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LDL, VLDL, HDL), 가족성 고지혈증의 분류, 고지혈증 환자의 식사관리(식이요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지혈증]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LDL, VLDL, HDL), 가족성 고지혈증의 분류, 고지혈증 환자의 식사관리(식이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고지혈증

I. 고지혈증의 정의

II.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
1. 킬로미크론
2. 초저비중 저단백(VLDL)
3. 저비중 지단백(LDL)
4. 고비중 지단백(HDL)

III. 가족성 고지혈증의 분류
1. I형(고킬로미크론혈증)
2. IIa형(고LDL혈증)
3. IIb형(고LDL, VLDL혈증)
4. III형(고IDL혈증)
5. IV형(고VLDL혈증)
6. V형(고chylomicron혈증)

IV.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1. 원인
2. 증상 및 합병증

V. 고지혈증의 실제 식사관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지방혈증을 나타딘다. 성인에 많고 2차적으로 당뇨병, 신장질환, 췌장염, 알코올 중독 등을 수반한다. 고지방 및 고당질식이 외적 요인이다. 에너지, 지방, 알코올을 제한한다.
IV. 고지혈증의 원인과 증상
1) 원인
고지혈증은 원인에 따라 가족성 (1차성, 원발성)과 속발성 (2차성)으로 분류한다. 가족성인 경우 유전적 요인으로 LPL 효소의 선천적 결핍이나 부족, LDL 수용체의 결핍, 간과 소장에서 합성증가, 간이나 말초조직으로의 유입저하 등이 있다.
속발성은 후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각종 질병 (갑상선 기능저하증, 당뇨병, 비만, 신부전, 간질환, 췌장염, 뇨독증, 면역이상 등)이나 약물(경구피임약, 부신피질 호르몬제, 일부 항고혈압제와 이뇨제) 등에 의해서 발병한다. 또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과다 섭취, 알코올 등 식사성 요인이 있다.
2) 증상 및 합병증
결절성 황색종이 특징적인 소견으로 눈 주위나 팔꿈치, 손등, 무릎, 아킬레스건 등에 황색종이나 때때로 관절부위에 딱딱한 결절상의 종양을 일으킨다. 2차성이나 식이성 고지혈증은 대개 자각종상이 없지만 고지혈증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되면 동맥경화, 심근경색, 신경화, 간질환, 담석증, 비만 등을 일으킨다.
V. 고지혈증의 실제 식사관리
(1)소고기, 돼지고기 등은 힘줄과 기름을 제거하고 살코기만 사용한다.
(2)가공육류(베이컨, 소시지, 햄, 핫도그 등)는 지방 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주의한다.
(3)닭고기는 껍질과 지방부위를 제거한 후 사용한다. 조리시 튀김을 피하고 기름이 많은 양념은 하지 않는다.
(4)생선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으나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적으므로 자주 섭취한다.
(5)조개 및 갑각류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 새우나 가재 등은 콜레스테롤은 많지만 포화지방산이 적으므로 가끔 사용해도 좋다.
(6)우유와 유제품은 가능하면 저지방이나 탈지우유를 사용한다. 고형 요구르트도 탈지유나 저지방유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7)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물성 기름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이라도 코코딘 기름과 팜유는 포화지방산이 많으므로 주의한다.
(8)달걀은 콜레스테롤이 많으므로 피하고 흰자는 사용해도 무방하다.
(9)과일과 채소에는 비타민, 섬유소, 무기질 등이 풍부하므로 충분히 사용한다. 단, 혈중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 과일의 지나친 섭취는 주의한다.
(10)밥, 합, 감자, 고구마 등의 곡류와 콩 등에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으므로 제한할 필요는 없지만 지나친 섭취는 주의한다. 섬유소는 혈중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도정이 덜 된 곡류나 콩 등의 섭취를 권한다.
(11)땅콩, 호두, 잣 등의 견과류는 불포화지방은 많으나 동시에 지방 및 에너지가 많으므로 섭취시 주의한다.
(12)사탕 및 초콜릿에는 단순당질 및 지방량이 많으므로 제한한다.
(13)점, 구이, 조림 등 되도록 기름을 적게 쓰는 조리법을 택한다.
(14)음식을 되도록 싱겁게 조리하고, 소금이 많이 들어간 젓갈, 장아찌, 가공식품, 베이킹파우더, 화학조미료 등의 사용을 삼간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6.07.17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