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리스크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키는 리스크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 - 신용편중리스크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에 의하여 발생되며 은행이 직면
한 특히 중요한 리스크로 판단되므로 충분한 내부자본 적립이 요구됨
□ 신용편중리스크의 의의
신용편중리스크는 은행의 자본, 총자산 또는 전반적인 리스크수준과 비교하여 은행의 건전성을 저해할 정도로 큰 손실을 내재한 단일 또는 그룹 익스포져를 보유함으로써 발생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Ⅱ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
신용경감기법 사용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법률리스크, 문서리스크, 유동성리스크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해야 함
□ 신용경감 잔여리스크의 유형
법률리스크 : 보증인의 보증책임 이행 거절 또는 지연
문서리스크 : 인증받지 않은 문서화 또는 문서상 오류
유동성리스크 : 거래상대방 부도시 저당된 담보물을 적시에 보유처분하지 못함
□ 은행이 신용경감 잔여리스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리스크관리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고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 관리원칙
은행은 잔여리스크를 통제하기 위한 신용위험경감정책 및 절차를 문서화하고, 이를 감독원장에 보고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적정성과 유효성 등을 점검하여야 함
은행은 소요자기자본 산출시 신용리스크 경감효과 반영수준이 적절한가를 검토하여야 하며, 신용경감정책 및 절
차가 인식된 자기자본 경감효과에 비추어 적절하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 리스크Ⅲ - 자산유동화 잔여리스크
은행이 자산유동화 활동에 따른 경제적 자본이 불충분하게 적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 리스크 노출 수준 및
리스크 관리수준을 감안하여 자본적정성을 평가하여야 함
Pillar1 관련 잔여리스크Ⅳ - 운영리스크 잔여리스크
기초지표법이나 표준방법 사용 은행 중 특정 영업영역의 지속적인 적자 발생으로 소요자본이 낮게 산출되는 은행은 동
류 그룹의 수준을 감안하여 추가 내부자본을 적립하여야 함
감독당국의 점검
감독원장은 은행의 내부 자본적정성평가 및 관리체제에 대해 점검하고, 은행에 대해 최저 규제자기자본비율(8%)를 초과한 자기자본을 보유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조기 개입을 통해서 은행의 자기자본이 은행의 리스크 특성이 반영된 최저수준 이하로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4.1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1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