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승불교의 흥기
Ⅱ. 대승불교의 전개
1. 대승불교의 특성
⑴ 대승의 의미
⑵ 불타관의 변화
⑶ 보살사상의 발달
⑷ 불탑신앙 및 불ㆍ보살상의 제작
2. 대승경전의 형성
⑴ 대승경전 불설, 비불설
⑵ 대승경전 발달사 (대승경전의 역사는 보통 3기로 구분한다.)
3. 대승불교의 교리와 학파
⑴ 대승불교 교리의 특색
⑵ 대승불교의 주요학파
Ⅲ. 밀교
Ⅱ. 대승불교의 전개
1. 대승불교의 특성
⑴ 대승의 의미
⑵ 불타관의 변화
⑶ 보살사상의 발달
⑷ 불탑신앙 및 불ㆍ보살상의 제작
2. 대승경전의 형성
⑴ 대승경전 불설, 비불설
⑵ 대승경전 발달사 (대승경전의 역사는 보통 3기로 구분한다.)
3. 대승불교의 교리와 학파
⑴ 대승불교 교리의 특색
⑵ 대승불교의 주요학파
Ⅲ. 밀교
본문내용
여 폐쇠적이고 특유한 복잡한 의례를 발달시켰다. 밀교는 제불뿐만 아니라, 종래의 불교에서는 설명되지 않았던 다수의 명왕, 부료 밖의 신들, 성자들도 역시 대일여래의 출현이라고 풀이하고, 많은 민간신앙을 포섭하여 그 취의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대만다라를 구성하였다. 또한 중생은 본래 불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존을 마음속으로 늘 생각하고, 다라니를 암송하고, 밀교의 특별한 의식에 참여한다면 쉽게 궁극의 경지에 달하여 지금 곧 여기에서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즉신성불의 교리는 밀교의 본래취지로서 그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 밀교는 교학적으로 대승불교의 중관과 유식학파의 중심사상을 계승ㆍ보완ㆍ발전시킨 것이다. 또한 점차 발전하면서 금강승, 구생승, 시륜승이라는 3대 유파를 형성하였다.
추천자료
불교의 자비와 자비정신 연구
불교의 세계
[신라시대][신라][신라시대(신라) 유학][신라시대(신라) 건축][신라시대(신라) 불교][불상][...
불교관점에서 본 존엄사
[삼국시대][삼국시대 한문학][삼국시대 공예][삼국시대 불교미술][삼국시대 미술][삼국시대 ...
[백제시대 건축][백제시대 건축 불교사원][백제시대 건축 불사건축][백제시대 건축물]백제시...
[가상복지관][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아카데미복지관][불교사회복지관][단지내사회복지관]...
[종교관][기독교][천주교][불교][원불교][레싱][소태산 대종사][서양의학]기독교의 종교관, ...
[가족가치관][결혼가치관][전통적 가족가치관][불교적 가족가치관]가족가치관의 경향, 가족가...
[문화재][문화][향토문화재][매장문화재][무형문화재][불교문화재]문화재와 향토문화재, 문화...
[인간관, 성리학 인간관, 유교 인간관, 불교 인간관, 기독교 인간관, 육담 인간관, 노동자 인...
김동리(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죽음을 통해 알아본 해탈의식(등신불을 중심으로) - 김동신의...
[중국문화론] 불상문화에 관해서 (불교 전파, 불교 미술의 역사)
소개글