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키는 리스크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 - 신용편중리스크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에 의하여 발생되며 은행이 직면
한 특히 중요한 리스크로 판단되므로 충분한 내부자본 적립이 요구됨
□ 신용편중리스크의 의의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자본, 총자산 또는 전반적인 리스크수준과 비교하여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를 보유함으로써 발생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Ⅱ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
신용경감기법 사용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법률리스크, 문서리스크, 유동성리스크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해야 함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의 유형
법률리스크 : 보증인의 보증책임 이행 거절 또는 지연
문서리스크 : 인증받지 않은 문서화 또는 문서상 오류
유동성리스크 : 거래상대방 부도시 저당된 담보물을 적시에 보유처분하지 못함
□ 은행이 신용경감 잔여리스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리스크관리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고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 관리원칙
은행은 잔여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한 신용위험경감정책 및 절차를 문서화하고, 이를 감독원장에 보고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적정성과 유효성 등을 점검하여야 함
은행은 소요자기자본 산출시 신용리스크 경감효과 반영수준이 적절한가를 검토하여야 하며, 신용경감정책 및 절
차가 인식된 자기자본 경감효과에 비추어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Ⅲ - 자산유동화 잔여리스크
은행이 자산유동화 활동에 따른 경제적 자본이 불충분하게 적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Ⅳ - 운영리스크 잔여리스크
기초지표법이나 표준방법 사용 은행 중 특정 영업영역의 지속적인 적자 발생으로 소요자본이 낮게 산출되는 은행은 동
류 그룹의 수준을 감안하여 추가 내부자본을 적립하여야 함
감독당국의 점검
감독원장은 은행의 내부 자본적정성평가 및 관리체제에 대해 점검하고, 은행에 대해 최저 규제자기자본비율(8%)를 초과한 자기자본을 보유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조기 개입을 통해서 은행의 자기자본이 은행의 리스크 특성이 반영된 최저수준 이하로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 - 신용편중리스크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에 의하여 발생되며 은행이 직면
한 특히 중요한 리스크로 판단되므로 충분한 내부자본 적립이 요구됨
□ 신용편중리스크의 의의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자본, 총자산 또는 전반적인 리스크수준과 비교하여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를 보유함으로써 발생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Ⅱ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
신용경감기법 사용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법률리스크, 문서리스크, 유동성리스크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해야 함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의 유형
법률리스크 : 보증인의 보증책임 이행 거절 또는 지연
문서리스크 : 인증받지 않은 문서화 또는 문서상 오류
유동성리스크 : 거래상대방 부도시 저당된 담보물을 적시에 보유처분하지 못함
□ 은행이 신용경감 잔여리스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리스크관리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고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 관리원칙
은행은 잔여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한 신용위험경감정책 및 절차를 문서화하고, 이를 감독원장에 보고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적정성과 유효성 등을 점검하여야 함
은행은 소요자기자본 산출시 신용리스크 경감효과 반영수준이 적절한가를 검토하여야 하며, 신용경감정책 및 절
차가 인식된 자기자본 경감효과에 비추어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Ⅲ - 자산유동화 잔여리스크
은행이 자산유동화 활동에 따른 경제적 자본이 불충분하게 적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Ⅳ - 운영리스크 잔여리스크
기초지표법이나 표준방법 사용 은행 중 특정 영업영역의 지속적인 적자 발생으로 소요자본이 낮게 산출되는 은행은 동
류 그룹의 수준을 감안하여 추가 내부자본을 적립하여야 함
감독당국의 점검
감독원장은 은행의 내부 자본적정성평가 및 관리체제에 대해 점검하고, 은행에 대해 최저 규제자기자본비율(8%)를 초과한 자기자본을 보유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조기 개입을 통해서 은행의 자기자본이 은행의 리스크 특성이 반영된 최저수준 이하로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추천자료
재무관리 리포트
물리학과 실험
GPS 및 DGPS의 오차
특수교육의 보조공학
신BIS(자기자본규제)
교육심리학 요약
[BIS자기자본비율규제]BIS자기자본비율규제의 개편동향, BIS자기자본비율규제의 핵심사항, BI...
지하 생태주차장 조성 및 태양광 발전 활용 제안
Barring 사의 파산으로 보는
BIS(신바젤협약,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규제 발전과정, 목표, BIS(신바젤협약, 국제결제...
신바젤협약(국제결제은행, BIS) 자기자본비율규제의 배경, 주요내용, 신바젤협약(국제결제은...
신바젤협약(BIS,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규제의 핵심사항, 적용범위, 신바젤협약(BIS, 국...
BIS(국제결제은행, 신바젤협약) 자기자본비율규제의 의의, 목적, BIS(국제결제은행, 신바젤협...
국제결제은행(BIS, 신바젤협약) 자기자본비율규제의 역사, 필요성, 국제결제은행(BIS, 신바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