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독일 방송의 역사
II. 독일 방송의 체제
III. 독일 방송의 특징
IV. 기타 독일 방송 프로그램
V. 독일방송매체의 소비현황
VI. 독일 광고
II. 독일 방송의 체제
III. 독일 방송의 특징
IV. 기타 독일 방송 프로그램
V. 독일방송매체의 소비현황
VI. 독일 광고
본문내용
보수적, 여성들이 광고의 주 타겟.
(4) 1960년대 광고
- 1962년 독일수상의 결정에 의해 TV 광고시간을 평일엔 20시 이전까지 20분으로 결정.
- 1963년 4월 ZDF의 방송과 더불어 광고가 두배.
- 1967년 Color TV의 도입이 되면서 TV광고의 새로운 장이 열림.
※50~60년대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시 광고는 창의성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붐을 일으킴.
(5) 1980년대 광고
- 1983년 민영 방송국 RTL 방송국의 시작으로 티비광고가 비약적 발전.
1984년 RTL과 SAT1가 방송되었을 때 광고자의 위치의 변화 - 방송사 선택 가능.
(그때까지는 하나의 공식적인 TV의 방송자리를 놓고 경쟁했지만 그들은 이제 어디에 그들의 광고를 내보낼지 자유롭게 결정 가능.)
(6) 2000년대 이후
- 2006년에 기업들은 약 4 억만 유로를 TV광고에 투자했고, 4.5 억 유로를 신문광고에 투자함. 독일에서 해마다 약 총 30억 유로가 광고에 쓰이는데 이는 총 국내 생산소득의 1%임.
7. 독일광고의 특징
1) 합리적이고 이성적임
- 유머광고가 적다
- 기능위주의 설명 (권위자, 전문가, 경험자의 증언)
- 스타보다는 일반인 모델 사용
- USP를 사용해 제품의 핵심강조
2) 현 시대의 인구 경향을 반영
- 동성커플인정 (2001년부터 정식으로 인정)
: 호모들을 위한 남자용 폰섹스 광고도 있음
- 독신자가 많아서 그들을 위한 애완용광고, 독신자 광고 많음
(전제 독일인구의 36.2%를 차지) : 핸드폰광고, 중매회사, 가공음식
3) 기타특성
- 성에 대해 개방적 : 섹스어필광고(밤12시부터 아침까지 스트립쇼광고)
- 옥외광고 발달
(사전 심의규정이 없고 독일광고 연합회(GWA)의 자율심의 규정에 위배되는 광고제한할 수 있는 요소는 존재, 소비자 단체의 압력, 방송국의 방송거부, 경쟁자의 이의제기)
8. 독일 광고의 현황 Nielsen Media Research
-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TV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독일전역에 걸쳐 65개이상의 독일어 TV채널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의 채널이 광고 수주를 통해 운영됨
- 이외에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 다양한 지역,지방채널이 운영되는데 그 수가 무려 260개에 이름. 따라서 광고를 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거의 모든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 지방 채널을 통해 광고할 수 있다.
(단위: 억 유로)
< 2006년 매채별 광고비 현황 >
9. 참고문헌
박노성,오창우외 다수(2004) 『독일광고산업의 이해』, 한국방송광고공사, 서울
pp88~91, pp185~189, pp213~214
강성곤(2006) 『독일방송-아나운서와 진행자들』MJ미디어, 서울, pp78~108
한국방송학회(1992),『세계 방송의 역사』, 나남출판사, 서울
이유선(2002), 『독일문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언론재단(2007), 『독일 매체이용 실태와 만족도』, 서울
“http://www.medienstudent.de/studi/tvgesch.htm”외 다수
(4) 1960년대 광고
- 1962년 독일수상의 결정에 의해 TV 광고시간을 평일엔 20시 이전까지 20분으로 결정.
- 1963년 4월 ZDF의 방송과 더불어 광고가 두배.
- 1967년 Color TV의 도입이 되면서 TV광고의 새로운 장이 열림.
※50~60년대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시 광고는 창의성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붐을 일으킴.
(5) 1980년대 광고
- 1983년 민영 방송국 RTL 방송국의 시작으로 티비광고가 비약적 발전.
1984년 RTL과 SAT1가 방송되었을 때 광고자의 위치의 변화 - 방송사 선택 가능.
(그때까지는 하나의 공식적인 TV의 방송자리를 놓고 경쟁했지만 그들은 이제 어디에 그들의 광고를 내보낼지 자유롭게 결정 가능.)
(6) 2000년대 이후
- 2006년에 기업들은 약 4 억만 유로를 TV광고에 투자했고, 4.5 억 유로를 신문광고에 투자함. 독일에서 해마다 약 총 30억 유로가 광고에 쓰이는데 이는 총 국내 생산소득의 1%임.
7. 독일광고의 특징
1) 합리적이고 이성적임
- 유머광고가 적다
- 기능위주의 설명 (권위자, 전문가, 경험자의 증언)
- 스타보다는 일반인 모델 사용
- USP를 사용해 제품의 핵심강조
2) 현 시대의 인구 경향을 반영
- 동성커플인정 (2001년부터 정식으로 인정)
: 호모들을 위한 남자용 폰섹스 광고도 있음
- 독신자가 많아서 그들을 위한 애완용광고, 독신자 광고 많음
(전제 독일인구의 36.2%를 차지) : 핸드폰광고, 중매회사, 가공음식
3) 기타특성
- 성에 대해 개방적 : 섹스어필광고(밤12시부터 아침까지 스트립쇼광고)
- 옥외광고 발달
(사전 심의규정이 없고 독일광고 연합회(GWA)의 자율심의 규정에 위배되는 광고제한할 수 있는 요소는 존재, 소비자 단체의 압력, 방송국의 방송거부, 경쟁자의 이의제기)
8. 독일 광고의 현황 Nielsen Media Research
-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TV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독일전역에 걸쳐 65개이상의 독일어 TV채널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의 채널이 광고 수주를 통해 운영됨
- 이외에도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 다양한 지역,지방채널이 운영되는데 그 수가 무려 260개에 이름. 따라서 광고를 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거의 모든지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지역, 지방 채널을 통해 광고할 수 있다.
(단위: 억 유로)
< 2006년 매채별 광고비 현황 >
9. 참고문헌
박노성,오창우외 다수(2004) 『독일광고산업의 이해』, 한국방송광고공사, 서울
pp88~91, pp185~189, pp213~214
강성곤(2006) 『독일방송-아나운서와 진행자들』MJ미디어, 서울, pp78~108
한국방송학회(1992),『세계 방송의 역사』, 나남출판사, 서울
이유선(2002), 『독일문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서울
한국언론재단(2007), 『독일 매체이용 실태와 만족도』, 서울
“http://www.medienstudent.de/studi/tvgesch.htm”외 다수
추천자료
세계 라디오의 역사
유럽국가 외주정책의 성공요인과 우리나라의 외주정책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광범위 융합망 서비스[VOD, IP-TV]의 정책방향
새로운 매체, 텔레비전에대해
DMB에 관한 연구
라디오의 과거와 미래
한국 영상 컨텐츠의 국제 경쟁력
휴맥스의 경영전략과 어제와 오늘
영상, 영상데이터, 영상컨텐츠, 영상매체, 영상산업, 영상문화교육 심층 분석
미디어관련법 개정 반대의견 정리
퍼블릭액세스(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개념과 발전과정, 퍼블릭액세스(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
미디어법의 현황과 방향
[시청자권익, 시청자권익 보호제도, 시청자권익 법조항, 시청자권익 국가별 사례, 시청자권익...
INVENTUR 귄터 아이히 [G&uuml;nther Eich]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