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동기
2. 나도향의 생애
3. 시대적 배경(백조를 중심으로)
4. 나도향의 작품세계
5. 소설사적 위치 그리고 전망
6. 작품목록 및 참고문헌
2. 나도향의 생애
3. 시대적 배경(백조를 중심으로)
4. 나도향의 작품세계
5. 소설사적 위치 그리고 전망
6. 작품목록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탄광에 갔다가 이웃에서 온 매소부 이화에 매혹되어 친구의 돈을 훔쳐 이화를 찾아갔다가 죄수가 되는 지형근의 인간적인 타락을 그리고 있다. 「꿈」에서는 주인공 소년과 임실이 무의식적으로 숨겨진 내적 사랑을 느끼지만 소년이 주종관계의 신분 계층을 내세워 임실의 사랑을 거부하자 임실은 자기의 혼처를 마다하고 연모의 정으로 끝내 죽고 만다.
후기작품의 내용 면의 변화나 인물의 객관적인 묘사 등은 사실 작가의 시점이 변화한데서 찾을 수 있다. 전기의 작품에선 거의 작가와 유사한 주인공의 내면에만 관심이 있었던 도향의 시점이 삼인칭으로 바뀐 것 이외에도 여러 인물들의 묘사에 고루 관심을 확산 시켰다는 것은 새로운 양상이다.
5. 소설사적 위치 그리고 전망
앞에서 도향의 후기작품들이 도향을 소설사에 남기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후기의 작품들을 주로 해서 소설사적 의의를 말해 보고자 한다. 도향의 작품들의 소설사적의의는 첫째, 사실주의적 기법을 바탕으로 인물들의 성격창조와 이의 객관적인 묘사를 들 수 있다. 둘째, 내용에 있어 애정의 갈등과 좌절을 중시한 점을 들 수 있다. 셋째, 낭만적 미의식의 표출을 들 수 있다.
도향이 그의 후기작품에서 다양한 인물 유형을 창조해 내고 있는 것은 이미 본 바와 같다. 따라서 도향문학의 본질에 대한 해명의 실마리를 그의 인물의 성격 창조의 우수성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 이도 있다.
내용 면에 있어서는 경제적 빈곤과 그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현실의 문제를 표현하면서 특히 남녀의 애정관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나간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같은 1920년대 작가의 경우 현진건이 현실과 사회의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 비판하려 했고 최서해가 식민지 민중들의 빈곤의 문제를 날카롭게 파헤쳐 보이고 있는 점과 비교되어, 도향이 현실과 역사의 의미를 포착하려는 노력 대신에 인간 내면의 문제에 안주해 버렸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애정문제는 확실히 1920년대 애정의 풍속을 가장 날카롭게 파헤치는데 공헌하였다.
마지막으로 낭만적 미의식에 대해 보자면 도향 특유의 낭만정신은 초기의 얄팍했던 낭만으로부터 좀 더 깊고 사실적인 낭만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작품들이 사실주의적인 묘사 위에 있으면서도 주제의 노출에서 강한 낭만성의 승화를 이룩했던 것이다.
나도향에 대해 연구하면서 도향과 관련된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견해들을 많이 발견 할 수 있었다. 낭만에 빠져 현실을 외면했다., 낭만에 젖어 작품을 쓰다가 후기에 사실주의나 자연주의로 변모하였다.등이 그런 이야기들이다. 그러나 나는 연구를 해가면서 나도향에게서 사실적인 낭만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실을 충분히 묘사하면서도 그 속에서 충분히 낭만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볼 때, 나도향 연구에도 보다 많은 자료의 수집과 함께 그것을 평가하는 방법론적인 다양성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서 얼마든지 새롭고 의미 있는 주장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작품목록 및 참고문헌
작 품 명
게 재 지
발표년월일
추 억
젊은이의 시절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환희(幻戱)
엣날 꿈은 창백하더이다
은화 백동화(銀貨 白銅貨)
십칠원오십전
춘성(春星)
여 이발사
행랑자식
당착(撞着)
자기를 찾기 전
전차차장의 일기 몇 절
J의사의 고백 (1)(2)
계집하인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꿈
뽕
피묻은 편지 몇 장
지형근 (1) (2) (3)
신민공론 4호
백조 1호
백조 2호
동아일보
개벽 30호
동명 18호
개벽 31호
개벽 37호
백조 3호
개벽 40호
배재 2호
개벽 45호
개벽 54호
조선문단 6 - 7호
조선문단 8호
여명 1호
조선문단 11호
조선문단 13호
개벽 64호
신민
조선문단 14 - 16호
1921. 12
1922. 1
1922. 5
22. 11. 21 -23. 3. 21
1922. 12
1923. 1
1923. 1
1923. 7
1923. 9
1923. 10
1923. 3
1924. 3
1924. 12
1925. 3. 4
1925. 5
1925. 7
1925. 8
1925. 11
1925. 11
1926. 4
1926. 3. 4. 5
최영미,「나도향 소설의 변천과정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82
김우종,『나도향론』,현대문학, 1962, p. 204
이인복,『나도향론』,현대문학, 1969, p. 300
구인환,『한국근대소설연구』,삼영사, 1977, p.161
정한숙,『한국문학의 주변』,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5, p. 25
후기작품의 내용 면의 변화나 인물의 객관적인 묘사 등은 사실 작가의 시점이 변화한데서 찾을 수 있다. 전기의 작품에선 거의 작가와 유사한 주인공의 내면에만 관심이 있었던 도향의 시점이 삼인칭으로 바뀐 것 이외에도 여러 인물들의 묘사에 고루 관심을 확산 시켰다는 것은 새로운 양상이다.
5. 소설사적 위치 그리고 전망
앞에서 도향의 후기작품들이 도향을 소설사에 남기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후기의 작품들을 주로 해서 소설사적 의의를 말해 보고자 한다. 도향의 작품들의 소설사적의의는 첫째, 사실주의적 기법을 바탕으로 인물들의 성격창조와 이의 객관적인 묘사를 들 수 있다. 둘째, 내용에 있어 애정의 갈등과 좌절을 중시한 점을 들 수 있다. 셋째, 낭만적 미의식의 표출을 들 수 있다.
도향이 그의 후기작품에서 다양한 인물 유형을 창조해 내고 있는 것은 이미 본 바와 같다. 따라서 도향문학의 본질에 대한 해명의 실마리를 그의 인물의 성격 창조의 우수성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 이도 있다.
내용 면에 있어서는 경제적 빈곤과 그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현실의 문제를 표현하면서 특히 남녀의 애정관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나간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같은 1920년대 작가의 경우 현진건이 현실과 사회의 문제를 예리하게 포착 비판하려 했고 최서해가 식민지 민중들의 빈곤의 문제를 날카롭게 파헤쳐 보이고 있는 점과 비교되어, 도향이 현실과 역사의 의미를 포착하려는 노력 대신에 인간 내면의 문제에 안주해 버렸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애정문제는 확실히 1920년대 애정의 풍속을 가장 날카롭게 파헤치는데 공헌하였다.
마지막으로 낭만적 미의식에 대해 보자면 도향 특유의 낭만정신은 초기의 얄팍했던 낭만으로부터 좀 더 깊고 사실적인 낭만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작품들이 사실주의적인 묘사 위에 있으면서도 주제의 노출에서 강한 낭만성의 승화를 이룩했던 것이다.
나도향에 대해 연구하면서 도향과 관련된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견해들을 많이 발견 할 수 있었다. 낭만에 빠져 현실을 외면했다., 낭만에 젖어 작품을 쓰다가 후기에 사실주의나 자연주의로 변모하였다.등이 그런 이야기들이다. 그러나 나는 연구를 해가면서 나도향에게서 사실적인 낭만 같은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사실을 충분히 묘사하면서도 그 속에서 충분히 낭만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볼 때, 나도향 연구에도 보다 많은 자료의 수집과 함께 그것을 평가하는 방법론적인 다양성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서 얼마든지 새롭고 의미 있는 주장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작품목록 및 참고문헌
작 품 명
게 재 지
발표년월일
추 억
젊은이의 시절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환희(幻戱)
엣날 꿈은 창백하더이다
은화 백동화(銀貨 白銅貨)
십칠원오십전
춘성(春星)
여 이발사
행랑자식
당착(撞着)
자기를 찾기 전
전차차장의 일기 몇 절
J의사의 고백 (1)(2)
계집하인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꿈
뽕
피묻은 편지 몇 장
지형근 (1) (2) (3)
신민공론 4호
백조 1호
백조 2호
동아일보
개벽 30호
동명 18호
개벽 31호
개벽 37호
백조 3호
개벽 40호
배재 2호
개벽 45호
개벽 54호
조선문단 6 - 7호
조선문단 8호
여명 1호
조선문단 11호
조선문단 13호
개벽 64호
신민
조선문단 14 - 16호
1921. 12
1922. 1
1922. 5
22. 11. 21 -23. 3. 21
1922. 12
1923. 1
1923. 1
1923. 7
1923. 9
1923. 10
1923. 3
1924. 3
1924. 12
1925. 3. 4
1925. 5
1925. 7
1925. 8
1925. 11
1925. 11
1926. 4
1926. 3. 4. 5
최영미,「나도향 소설의 변천과정고」,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82
김우종,『나도향론』,현대문학, 1962, p. 204
이인복,『나도향론』,현대문학, 1969, p. 300
구인환,『한국근대소설연구』,삼영사, 1977, p.161
정한숙,『한국문학의 주변』,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5, p. 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