 주사 시험
테스트용 조영제 1ml를 천천히 정맥에 주사하고, 20분간 환자의 반응을 관찰
요오드 양성 반응→ 가벼운 증상의 경우: 전신의 발열, 심장 두근거림, 안면 홍조, 피부
발적, 머리가 무거움, 메스꺼움, 구토, 눈물 흘림, 발진
→ 무거운 증상의 경우: 돌발적 허탈 상태, 호흡곤란, 맥박 감소, 청색증,
혈뇨, 무뇨, 경련 등
요오드 양성 반응의 대책
·조영제 주사 중지
·강심제, 항히스타민제의 주사
·정맥 확보
·산소 흡입
·스테로이드 호르몬 사용
·진정제의 투여
·차아 황산 나트륨 및 설파닌산의 복용
·단백질 또는 전분(메리켄 가루, 녹말 15g)을 250ml의 물과 함께 마신 후에 염류 설사약을 투여하여 배설→소화관 내의 요오드를 배설시키기 위함
요오드 조영제 과민 반응의 예방 대책
·알레르기나 천식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에서 음성이더라도 예방제로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강심제 등을 준비해 둔다.
·신경질적인 사람, 불안감이 심한 사람에게는 진정제를 투여한다.
·약제는 차광된 곳에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체온 정도로 따뜻하게 하여 사용한다.
2. 척추간판조영(Discography)
X-선 투시로 확인하면서 요부 혹은 경부에서 천자침을 원하는 척추간판 내에 삽입한 다음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척추간판의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척추간판의 퇴행성 변화 및 탈출 상태 등을 검사하는데 도움을 주나 실제로 척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화학적 수액용해술(chemonucleolysis)을 시행하기 직전에 척추간판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1) 검사의 개요
추간판의 수핵 내에 가느다란 바늘을 삽입해서 조영제를 주입하고, 조영상에 따라 추간판의 편성이나 수핵 탈출 등의 변화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입시의 압력이나 통증이 발산하는 방향에 따라 질병이 변화하는 부위를 추정한다.
·경추 추간판 조영법- 경부 전면부터 천자해서 조영제를 주입한다.
·요추 추간판 조영법- 요부 후면부터 천자해서 조영제를 주입한다.
수핵의 병변이 있으면 주입량이 많아지고, 항상 통증이 있는 부위에 같은 통증이 재현한다.
2) 간호상의 요점
·검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시행한다.
·요오드 과민성 테스트가 음성인지를 확인한다.
·무균적 조작을 한다.
·검사 후 24시간은 안정하게 하고, 관찰을 충분히 한다.
3) 검사 전날까지의 준비
·척수 조영법과 같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미리 약물을 투여한다.
0.1% 황산아트로핀 (타액 분비 억제)
포비돈 10mg, 소세곤 30mg, 아트락스 P 50mg 등(진통, 정신 안정을 위해)
4) 준비물
·경추 추간판 조영 세트(소독제), 경추 추간판 천자 바늘 3개, 유구 쪽집게, 소방프, 거즈
·주사기(1mL 로크형 3개, 5mL, 2mL 각 1개), 주사기(22, 23G 2개), 카테터 바늘 3개
·스킨 트레이
·국소 마취제(0.5~1% 염산 프로카인 혹은 키시로카인), 조영제
·멸균 장갑·마스크 각 2개
·반창고, pus pan
·고무시트와 처리용 시트
·혈압계, 청진기, 고급 카트(포리돈 10mg을 반드시 준비한다.)
5) 간호의 순서
·환자를 투시대에 올려놓고 쉬게 하며, 긴장을 완화하게 하여 움직인다.
·천자 부위의 아래에 고무 시트와 처지용 시트를 깐다.
·조영 주입하기 위해 천자에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경추 추간판 조영법→누운 자세에서 어깨에 베개를 넣고, 목부분을 가볍게 펴게 한다. 얼 굴은 의사와 반대측으로 향한다. 무릎을 가볍게 구부려서 전체의 긴장을 풀도록 조언한다.
요추 추간판 조영법→요추 천자에 적당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천자 부위 소독의 간호
천자 부위를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시행한다.
·손을 씻은 의사가 멸균 장갑을 끼게 한다.
·트레이를 열고 국소 마취의 간호를 한다(마취제의 종류와 양의 확인).
·천자의 간호
요추 추간판 조영법의 준비
·환자의 눈을 감게 머리를 지지한다.
·질병의 변화 예상 부위의 추간판과 그 상하에 시행될 때는 3군데에는 천자를 하지 않는다.
·투시 하에 천자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영제를 주입시킨다.
·천자 바늘을 제거되면 부위의 소독을 하고, 멸균 가재를 얹어 압박 붕대로 고정한다.
·전후, 양측의 2방향의 촬영, 경사면 기능 촬영이 시행된다.
·검사가 종료되면 협조를 얻어 stretcher cart로 안전하게 수평으로
키워드
추천자료
[간경화증]간경화증(Liver Cirrhosis) 심층 고찰(간경화의 정의, 간경화의 형태 및 원인, 간...
성인 루푸스 - 루프스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간호중재
담낭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간호과정
[간호학]간염의 원인과 증상
지주막하출혈(SAH) (NS case study)
담석(담석증)의 성분, 담석(담석증)의 원인, 담석(담석증)의 증상, 담석(담석증)의 합병증, ...
협심증(angina pectoris)의 원인과 분류 증상과 징후 및 치료와 간호중재
신경성 식욕부진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부작용, 진단방법 및 증상과 간호과정과 교육방법
크론질환의 병태생리 및 원인과 부작용, 진단방법 및 증상과 간호과정과 교육방법
항문직장의 질환 및 상태, 원인, 증상, 관리 및 간호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간호과정 01 - 알 수 없는 원인과 관련된 고온증, 수술로 인한 수술부위 통증과 관련된 안위...
신경계 병동 사전학습 - 용어 및 약어, 학습 내용, 주요질환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LDL, VLDL, HDL), 가...
[뇌졸중] 뇌졸중의 유형(종류)과 원인 및 증상, 뇌졸중 예방 및 치료방법(뇌졸중의 영양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